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9 Download: 0

대학생이 지각한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이 지각한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Authors
박수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지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실패공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고 학습장면에서 연구되어오던 변인인 실패공포가 진로 상황에서도 부정적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여 대학생 대상의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경기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여 33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v.3.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뒤,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아버지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시행하고,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시행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이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실패공포가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은 실패공포와 정적상관을 나타낸 반면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실패공포와 진로결정수준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어머니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을 아버지의 헬리콥터 부모역할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 실패공포,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헬리콥터 부모역할만이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대학생의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아버지와 어머니 모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으로 가는 간접효과를 실패공포가 조절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실패공포의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달라졌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낮춰 진로결정수준을 감소시키며, 이러한 영향은 실패공포가 높을수록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진로상담장면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증진도 중요하지만, 실패에 대한 공포 또한 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licopter parenting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hrough online commun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job seekers, as well as major social networking platforms. A total of 332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and the SPSS PROCESS Macro v.3.5 program. First,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a paired t-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mediation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career decision level,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Finally,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ith fear of failure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licopter paren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ar of failur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helicopter parenting b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wards career decision level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fear of failure. In s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er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helicopter parenting should not only seek to enhanc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ut also deal with their fear of fail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