View : 771 Download: 0

중·고령자의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Title
중·고령자의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Other Titles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double car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uthors
최성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는 이중돌봄을 제공하는 중·고령자의 주관적 웰빙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대처-적응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중·고령 이중돌봄 제공자들이 경험하는 이중돌봄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자원, 그에 따른 적응으로써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이중돌봄의 스트레스적 상황 요인으로는 이중돌봄 책임, 이중돌봄 스트레스를 제시하였고, 대처요인으로는 자기돌봄, 가족 레질리언스, 사회서비스 이용을 제시하여 이들이 주관적 웰빙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소득수준 차이를 통해 이중돌봄의 스트레스적 상황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령의 부모돌봄과 만 14세 미만의 손자녀 돌봄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국 만 50세~74세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2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및 AMO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돌봄을 제공하는 중·고령자들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았으며, 부모 1명과 손자녀 1명을 돌보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이중돌봄 인원이 3명 이상인 경우 주로 부모 돌봄의 인원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고령 이중돌봄 제공자들의 이중돌봄 책임과 이중돌봄 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웰빙은 보통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측정모형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연구모형이 주관적 웰빙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형의 직접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이중돌봄 책임은 자기돌봄, 가족 레질리언스에, 이중돌봄 스트레스는 자기돌봄, 가족 레질리언스, 사회서비스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레질리언스와 사회서비스 이용도 주관적 웰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구조모형의 간접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돌봄, 가족 레질리언스, 사회서비스의 전체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족 레질리언스는 이중돌봄 책임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 이중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서비스는 이중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개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연구모형에 대하여 소득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월평균소득 저집단, 월평균소득 고집단 간에 이중돌봄 책임에서 자기돌봄으로 가는 경로, 가족 레질리언스로 가는 경로, 이중돌봄 스트레스에서 자기 돌봄과 사회서비스 이용으로 가는 경로, 자기돌봄에서 주관적 웰빙으로 가는 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검증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결론 및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어 이중돌봄이라는 예기치 않은 과제에 직면한 중·고령자의 적응을 돕는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중돌봄 스트레스의 경우 모든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수로 나타났기 때문에 중·고령자의 이중돌봄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개발, 신체적·심리적 건강증진을 돕기 위한 상담지원 개입 등의 실천적 필요성이 제기되며 정책적으로는 돌봄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 대한 서비스를 함께 마련하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겠다. 둘째, 가족 레질리언스와 사회서비스 이용은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자기돌봄의 경우 주관적 웰빙에 직·간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주관적 웰빙과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 모두에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중돌봄 책임 및 이중돌봄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을 함께 고려한 맥락 안에서 자기돌봄, 가족 레질리언스, 사회서비스 이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겠다. 이를 위한 다각적 전략들은 전반적인 이중돌봄 가족의 돌봄지원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자기돌봄을 위한 정보제공 및 지원, 가족 레질리언스의 하위영역에 따른 대면/ 비대면 프로그램 마련, 이중돌봄 가족 지원을 위한 통합적 정책 수립과 사회서비스 확대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셋째, 소득차이는 주관적 웰빙에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소득을 기준으로 저소득집단(중위소득 이하 집단)과 고소득집단(중위소득 초과 집단)으로 나눈 결과 저소득집단에서는 자기돌봄이, 고소득집단에서는 사회서비스 이용이 주관적 웰빙으로 가는 경로에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간극을 줄이기 위해서는 저소득집단에게 친화적인 저비용의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개발하고 자기돌봄 홍보, 참여 독려 등의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단일돌봄에 비해 논의가 미흡했던 이중돌봄 제공 중·고령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이들의 발달적 특성 및 가족적,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스트레스-대처-적응 모델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중돌봄 제공 중·고령자의 주관적 웰빙 설명하는 유의미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주요한 대처자원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자기돌봄, 가족 레질리언스, 사회서비스 이용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한국적 가족상황에서 중·고령자의 이중돌봄에 따른 스트레스적 상황을 완화하고 적응을 촉진할 수 있는 실천적 접근을 모색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ovide dual care, and to verify th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nfluencing factors. Therefore, the research model 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double care stress experienced by middle and elderly double care providers, coping resources, and subjective well-being as an adaptation on the basis of Stress-Coping-Adaptation theory.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double care stress were suggested as the stressful situational factors of double care, and self-care, family resilience, and use of social services were suggested as coping factors to examine how they mediate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ressful situations of double care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difference in income level was examin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middle and older adults aged 50 to 74 for those who simultaneously care for aged parents and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14.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survey method via internet, and a total of 298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21.0 SPSS and AMOS 21.0. The results and key poi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females than males in the number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ovide double care. With regards to the form of caring, most of the participants cared for one parent and one grandchild; however, when there were more than three people to care for, parenting care was mostly the majority. Care providers’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double care stres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and their subjective well-being was found to be moderate. Second,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each measurement variable to significantly explain the composition of each variable. In addition, the overall model fit was good and the research model was able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well. Thir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showed double care responsibility to have a direct effect on self-care and family resilience, and double care stress to have a direct effect on self-care, family resilience, and use of social services. Also, family resilience and use of social service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Fourth, when the indirect effect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uble care responsibility, double car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ar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ervice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family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mediator bo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uble car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service wa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uble car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Fifth,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in examining income differences showed different pathways from double care responsibility to self-care and family resilience, double care stress to self care and social service, and self care to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low income group and high income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double care stress levels were high, indicating that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help the middle and older care givers who face the unexpected task of double care. In particular, as double care str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all variables, practical measures to manage double care stress, such as developing an online platform and introducing counseling support to help promo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re suggested. Furthermore, changing the perspective of providing services for care recipients and care providers together are suggested as possible policy measures. Second, family resilience and use of social services mediated the effects of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double care stress on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self-care did not hav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but showed a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was affected by both double care responsibility and double care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self-care, family resilience, and use of social services within the context of double care responsibility, double car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ltogether. Multi-faceted strategies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and support for self-care, face-to-face/non-face-to-face programs according to the sub-area of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or double-caring families are suggested in establishing integrated policies and expanding social services. Third, income differ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us a countermeasure is required. Pathways involving self-care for low income group(less than median income) and social service for high income group(more than median income)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order to bring the ga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of two groups,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low-cost social services that are friendly to low-income groups, promote self-care, and encourage particip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an understanding of the middle and older care givers who provide dual care, an area that has been insufficiently discussed compared to single care, and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and social contexts. Second, by constructing and verifying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significant path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which can be used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meaningful model to explai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and older adults who provide double care. Third,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self-care, family resilience, and use of social services, which were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to provide practical approaches that could ease stressful situation caused by dual care and promote adap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