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기독교와 민족적 정체성

Title
기독교와 민족적 정체성
Other Titles
Christianity and National Identity : Focusing on Maria Kim and In-duk Pahk during the Colonial Era
Authors
이규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현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당대의 대표적인 기독교 여성 지식인이었던 김마리아와 박인덕의 생애와 그 활동을 살펴 보고, 이들의 사상 형성에 주요 변수로 작용한 기독교와 민족의 상호 작용을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기독교의 사회적 함의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김마리아와 박인덕은 대표적인 근대 기독교 여성 지식인으로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두 여성 모두 기독교 신앙인으로서 미션 여학교에서 근대적 여성 교육을 받은 후, 미국 유학까지 다녀온 대표적인 여성 지식인이었다. 또한 이들은 여성항일운동단체에서 함께 활동했던 동료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에 걸쳐 일본의 폭력에 노출되면서 일제 식민 지배 말에 이르러서는 전혀 다른 결말 을 노정하였다. 김마리아는 대표적인 근대 기독교 여성 지식인으로 2.8독립선언과 3.1운동 그리고 대한민국애국부인회 활동을 통해 널리 알려진 항일여성운동계의 지도자 였다. 김마리아의 독립운동은 생애 전반에 걸쳐 전개되었으며 그녀의 활동은 조선 사회에 여성이 정치사회적 주체임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박인덕은 식민지 시대 대표적인 기독교 여성 지식인이자 교육가, 사회 활동가 였다. 이화학당에서의 근대적 여성 교육을 통해 여성과 민족을 자각한 박인덕은 3.1 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기도 하였다. 또한 미국 학생자원운동(SVM)의 동양 인 최초의 순회 연설가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3.1 운동에서 일본의 압도적인 폭력 을 체험하고 점차 서구 기독교의 힘에 의지하면서 조국 조선으로부터 괴리되어 갔다. 결국 일제 말엽에는 적극적인 친일 인사로 변절하였다. 김마리아와 박인덕은 기독교인이자 근대 여성 지식인이라는 공통점을 지녔으나 일제 말에 이르러서는 전혀 다른 양상을 노정했던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두 여성 지식인의 사상을 형성하는 데 주요 변수였던 기독교와 민족의 상호 작용에 따른 것이었다. 즉 기독교 신앙이 민족이라는 공동체를 내부의 시선으로 보도록 이끌어 기독교와 민족적 정체성을 병존시키는 변수로 작용하는가 혹은 민족을 외부의 시선으로 보도록 하여 기독교가 민족적 정체성을 해체시키는 변수로 작용하는가 에 따라 각자 상이한 신앙적 특질을 형성한 것이다. 이는 오늘날 민족의 평화 통일이라는 역사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한국 기독교의 사회 윤리를 형성하는 데 있어 두 여성 지식인의 삶과 신앙적 특질은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s and activities of Maria Kim and In-duk Parhk, the representative Christian female intellectuals of the time, and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nation,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their ideology to study social implication of Korean Christianity. Maria Kim and In-duk Parhk had many similarities as representative modern Christian female intellectuals. Both women were Christian believers and were representative female intellectuals who went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after receiving modern women's education at Mission Girls' School. They were also colleagues who worked together in women's anti-Japanese movement groups. However, exposure to Japanese viole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led to a completely different ending by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Maria Kim is a representative modern Christian female intellectual. She was a leader in the anti-Japanese women's movement, widely known through the 2.8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Korea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ia Kim unfolded throughout her life, and her activities became an opportunity to imprint women as political and social subjects in Joseon (Korean) society. In-duk Parhk was a representative Christian female intellectual, educator, and social activist during the colonial era. She became aware of women's identity and ethnicity through her modern women's education at the Ewha Hakdang, and In-duk Parhk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She also served as the first Asian tour speaker for the American Student Volunteer Movement (SVM). However, as she experienced Japan's overwhelming violenc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gradually relying on the power of Western Christianity, she became separated from her motherland Joseon. She eventually turned into an active pro-Japanese collaborator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Maria Kim and In-duk Parhk had a common point of being both Christians and modern female intellectuals, but by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y went through completely different aspects. This pattern wa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nation, which was a major variable in shaping the ideas of the two female intellectuals. In other words, depending on whether Christianity acts as a variable to coexist with Christianity and national identity by seeing the community of nation as an internal perspective, or whether Christianity acts as a variable that dismantles national identity by making people view it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they formed different religious trait. This would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lives and religious qualities of two female intellectuals in the formation of the social ethics of Korean Christianity to carry out the historical task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nation tod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