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김병호의 가야금산조, 아쟁산조, 허튼가락 선율비교연구

Title
김병호의 가야금산조, 아쟁산조, 허튼가락 선율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Gayageum Sanjo, Ajaeng Sanjo, Heoteungarak by Kim Byung Ho : Focus on Jungmori
Authors
민세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김병호는 가야금산조 제2세대 명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 연구에서 그가 남긴 아쟁산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아쟁산조를 연주한 제1세대 명인임이 밝혀졌고, 또 최근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가피아스 소장자료집󰡕에 수록된 음원중에 김병호가 연주한 허튼가락의 존재를 밝힌 논문이 󰡔국악원논문집 제41권󰡕에 실리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김병호가 연주한 가야금산조의 중모리뿐만 아니라그가 남긴 또 다른가락인 아쟁산조의 중모리, 가야금으로 연주한 허튼가락을 연구하고자 채보·분석하여 선율을 비교하였다. 세곡의 각 선율 본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야금산조의 중모리는 크게 계면조, 평조, 강산조(계면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중모리 초두의 계면조에서 사용되는 굵은 농현이 조가 바뀌어 가면서 그 폭이 점점 좁아지고 미분음적 요소가 두드러져 가는 양상을 보였다. 계면조에서는 제2반음의 사용되었고 또한 종지형에 있어서 정형화된 패턴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둘째, 아쟁산조는 리듬형이 복잡하지 않고 단락구분이 명확한데, 전체적으로 C본청 계면조로 진행하고 있다. 아쟁에서 제2반음이 전체 총16장단 중에서 총6장단에 걸쳐 나타나고 있어, 제2반음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지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가야금의 중모리 양상과 유사하다. 셋째, 허튼가락은 제2반음의 부가적인 시김새의 사용과 함께 경과적인 음이나 여음을 이용한 미분음 진행과 같은 부가음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귀곡성이라 불리는 하모닉스 주법으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음계는 C본청 계면조, G본청 계면조, C본청 계면조로 청을 변화하여 사용되고 있다. 허튼가락 역시 종지형 가락이 정형화된 형태로 반복되고 있다. 즉 세 곡의 선율 간 유사성은 제2반음의 사용과 종지형태의 반복적인 사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김병호가 남긴 음악의 특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세 곡의 동일, 유사, 상이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 유사한 선율은 모두 계면조로 구성된 선율에서 나타났다. 특히 제3·4박에 걸쳐 나타나는 종지구의 음형이 같거나 유사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선율 진행, 선율이 발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시 되는 미분음적 요소, 계면조에서 청의 변화시 제2반음의 사용, 각 단락마다 나타나는 종지형의 정형화된 패턴 등의 요소들이 김병호가 남긴 가야금산조, 아쟁산조, 허튼가락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선율적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상이선율은 부가적인 음이나 시김새 등 다른 성격의 요소가 더해진 계면조의 선율, 여러 장단에 걸쳐 진행하는 선율, 평조로 구성된 선율에서 주로 나타났다. 둘째, 세 선율간에 동일한 형태의 선율이 사용된 장단의 수는 가야금산조에서 총 7장단, 아쟁산조에서 총 6장단, 가야금 허튼가락에서 총 18장단으로 나타났고,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선율의 장단수는 가야금산조에서 총 5장단, 아쟁산조에서 총 3장단, 가야금 허튼가락에서 총 2장단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로간에 유사성을 보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이루어진 선율이 나타난 상이선율의 장단수는 가야금산조가 총 21장단, 아쟁산조가 총7장단, 가야금 허튼가락은 총 34장단으로 나타났다. 즉 김병호에 의해 만들어진 세 가지 선율에서 김병호의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동일, 유사선율의 비율은 가야금산조에서 36%, 아쟁산조에서 50%, 가야금 허튼가락에서 37%로 나타났다. 가야금산조와 가야금 허튼가락의 동일, 유사선율의 비율이 36%와 37%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유사한 형태는 주로 김병호의 가야금 산조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선율형태와 종지형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가야금산조, 아쟁산조, 가야금 허튼가락은 각각 김병호만의 특징적인 선율이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상이선율은 아쟁산조의 경우 50%가 달리 나타나며 이것은 악기의 특성에 맞는 고유의 선율이 구축되었기 때문이고, 허튼가락 또한 즉흥성이 높은 선율답게 63%에 해당하는 다양한 종류의 선율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김병호가 남긴 음악인 가야금산조와 아쟁산조, 허튼가락을 서로 비교하여 음악적 특징을 알아봄으로서 김병호의 음악에 담긴 특징적 요소를 알아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 알려진 김병호의 예술세계에 대하여 보다 넓은 영역에서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연구가 중모리에 한정되어 전체적인 음악세계를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기에, 후속연구를 통해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져 김병호의 음악세계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전해지기를 기대해본다.;Kim Byung Ho is Known as a master of second generation at Gayageum Sanjo. Recent study found out him a master of second generation at Ajaeang Sanjo too. Recently published sound source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A collection of Garfias󰡕 which is showing the existence Heoteungarak played by Kim Byung Ho has been contained at 󰡔The 41st Journal of National Gugak Center󰡕.