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 생황선율 및 연주법 분석연구

Title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 생황선율 및 연주법 분석연구
Other Titles
Saenghwang Concerto Analysis of Saenghwang melody and playing method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 논문은 2005년 이준호 작곡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의 생황선율 및 연주법을 분석연구 하였다. 작곡자가 구분한 총 15단락을 토대로 선율흐름에 따른 악곡 분위기의 변화를 살펴보며 특징적인 화성진행과 주제선율을 살펴보았다. 또한 생황선율 분석 중 작곡자가 제시한 선율에 36관 생황의 구조상으로 연주가 불가능한 부분이 발견되어 악기의 구조상 적합한 선율로 변용하여 선율을 제시하였으며 본 곡에서 사용되는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흐름에 따른 악곡 분위기는 표제음악이기에 부드럽고 맑은 음색의 생황으로 아름다운 바람의 섬을 표현한다. 악곡의 도입부인 A, B, C단락은 생황의 낮은 음역대와 긴 음가로 멀리서 불어오는 듯한 바람의 고요하고 평온한 분위기가 표현되었다. E단락과 G단락에서 출현하는 주제 동기(a), (b)가 밝고 서정적인 선율로 제시되어 시원한 섬에 자유로이 움직이는 바람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J, K단락은 짧은 악구와 쉼표를 사용한 악곡에서의 유일한 단조(minor)로, 어두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빠르고 경쾌한 장단으로 시작되는 발전부의 L단락은 E♭ major조성으로 바뀌며 장단에 맞춰 강한 에너지로 역동성 있는 바람을 표현하였다. O 단락에서 새로 제시된 동기(c)와 도입부의 주제 동기(a), (b)가 번갈아 변주되며 마치 바람에 실려 섬 전체를 훑고 다니는 듯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둘째, 생황선율 분석 중 작곡자가 제시한 선율에 36관 생황 구조상으로 연주가 불가능한 부분을 발견하여 선율을 변용하였다. 변용한 선율은 ♩=60 이상 빠르기에 16분음으로 세분화된 리듬형태로 구성된 부분이다. 선율을 변용한 이유는 36관 생황은 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운지방법이 다소 복잡하다. 또한 16분음으로 세분화 된 리듬형태에는 설음연주법과 함께 운지하며 합을 맞추어야 하는데 빠른 리듬형태의 여러 음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시 설음연주법 호흡과 운지의 불합으로 인해 선율의 연주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악곡의 제41-46, 90-95, 114,119, 142-147, 152-157마디는 악기 구조상 연주가 불가능하여 작곡자가 제시한 선율 중 주음을 중심으로 쌍성주법 혹은 단선율의 진행형태로 변용하였다. 셋째,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에서 나타난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본 곡에서 전통주법은 쌍성주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정악에서 사용된 4도, 5도, 8도의 화성을 쌓아 여러 음을 연주하는 기법이다. 원 악보에 쌍성주법은 화성형태가 아닌 ‘S'로만 표기되었으며, 단선율로 진행되는 구간은 풍부한 음색 연출을 위해 쌍성주법으로 연주한다. 특수주법으로는 서양악기 연주법에서 차용된 대위선율, 설음연주법과 다성 꾸밈주법이 사용되었다. 본 곡에서 생황은 화음이 가능한 악기이기에 원활한 선율진행을 위해 대위선율 12회를 사용하였고, 동일음이 2회 반복될 시 사용하는 단절법[TT] 28회, 동일음이 4회 반복될 시 사용하는 복절법[TKTK]은 165회, 동일음이 3회 반복될 시 사용하는 삼절법인 [TKT] 249회, [TTK] 13회 사용되었다. 또한 내뱉는 호흡과 혀의 공기를 통해 음을 꾸며주는 플라터텅잉 24회, 주음을 기준으로 주변 음을 파열하며 주음을 꾸며주는 다성 꾸밈주법 43회가 사용되었다. 특수주법 중 설음연주법인 삼절법 [TKT]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리듬형태와 연관성이 있기에 󰁔의 셋잇단음표 동일리듬이 주로 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개량악기 발전과 더불어 서양악기 연주법에서 차용된 생황연주법들에 의해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은 작곡자의 의도대로 방대한 규모와 풍성한 음색을 연출하였고, 국악기의 한계를 극복한 작품이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의 생황선율 및 연주법을 분석하였기에 본 곡을 연주하고자 하는 생황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the saenghwang melody and performance method of the 2005 Saenghwang concerto composed by Junho Lee.Based on a total of 15 paragraphs divided by the composer, the changes in the mood of the mus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melody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 harmonious progression and the theme melody were examined. In the analysis of the Saenghwang melody, a part that could not be play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36th building saenghwang was found in the melody suggested by the composer, and the melody was transformed into a melody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instrument, and the playing method used in this song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atmosphere according to the melody flow is the title music, so it expresses a beautiful island of wind with a soft, clear tone. Paragraphs A, B, and C,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song, express the quiet and calm atmosphere of the wind blowing from a distance with the low range and long pitch of the song. The thematic motives (a) and (b) appearing in paragraphs E and G are presented in a bright and lyrical melody, allowing you to hear the sound of the wind moving freely on a cool island. The L paragraph of the power generation department, which starts with a quick and cheerful rhythm, is changed to the E♭ major composition, and expresses a dynamic wind with strong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The motives (c) newly suggested in paragraph O and the motives (a) and (b) of the topic in the introduction are alternately varied, creating an atmosphere as if you are running around the entire island in the wind. Second, during the analysis of the Saenghwang melody, it was chang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play the melody suggested by the composer. Since the changed melody is faster than ♩=60, it is composed of a rhythmic form divided into 16th notes. The tonguing and fingers must match in the rhythmic form subdivided into sixteenth notes, but it is impossible to play because it does not fit when several fast rhythmic notes are played in sequence. Therefore, the pieces 41-46, 90-95, 114,119, 142-147, and 152-157 were impossible to pla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usical instrument, so the main tone of the melody suggested by the composer was changed to binary or monophonic progression. Third, the performance method that appeared in the saenghwang concerto was analyzed. Traditional playing methods and special playing methods are used here. It is a technique of playing several notes by stacking the 4th, 5th, and 8th harmonies used in Jeongak. marked only with ‘S’, not in the form of harmony, and the section that proceeds in monophonic is played by binary star in order to produce a rich tone. As for the special playing method, the counterpoint melody used in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 playing method, the lunar sound playing method, and the polyphonic embellishment method were used.Repeat twice single tonguing [TT] 28, repeat four times double tonguing [TKTK] 165, triple tonguing [TKT] 249, [TTK] 13 are used. flutter Tonguing that Used 24 times. It is used 43 times as a playing method that breaks the surrounding notes and decorates the pitch. Musical expression is enriched, and the tone and harmony that only Saenghwang has. I hope this will be of help to those who want to play this song because they have analyzed the saenghwang melody and playing method of the saenghwang concerto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