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정광수 판소리와 정남희 가야금병창 비교연구

Title
정광수 판소리와 정남희 가야금병창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Jeong Gwang-su’s Pansori and Jeong Nam-hee’s Gayageum Byeongchang : Focusing on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in Sugungga
Authors
임기성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연구는 판소리 다섯 바탕 중 하나인 <수궁가> 중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을 중심으로 정광수 판소리와 정남희 가야금병창의 사설 및 선율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의 비교연구를 통해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정광수와 정남희의 생애 및 예술세계를 살펴보고, 정광수의 판소리 음반과 정남희 가야금병창 유성기음반을 활용하여 사설 분석, 창자별 소리선율 분석, 유사 사설 선율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는 지역에 따라 크게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로 나누어지는데 20세기에 접어들어 판소리가 쇠퇴하자 많은 유파의 수궁가가 전승되지 못하였다. 중고제의 수궁가는 김창룡을 끝으로 전승이 끊어졌고, 정창업에서 김창환 그리고 김봉학으로 내려오던 서편제의 수궁가도 전승이 끊어졌으며 현존하는 수궁가는 동편제의 유성준제와 송만갑제 그리고 서편제의 정응민제가 남아있는데 오늘날 전승이 가장 활발한 것은 유성준제이다. 정광수는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제5호 유성준제 수궁가 보유자로 유성준제 수궁가를 잘 보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야금병창 중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은 현재 불리지 않고 정남희의 음반 속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은 <수궁가>의 눈대목 중 토끼를 찾아 헤매던 별주부가 마침내 토끼를 발견하는 대목으로 토끼와 별주부의 모습이 대화체로 짜여있다. 중중모리 장단으로 이루어진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에서 정남희의 가야금병창에는 중모리장단의 별주부가 자탄하는 사설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있다. 두 창자의 전체적인 사설의 흐름을 살펴본바 동일한 사설 14%, 유사한 사설 11%, 상이한 사설이 75%의 비율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붙임새는 정광수 판소리는 중중모리 총 48장단으로 대마디대장단은 41장단으로 85%, 엇붙임은 7장단으로 15%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정남희 가야금병창은 중모리 총 13장단, 중중모리 총 23장단으로 전체 대마디대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광수가 정남희보다 더 넓은 음역대에서 소리를 구사하지만 두 창자 모두 넓은 음역대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광수는 d1에서 c3까지의 음역대로 판소리의 음구조는 c본청 계면조, e♭본청 우조, c본청 우조이고 다양한 선법 사용으로 다채로운 효과를 주었으며 우조에서 b♭-e♭와 g-c의 완전 4도 선율 진행 형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정남희는 g1에서 e♭3까지의 음역대로 가야금병창의 음구조는 c본청 계면조이고 계면조의 꺾는 음과 떠는 음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주로 본청 c와 하청 g로 종지하는 선율이 나타났다. 정광수와 정남희의 공통 사설의 선율을 동일한 선율, 유사한 선율, 상이한 선율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선율은 9%, 유사한 선율은 25%, 상이한 선율은 66%로 두 창자의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은 선율이 매우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광수 판소리와 정남희 가야금병창의 <수궁가> 중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을 중심으로 사설과 선율에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판소리가 가야금병창의 근간이 되어 가야금병창이 판소리의 사설과 선율을 차용했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매우 상이함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궁가>의 많은 대목 중 ‘별주부 토끼 만나는 대목’만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고 <수궁가>에 대한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의 비교연구는 현재 주로 불리고 있는 대목들에 국한되어있어 앞으로 다양한 대목의 연구가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narratives and melodies of Jeong Gwang-su’s Pansori and Jeong Nam-hee’s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in that is one of the five stories of Pansor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on Pansori and Gayageum Byeongchang.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lifetime and art world of Jeong Gwang-su and Jeong Nam-hee, analyzed the narratives and song melodies of each singer by using Jeong Gwang-su’s Pansori album and Jeong Nam-hee’s Gayageum Byeongchang phonograph album, and then comparatively researched the similar narratives and melodi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nsori is largely divided into Dongpyeonje, Seopyeonje, and Junggoje depending on region. In the 20th century, Pansori was declined, so that not many schools of Sugungga were transmitted. In case of Sugungga of Junggoje, the transmission was discontinued after Kim Chang-ryong. The Sugungga of Seopyeonje that was passed down from Jeong Chang-eup to Kim Chang-hwan and Kim Bong-hak, was not transmitted any more. The extant Sugungga includes Yu Seong-jun style and Song Man-gap style of Dongpyeonje, and Jeong Eung-min style of Seopyeonje, and Yu Seong-jun style shows the most active transmission today. Jeong Gwang-su is the holder of Yu Seong-jun style Sugungga that is one of the 5th Pansori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He has preserved Yu Seong-jun style Sugungga well.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of Gayageum Byeongchang is not currently performed, but only shown in Jeong Nam-hee’s album. Second,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 and the look of Byeoljubu who searched a rabbit everywhere finally meets with the rabbit is composed as dialogic style. In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in Jungjungmori rhythm, Jeong Nam-hee’s Gayageum Byeongchang additionally included Byeoljubu’s narrative of complaining to himself in Jungmori rhythm.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verall flow of narratives in both singers, there were the same narratives for 14%, similar narratives for 11%, and different narratives for 75%. In regard of Buchimsae, Jeong Gwang-su’s Pansori was composed of total 48 Jungjungmori rhythms including 41 Daemadi rhythms for 85% and seven Eotbuchim rhythms for 15%. Jeong Nam-hee’s Gayageum Byeongchang was overall composed of Daemadi rhythm including total 13 Jungmori rhythms and 23 Jungjungmori rhythms. Third, Jeong Gwang-su showed the wider range of note than Jeong Nam-hee while both singers used the wide range of note. Jeong Gwang-su’s range of note was in d1-c3. The sound structure of Jeong Gwang-su’s Pansori was the c-Boncheong Kyemyeonjo, e♭-Boncheong Woojo, and c-Boncheong Woojo. The use of various tones created varied effects. In the Woojo, there was remarkable use of complete 4th melody of b♭-e♭ and g-c. Jeong Nam-hee’s range of note was in g1- e♭3. The sound structure of Gayageum Byeongchang showed the c-Boncheong Kyemyeonjo with the remarkable use of turning sound and vibrating sound of Kyemyeonjo. It usually showed the melodies ending with Boncheong-c and Hacheong-g.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elodies of common narratives by Jeong Gwang-su and Jeong Nam-hee by dividing them into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it was shown as the same melody for 9%, similar melody for 25%, and different melody for 66%, so the ‘parts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by those two singers were the songs with very different melodies to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narratives and melodies focusing on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in of Jeong Gwang-su’s Pansori and Jeong Nam-hee’s Gayageum Byeongchang. Even though this study predicted that the narratives and melodies of Pansori must be borrowed as the Pansori was working as the basis of Gayageum Byeongchang, they we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is study limitedly researched the part where ‘Byeoljubu meets the rabbit’ of many parts in ,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comparative researches on Pansori and Gayageum Byeongchang of have been limited to the parts that are mainly performed today, so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on various part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