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가정외보호 아동의 배치변경 경험

Title
가정외보호 아동의 배치변경 경험
Other Titles
Out-of-home care children’s placement change experience
Authors
김영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n out-of-home care children’s placement change experience. This thesis investigates research question of ‘What does out-of-home care child experience during caring system placement change?’ and its sub questions of ‘What causes placement change?’ and ‘What is the consequences of placement change?’ This study’s qualitative research used case study.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children and youth between the ages of 9 and 24 who were or are under childcare service system and who have experienced more than 2 placement changes. Placement change is defined as the cases where both caring facility and caregiver are changed.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ulting in 6 youths as the final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December 2018 to September 2020, arranging 2-4 times individual interviews. 3 caregiver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1-2 times one on one supplemental interviews. The cross-case analysis derived 5 Category, 13 Sub-Category and 35 Meaning Units. First category is ‘Leave where I belong.’ Placement change happened when caring circumstances changed such as care giver’s improper care of abusing and neglecting children, foster care giver’s personal circumstances and unexpected transition from institutional care. It also occurred when administrative procedure triggered a transition including a move from short-term to long-term care or from infant & toddler to children institutional care facility. Second category is ‘Exterior variables shattering the wish to settle down.’ It was discovered that external and situational factors influenced study participant’s placement change during childcare period. Examples include improper institutional care, foster home’s unavoidable circumstances such as difficulties in childcare and conflict with birth parents, disruptive intervention from birth parent without any plan. Childcare service system lacked support in children’s protective service and placement change by either looking on or neglecting the situation. Third category is ‘Fade away from inside.’ Placement change has been affected by various issues of out-of-home care children. Their behavior problems such as delinquency, kleptomania and violence and psychological & emotional issues such as identity confusion, weak sense of belonging and depression are some of the examples. Fourth category is ‘It’s rough, either being pushed out or volunteer to leave.’ The participants recognized placement change as either sudden push out or a chance to leave the current situation. Either way, placement change was very exhausting path for the participants. Fifth category is ‘Still, there is force that holds me tight.’ Despite challenging placement change, some caregivers, who were keen to support and care about those children, gave full strengths for participants to overcome the situation. Close friendships also cheered up and comforted them. Participants thought that placement change was tough, and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ey had not experienced it. They also encouraged themselves, however, by acknowledging that they weathered the storms well without being derailed. For the participants, placement change meant ‘leaving the place they have belonged to live.’ “The place” here is more than a physical place they used to live. It is a shelter where participants have settled down under the guardian of constant caregiver while they can physically and mentally be attached to and being protected under. The central theme shown across this study on participants’ placement change experience was ‘recurring rough journey to look for another place to live.’ Main agenda based on study result is as below. First, it was a caregiver who judged and decided participant’s placement change. There was a lack of the local government involvement in assessing the parenting status of the protected child and deliberating placement change while the caregivers, who are adults, made decisions in placement change. Second, study participant’s placement changes usually took place after long-term care. And the placement change brought about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Third, insufficient and inappropriate caring environment got children to start having problems in adapting to the childcare service system which influenced placement change. Fourth, the more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child showed, the more likely placement change happened. Fifth, children found themselves to have a failed family reunion and they ended up with a return to childcare service system when they were rushed to belong to birth family without proper preparation. In this process, out-of-home care children were experiencing repeated separations from their birth parents ultimately affecting placement stability. Sixth, with regards to out-of-home care children’s placement change, childcare service system’s function and its roles were not working well. Specifically, caring status assessment in childcar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Welfare Commission’s strengthened function being supported by pragmatic improvement are found to be needed. Based on the analysis and discussion in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below. First, childcare status review process should be improved and operated thoroughly after childcare plan. Second, placement change should not take place until its needs are thoroughly reviewed by more enhanced Welfare Commission. Third, professional and various counseling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out-of-home care children’s stable adaptation. Placement change decision should consider children’s emotional impact and shock while developing services to mitigate those emotional shock. Fourth, individual child’s customized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and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 should be strengthened to minimize the risk of out-of-home care