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1 Download: 0

신창렬 작곡 25현가야금 4중주 <고래歌> 분석

Title
신창렬 작곡 25현가야금 4중주 <고래歌>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25-String Gayageum Quartet by Shin, Chang-ryul
Authors
김주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신창렬 작곡의 25현가야금 4중주 <고래歌>를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을 분석하기 위해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경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작품해설과 조현법, 악곡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율과 화성, 종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래歌>는 단악장 형태를 지니며, 총 205마디로 구성되어있는 25현가야금 4중주곡이다. 작곡가에 의해 총 8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연주순서는 Part 1-1 Prologue → Interlude 1 → Part 2-1 → Part 3-1 → Part 3-2 → Part 2-2→ Interlude 2 → Part 1-2 Epilogue이다. 둘째, Part1-1 Prologue는 12/8박자, 빠르기 ♪=126으로 곡의 도입부에 해당하며 발전될 선율의 모티브들을 제시하고 있다. Interlude1의 시작과 중첩되어 끝나는데 이는 시작과 끝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하고 싶은 작곡가의 의도로 풀이될 수 있다. Interlude1은 연결구에 해당하며, 가야금1의 솔로 부분이다. 주요 화성은 변형된 딸림7화음이며 16분음표로 분박된 리듬 선율이 주를 이루며 점점 빠르게 연주한 후에 늘임표로 늘려 충분한 시간을 쉰다. 이러한 쉼은 고조된 긴장감의 해결로 해석되며 이 또한 종지에 해당한다. Part2-1은 4/4박자, 빠르기 ♩=126으로 변박하여 시작하며 6/4박자로 다시 변박된 후 또다시 4/4박자로 돌아온다. 변박을 사용하여 긴장감 형성하며 유니즌 진행으로 인한 음량의 증가로 음향적 종지를 형성하고, 근음과 5음의 반음계적 진행으로 긴장감을 조성하여 종지를 형성하고 있다. Part3-1은 리듬의 변화와 작은 소리로의 전환을 통해 긴장감을 조성시키면서 시작하며 엇박과 하행선율이 주를 이룬다. 또한 반복되던 선율적 해결을 보류하면서 긴장감 더해 Part3-2로 넘어가기 위한 연결구로 활용된다. Part3-2는 두 대의 가야금이 오스티나토 진행을 하며 더욱 두터운 반주선율 형성하고 있으며, 오스티나토 선율들에서 나타나는 반음계적 선율이 특징이다. 또한 하행선율과 상행선율들이 교차하며 긴 프레이즈를 형성하며, Part3-1에서 등장했던 엇박과 Part2-1에서의 주요 선율 및 리듬이 등장하고 유니즌을 통한 음량의 증가로 음향적 종지감을 형성하여 극적인 효과를 더하며 Part2-2로 진행한다. Part2-2는 음량의 축소를 통해 곡의 몰입을 계속 유지하며 이끌어 가며 하행선율과 유니즌 진행으로 단계적 긴장감을 축적하고 있다. 또한 3/4박자로의 변박을 통해 리듬을 축약하여 리듬적 종지를 형성하고, 다시 4/4박자로 변박하여 하행선율을 통한 선율적 종지와 유니즌 진행으로 음량을 극대화한 음향적 종지가 함께 나타나는데 이를 근음으로 끝맺으며 마침 종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는 이 곡 전체에 대한 마침 종지의 해결이라고 할 수 있으며 클라이막스라 할 수 있다. Interlude2는 가야금1의 솔로 부분으로 종지의 해결에 대한 연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독주곡의 카덴자를 연상시킨다. Part1-2 Epilogue는 Part1-1 Prologue의 단순화 또는 축소된 형태로 코다(Coda)의 역할을 하며, 근음으로 끝나는 완전 종지를 통해 곡은 마무리 된다. 이상 작곡자 신창렬의 <고래歌>는 선율들이 산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짐을 반복하고 오스티나토 패턴이 반주역할을 하는 곡으로 변박과 당김음이 주로 사용되었다. 선율적 종지, 음향적 종지, 리듬적 종지, 화성적 종지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긴장감을 형성하고 마침종지로 최종 해결하는 곡으로 종지 형성을 통해 다이나믹 방향을 제시한다. 본 곡을 연주함에 있어 다이나믹 표현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연주자들의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25-string gayageum quartet, composed by Shin Chang-ryul. To analyze this song, we looked at the composer's musical background and tendency to work, and looked at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e method of articula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music. It also analyzed melody, harmony, and cadence .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s a 25-stringed gayageum quartet composed of 205 measures in total, which has the form of a single movement. It is divided into 8 parts by the composer, and the order of performance is Part 1-1 Prologue → Interlude 1 → Part 2-1 → Part 3-1 → Part 3-2 → Part 2-2→ Interlude 2 → Part 1-2 Epilogue to be. Second, Part1-1 Prologue is 12/8 beats, tempo of ♪=126, and provides motifs for the melody to be developed. It overlaps with the beginning of Interlude 1,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omposer's intention to blur the boundaries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Interlude 1 is a connection, and is the solo part of Gayageum 1. The main harmony is the modified dominant seventh chord, with the Sisteenth note forming the main rhythmic melody, played with Accel and then rested with Fermata. Such rest is interpreted as a solution to the heightened tension, which is also a cadence. Part2-1 starts with a 4/4 beat, tempo of ♩= 126, back to the 6/4 beat and then back to the 4/4 beat. Tension is formed by changing the beat, an acoustic cadence is formed by increasing the volume of sound due to unison, and tension is formed by the chromatic progression of tonic and dominant. Part3-1 begins by creating tension through changes in rhythm and transitions to low sounds, with the main melody of offbeat and downward melody. It is also used as a connection to move on to Part 3-2, adding tension while withholding repeated melodic solutions. Part 3-2 is characterized by a thicker accompaniment melody as two gayageums proceed with ostinato, and chromatic melody appears in ostinato melody. In addition, the downward melody and the ascending melody intersect to form a long phrase, and the off beat that appeared in Part 3-1 and the major melody and rhythm in Part 2-1 appeared, and the acoustic cadence was formed by increasing the volume through unison. Add effect and proceed to Part2-2. Part2-2 keeps the immersion of the song by reducing the volume and accumulates a sense of tension in stages with downward melody and unison. In addition, a rhythmic cadence is formed by abbreviating the rhythm through a change to a 3/4 beat, and a melodic cadence through a downward melody and an acoustic cadence that maximizes the volume through unison appear together. It ends with a tonic and finally forms the cadence. This can be said to be the solution of cadence for the whole, and it can be called a climax. Interlude2 is the solo part of Gayageum 1, which can be said to be an extension to the cadence solution and is reminiscent of cadenza. Part1-2 Epilogue is a simplified or reduced form of Part1-1 Prologue that plays the role of Coda, and the song ends through a complete cadence ending in tonic. The above composer Shin Chang-ryul's is a song in which the melodies appear sporadically and disappear, and the ostinato pattern plays an accompaniment, and the strains and syncopation were mainly used. We present dynamic directions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end of the end with a song that uses melodic, acoustic, rhythmic, and harmony cadence to form various tension and finally solves it with the e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ynamic expression in playing this song, I hope it helps performers perform in real play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