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6 Download: 0

Thomas Osborne 작곡 분석 연구

Title
Thomas Osborne 작곡 분석 연구
Authors
류가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해금과 첼로의 2중주 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곡 분석에 앞서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 경향, 작품해설을 알아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악곡 전체의 구조와 해금과 첼로의 선율 진행 양상을 분석한 후 해금의 특징적 연주기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곡 구조는 총 179마디의 곡으로 별도의 악장 구분이 없으며 리허설 마크, 연주 형태, 선율 진행 방식 등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총 8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악곡 전체의 진행 속도를 보았을 때 느리게 시작하여 점차 템포가 빨라지면서 선율을 고조시켰다가 서서히 여유로운 템포로 마무리하는 형식으로 전통음악의 ‘한배에 따른 형식’처럼 나타났다. 둘째, 선율 진행 양상을 단락별로 분석한 결과 A단락은 4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3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해금의 모든 프레이즈가 a음으로 시작하여 선율을 하행시키다 상행진행 하고 있으며, 첼로의 모든 모티브들은 하모닉스를 사용하며 하행하는 선율선을 보인다. B단락은 5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3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해금의 프레이즈를 따라 첼로의 모티브가 움직이며 해금의 선율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C단락은 5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3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해금과 첼로는 한 개 이상의 같은 음을 출현시켜 선율 진행의 개연성과 통일성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해금과 첼로가 다른 리듬 패턴으로 진행하는 폴리리듬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이처럼 두 악기는 선율선은 통일감을 주고, 리듬적 요소는 다르게 움직이게 하여 곡의 분위기를 다채롭게 표현하였다. D단락은 10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2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C단락에서 사용한 폴리리듬을 다시 사용하며 선율선들을 상행진행시킴으로써 곡의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E단락은 6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모티브ⓕ에서 파생된 5개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박자의 변화가 가장 많은 단락이며, 해금의 프레이즈와 첼로의 모티브의 시작과 끝을 다르게 하여 두 악기 간 선율선이 가장 독자적이고 자유롭게 진행하고 있는 단락이다. F단락은 1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진행하고, 첼로는 3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해금은 도약적인 선율진행을 하고 첼로는 하모닉스가 아닌 음을 사용하는 normal tone의 아르페지오 형태로 상행하며 곡의 분위기를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F'단락은 2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4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두 악기 모두 음높이를 상승시켜 셈여림 fff까지 도달하여 곡의 분위기를 최고조에 이르게 한다. A'단락은 3개의 프레이즈로 해금의 선율이 구성되고 첼로는 4종류의 모티브를 이용한다. A단락의 선율을 재현하며 두 악기 간의 대비되는 선율 진행 양상을 보이며 곡의 분위기를 이완하며 마무리한다. 셋째, Thomas Osborne은 작곡할 때 해금의 구조적인 특징에서 오는 음색과 표현 기법을 고려하여 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들을 잘 나타내었다. 연주기법으로는 다양한 농현을 표현함으로써 곡의 분위기와 다이나믹을 극대화했으며, 추성, 퇴성, 글리산도를 사용함으로써 선율선의 흐름을 매끄럽게 만들고 해금만이 낼 수 있는 음색과 미분음들의 표현을 잘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 앞꾸밈음의 시김새를 사용하여 단선적일 수 있는 선율을 다채로운 선율로 나타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해금과 첼로의 2중주 곡인 는 곡 전반적으로 해금의 프레이즈를 따라 첼로의 모티브가 움직이는 선율 진행 양상을 보였다. 또한, 서양음악의 음계에 해금의 전통적인 연주기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해금과 첼로의 선율의 조화로움을 잘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해금과 첼로의 2중주 곡인 선율 분석을 통하여 서양 작곡자들이 한국악기로 국악창작곡을 작곡하는 데 있어 악기의 전반적인 특징뿐 아니라 이해와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작곡 활동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연주자들의 다양하고 활발한 연주 기회가 생기길 바란다.;This paper studied a duet of the Haegeum and Cello, , and prior examined the composer's musical background, tendency of work, and commentary. Based on this, the structure of the whole piece and the melody of the cello was analyzed, and the musical elements of the piece were examined. The analyzed results of the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the music was composed of a total of 179 bars, with no particular separation, and a total of 8 sections divided by the rehearsal mark, the form of the performance, and the way the melody was performed. Throughout the overall progression, the melody heightened as the tempo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slowly finished with a slow and set back tempo, which appeared to be like a "Sanjo that follows the current tempo"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 after analyzing the pattern of melody prog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melody of the Haegeum is composed of four phrases, and the cello also proceeds in four patterns based on motifⓐ. Period B is composed of five phrases and conducts a melody line with the cello. Period C is post-tonal, but the structure of the melody is made by the cello starting its melody by receiving notes from the Haegeum, and vice versa. Period D creates a polyrhythm and tension through the two instruments co creating beats and then following after. Period E shows multiple changes of beat and demonstrates strong contrast of the two instruments while letting them freely perform independently. Period F has simple elements of rhythm, but was often accompanied by changes of the Nonghyeon. The Haegeum produces a full melody line by using a wide range of notes, and the cello makes a rich sound in the form of Arpeggio in a normal tone. In Period F', the Haegeum and Cello gradually merge as they intermittently share the composition. Gradually the notes heighten until it is raised to the highest note to reach fff, which is the peaking point of the piece. The last Period A' slowly finishes the song and makes a relaxing mood by recreating the melody of A and showing a downward melody. Third, Thomas Osborne well presented the musical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onsideration of the tone and expression techniques that come from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Haegeum when composing. The musical technique maximized the mood and dynamic of the piece by the usage of various Nonghyeon, and the melody line flow was smoothed out by using sweep-up and sweep-down techniques such as Chuseong and Toeseong, revealing the tone and unique sounds that only the Haegeum can make. Finally, the decorative Sigimsae that serves a similar role to the Sanjo Naedeureum was used to create a colorful melody while it could have been flat. As such, the duet of the Haegeum and cello showed a melody that allowed cello motifs to move along with the Haegeum's phrase. Also, the traditional playing techniques of the Haegeum were actively utilized in the scale of Western music, which resulted in the harmony of the melodies of the Haegeum and cell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lody of the Haegeum and cello duet the necessity of Western composers'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cultural elements as well a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musical instruments while compo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Korean instruments was found. I hope that such compositions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uture, giving performers various and active opportunities to perfor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