stigma and identity crisis for children in puberty. Fifth, regarding out-of-home care children’s placement change, a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mong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to maintain and guarantee student’s right to study. Sixth, children in out-of-home care should not be returned to their birth family until proper training and support programs are prepared for birth parents. Once those children are back to their family, monitoring period should be extended and essential services for stable reunification should be provided. Seventh, for smooth placement change support, institutional childcare workers’ training and professionalism should be enhanced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 should be developed to be applicable to real cases. Poli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below. First, regarding out-of-home care child’s placement change, service delivery system requires review and improvement. Second, there are needs to devise pragmatic policies to support children’s return to birth family, birth parents being more accountable on childcare service and enhanced and improved policies to prevent parental abuse. Third, childcare service delivery system’s blind spot should be examined, and its com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a nationwide comprehensive database should be built to keep out-of-home care children’s history. Lastly,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follow-up research is suggested.;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체계 배치변경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한 연구 질문은 ‘가정외보호아동의 보호체계 배치변경 경험은 무엇인가?’이며 하위질문은 ‘배치변경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와 ‘배치변경과 관련하여 어떤 영향들이 있는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 중,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보호체계에서 보호받거나 보호받은 경험이 있는 9세~24세 청소년 중 보호체계를 2회 이상 변경한 청소년으로 설정하였다. 배치변경은 보호받는 곳과 양육자 모두 변경된 상태로 정의하였다. 참여자 선정은 유의표집을 활용하였으며 총6명의 청소년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2월~2020년 9월까지 이뤄졌으며 개인별 2~4회의 개별면접을 하였다. 현재 연구참여자를 양육하고 있는 3명의 양육자와도 개인별 1~2회 보조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총35개의 의미단위 요약, 13개의 하위범주,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정주(定住)’했던 곳을 떠나야 함‘이었다. 참여자들은 주로 학대와 방임과 같은 부적절한 돌봄, 위탁가정의 사정, 시설의 중간퇴소 결정 등으로 양육 상황에 변화가 생길 때 배치변경이 일어나고 있었다. 또한 행정적 절차에 따라 단기보호에서 장기보호로 전원 되거나 영유아시설에서 양육시설로 전원 해야 될 때 배치변경이 일어나고 있었다. 두 번째 범주는 ‘외부로부터 안착의 뿌리를 흔드는 것들’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보호기간 동안 배치변경에 영향을 주는 외부적, 환경적 영향들이 발견되었다. 시설의 충분치 않은 돌봄, 양육의 어려움이나 친부모와의 입장차 같은 위탁부모의 어쩔 수 없는 사정, 준비 없이 아이들을 흔드는 친부모 등이 배치변경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체계는 아동들의 안정보호와 배치변경에 있어 방관과 방임에 가까운 미흡한 지원에 머물고 있었다. 세 번째 범주는 ‘나도 같이 뿌리가 시들어 감’이었다. 가정외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들의 비행, 도벽, 폭력 등의 행동 문제나 정체성의 혼란, 소속감 약화, 우울 등 심리·정서 문제가 배치변경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네 번째 범주는 ‘떠밀려도, 떠나도 고단한 길’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배치변경에 대해 갑자기 떠밀려 내몰리는 일로 인식하기도 하고, 여기를 벗어날 수 있는 기회로 여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에게는 떠밀려도 떠나도 배치변경은 고단한 길이었다. 다섯 번째 범주는 ‘그래도 날 버티게 하는 힘’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힘든 배치변경 과정에서도 그들을 향해 도움을 주고 붙들어주는 고마운 손길에 버틸 수 있는 힘을 얻는다. 또한 친구관계에서 깊은 우정을 쌓으며 위로와 위안을 얻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배치변경 경험이 정말 힘든 일이었고 그러한 경험을 안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과정을 헤쳐 나온 스스로를 향해 나쁜 길로 안 빠지고 잘 살아왔다며 스스로를 격려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있어 배치변경이란 ‘정주(定住)했던 곳을 떠나야 함’의 의미였다. 참여자들에게 있어‘정주(定住)’라는 개념은 단순히 살던 장소라는 물리적 장소 이상이었다. 이들에게 정주(定住) 했던 곳은 보호받는 안착의 장소와 양육자 모두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자신이 마음과 몸을 붙이고 보호받으며 머물렀던 곳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참여자들의 배치변경 경험을 가로지르는 중심주제는 ‘또다시 정주(定住)할 곳을 찾아야 하는 고단한 여정’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 한 주요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배치변경은 양육자의 판단과 결정에 의하여 이뤄지고 있었다. 지자체에서 보호아동의 양육상황 점검과 배치변경 심의에 대한 관여가 거의 없고 배치변경은 어른들인 양육자가 결정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참여자들의 배치변경은 대부분 장기간 보호를 받다가 배치변경이 되었다는 특징이 있었다. 그리고 배치변경에 관해 부정적 반응과 긍정적 반응이 모두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충분하고 적절한 양육환경이 제공되지 않을 때 아동의 보호체계 적응에 문제가 생기면서 배치변경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행동, 심리·정서적인 문제를 보일수록 배치변경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급하고 준비되지 않은 친가정복귀는 재결합실패와 함께 아동보호서비스체계로의 재진입을 일으키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가정외보호 아동은 친부모와의 분리를 반복하여 경험하고 있었고, 배치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여섯째, 가정외보호 아동의 배치변경과 관련하여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기능과 역할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았다. 특히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체계 내의 양육상황 점검과 아동복지심의위원회의 실질적 개선을 통한 기능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조치 후에는 양육상황 점검제도가 강화되고 철저한 운영이 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복지심의위원회를 강화하여 아동의 배치변경에 대한 적절성 검토 후 배치변경이 시행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가정외보호아동의 안정적 보호체계 적응을 돕기 위한 전문적이고 다양한 상담서비스를 개발하고 지원해야 한다. 또한 배치변경 시 정서적 영향과 충격을 면밀히 고려한 배치변경 결정과 정서적 충격을 완충할 서비스 개발 및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사춘기시기에 가정외보호라는 낙인감과 정체성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동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전문적 상담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가정외보호아동의 배치변경과 관련하여 학습권 유지 및 보장을 위한 교육청, 일선학교와 협력체계 구축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친부모를 위한 별도의 교육과 지원책을 마련하여 충분한 준비 후 친가정복귀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친가정복귀 후에는 모니터링 기간을 늘리고 안정적 재결합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곱째, 원활한 배치변경 지원을 위해 양육관련 종사자들의 교육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매뉴얼과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외보호 아동의 배치변경과 관련하여 서비스 전달체계의 정비 및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실질적인 친가정복귀 지원정책이 필요하며 아동보호서비스에 대한 친부모의 책임성 강화 및 친권 남용방지에 대한 정책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사각지대를 점검하고 필요한 보완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이력에 대한 국가적 통합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