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2 Download: 0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주양육자의 비대면 음악프로그램 참여 현황 및 인식조사

Title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주양육자의 비대면 음악프로그램 참여 현황 및 인식조사
Other Titles
Perception of primary caregiver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ele-music program
Authors
김소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의 주양육자가 인식하는 비대면 음악프로그램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6세부터 만 18세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 발달지연 등으로 진단받은 발달장애 아동의 주양육자이다. 연구모집을 위하여 온라인의 경우, 발달장애 아동 부모가 이용하는 부모지지를 위한 온라인 사이트에 연구목적과 절차 등에 대한 안내문을 게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자에 한하여 동의를 받은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오프라인의 경우에는 발달장애 아동이 이용하는 장애인복지관, 음악치료센터, 교회 내 장애부서 등의 담당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하여 안내한 이후 참여에 동의 의사를 밝힌 사람들에게만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83명으로 집계되었으나, 응답이 불충분하게 완료된 16부를 제외하고 총 67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의 주양육자들의 응답을 통하여 비대면 학교수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가정 내에서 비대면 프로그램을 위한 환경이 어느 정도 구성되어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비대면 수업 진행 시 발달장애 아동을 도울 수 있는 인력의 필요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비대면 음악프로그램 참여 현황 및 인식을 통하여 아동이 음악을 통하여 긍정적인 반응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발달장애 아동의 주양육자는 아동의 감염문제 예방의 측면에서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아동의 부정적행동에 대한 대처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일반교과수업과 음악프로그램간의 인식을 비교하였을 때, 음악프로그램 진행 시 아동의 주의유지와 참여에 있어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향후 비대면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을 때, 비대면 음악프로그램을 경험한 그룹이 향후 비대면 음악치료의 필요성에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향후 비대면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imary caregiver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gaged in tele-music program and how they perceived the distant program.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elays, ranged from the age of 6 to 18.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ask the caregivers to report the type of participating program, the intensity of the program, goals and the required materials for the program. Their perception on the program in terms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childrens’ response during the program, and perceived difficulties were also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welf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nline support groups. The consent form was obtained from caregiver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ior to participation. A total of 83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 returned responses, 67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16 incomplete respons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nvironment at home for distant programs is somewhat suitable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th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distant school learning are continu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human resources to help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also reported that positive responses from children's music were observed due to their participation in and recognition of tele-music programs.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caregiv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tisfied in terms of preventing the infection of children, but it was difficult to deal with children's negative behavior. When comparing recognition between distant learning and music programs, it was reported that participating in music programs brings more positive outcome regarding the maintenance of students’attendance and participation. When comparing future perceptions of tele-music therapy,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responses are observed from groups who experienced tele-music programs about the need for future tele-music therap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esented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tele-music therapy program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