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가창 프로그램 개발

Title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가창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So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mong Multicultural Youths
Authors
최윤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졍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가창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선행 연구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활동에 필요한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고, 가창 중심의 음악치료 중재 연구의 문헌 조사를 통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된 음악 활동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음악치료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사)전국음악치료사협회 음악 중재 전문가 (KCMT) 2인에게 검증을 받았다. 전문가의 평가 내용은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구조와 임상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와 프로그램 전반의 종합적인 의견 서술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프로그램은 문헌 고찰 및 분석을 위한 1단계, 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 단계인 2단계, 총 두 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다. 1단계인 고찰 단계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선행 연구의 고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 연구의 고찰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단계와 활동의 내용을 선정하였다. 2단계인 개발 단계에서는 고찰을 통해 추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프로그램 내 목표를 설정하고 변인의 하위요소에 맞는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구성하여, 총 10회기의 가창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두 단계에 걸쳐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자기존중감의 하위요소인 가치감, 유능감, 소속감을 촉진하는 단계적 중재 절차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둘째, 회기 구성과 활동 목표을 위계적인 단계로 제시하여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였다. 셋째, 활동에 사용된 음악 논거와 활동 내용의 논거가 타당화된 가창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1차 타당도 검증 시 평균 4.0점 이였으나 2차 검증시 평균 4.17점으로 향상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문가들은 변인의 하위요소와 연관되게 목표를 재설정하라는 의견을 제안했으며, 활동에 사용된 예시곡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여 기술할 것과 활동의 마무리 단계에서 치료사가 내담자에게 구체적 질문을 제공하여 내용을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자는 중재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가창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소그룹 합창의 형태이며 14-17세의 다문화 가정 청소년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회기는 총 10회기로 주 1회, 45분에 걸쳐 활동이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4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자기존중감의 하위요소인 가치감, 능력감, 소속감에 영향을 주는 자기 탐색, 자기 이해, 자기수용, 타인수용을 회기별 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목소리 탐색, 화음 경험, 단선율 멜로디 제창, 2·3·4성부 합창, CD제작, 음악회로 각 회기별 목표에 부합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가창 활동 중심 프로그램의 다양한 개발과 다문화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음악치료 프로그램 연구의 활발한 진행을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심리·정서적 영역에서 목소리를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nging activity program to improve adolescents’self-respec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verify their fea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content elements needed to improve the teenagers’ self-respect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extracted through a literature investigation of precedent research, and music activities commonly used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of the singing-oriented music therapy intervention study, and then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developed program has been verified by two music mediators (KCMT) from the National Association of Music Therap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music therapy. The assessment evaluated by experts is composed of a five-point scale consisting of questions about program composition and progress and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and a comprehensive statement of opinion across the program. The program has two stages: one for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anotherfor program composition and development. In the first stage of the review,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to improve youths’ self-esteem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through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study to improve self-esteem.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a total of 10 singing programs were developed, with objectives set in the program based on the content extracted through consideration and programs that fit the sub-factors of the variables.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wo stag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is program presents a program consisting of step-by-step arbitration procedures that promote a sense of value, ability, and belonging, which are sub-factors of self-respect. Second, the program was structured by presenting the composition of the session and the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at hierarchical levels. Third, a singing program was presented to justify the arguments for music and the contents of th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program, the average validity was 4.0 points for the first validation, but the improved validity was 4.5 points for the second validation. Experts suggested that the goal should be reset in 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the variables, and the musical features of the example songs used in the activity should be analyzed and described and then the therapist supplement the content by providing specific questions to the physician at the end of the activity. The researcher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by the opinions of the arbitration experts and completed the final program. The singing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a small group choir and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14 to 17. A total of 10 sessions of the program are held once a week, for 45 minutes.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the goals of each session include self-discovery, recognition, self-acceptance, and acceptance, which affect the sub-factors of self-respect, ability, and belong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voice exploration, harmony experience, single-track melody singing, 2nd, 3rd, 4th vocal choral, CD production, and music concerts that meet the goals of each session. Through this program, we hop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singing activities and actively conduct research on music therapy programs for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 also hope follow-up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use as a therapeutic tool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