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comparing melodies by sampling and analyzing the Jungmori of Gayageum Sanjo played by Kim Byung Ho, Ajaeng Sanjo, and Heoteungarak played with Gayageum are as follows. First, the Jungmori of the Gayageum Sanjo was proceeded roughly in order by Gyemyeonjo, Pyeongjo, and Gangsanjo scale. As a scale changed, wide vibrations used in the outset of the Jungmori Gyemyeonjo increasingly features narrow and various differentiated sound elements. In particular, at Gyemyeonjo the use of sharps or flats came up frequently. It also shows repeated fixed patterns in the ending Phrases Second, Ajaeng Sanjo features a rhythm in short and straightforward demarcation in a type of Gyemyeonjo C tonic as a whole. Also in Ajaeng Sanjo, the second half is also played over six of the 16 forms, proving that the second half is being used in a significant way. A Fixed patterns in the ending Phrases also appeared repeatedly, which is similar to the aspects of the Gayageum. Third, at Heoteungarak although the use of the Second half-tone overall was rarely shown, there were many additional sounds, such differentiated sounds using a passing or lingering sound. There is also a distinct feature of the use of a harmonics method called the Ghosts-wail. There are many Scales using like a Gyemyeonjo C tonic, Gyemyeonjo G tonic, Gasanjo G tonic. A Fixed patterns in the ending Phrases are stereotyped in the form of repeated in Heoteungarak too. In other words, three of their melodies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secondary of sharps or flats in A Fixed patterns in the ending Phrases of repetitive use. Both of what Kim Byung Ho has left are important factors that reveal the nature of his music. Th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of the same, similar and different tunes are as follows. First, three songs’ melodies have Kim's common features. The comparison of the three melodies shows that the same or similar melodies were all expressed in a melody made up of Gyemyeonjo.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sound form of the a Fixed patterns, which appears over the 7, 8, 9 and 10, 11, 12th beat, was the same or similar. The melody of Gyemyeonjo tunes with element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additional notes and Sigimsae, along with the melody of various rhythms, and the melody consisting of flat tunes, usually appears in different melodies. In summary, elements such as the distinctive melody progression of the Gyemyeonjo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melody, the important differentiated elements, the frequent use of the second half in the Gyemyeonjo, and the formalized pattern of ending phrase in each paragraph are the same musical characteristics left by Kim Byung Ho. Second, the number of rhythms used in the same form between the three melodies were shown in a total of seven rhythms in the Gayageum Sanjo, six in the Ajaeng Sanjo, and 18 in the Gayageum Heoteungarak. Similar forms of melody were found in the Gayageum Sanjo with a total of five rhythms, Ajaeng Sanjo with a total of three and Gayageum Heoteungarak with a total of two. Meanwhile, the number of rhythms whose own melodies were not similar to each other, showed that the Gayageum Sanjo had a total of 21 beats, Ajaeng Sanjo 7, and Gayageum Heoteungarak 34. In other words, in the three melodies made by Kim Byung Ho, the ratio of his characteristics to the same and similar melody was 36% in Gayageum Sanjo, 50% in Ajaeng Sanjo, and 37% in Gayageum Heoteungarak. The ratios of a same and similar melody between Gayageum Sanjo and Heoteungarak is 36% and 37% respectively. Such similar forms are mainly found in the melodic and ending phrase forms characterized by Kim Byung Ho's Gayageum Sanjo. In other words, the distinctive tunes of Kim Byung Ho were used in common at Gayageum Sanjo, Ajaeng Sanjo, and Gayageum Heoteungarak. On the other hand, Ajaeng Sanjo has its own melody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about half of the musical instruments. It can be seen that in Heoteungarak, the melody being melted, produced using various types of voices over 63% of the volu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