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미결정의 관계

Title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미결정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 Mediation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uthors
이희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College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need to decide their own career and prepare for them. However, many college students in Korea are confused with their interest, aptitude and value and have difficulty deciding their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hich is a contextual variable of career decision making but wasn’t regarded as the cause of career indecision, contributes to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which are characteristic and cognitive factors to career indecision,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of Korea and collected data was us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were conducted by SPSS 25.0.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by PROCESS macro(v.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and covert narcissis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self-concept clar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ther variables. Second, t-test on the differences by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indecision and covert narcissism.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n self-concept clarity. Third, an examination of the model with covert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s mediating factors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all direct paths were significant. Fourth,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mediating and dual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directly predicts career indecision and its effect on career indecision was mediated by covert 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that are characteristic and cognitive factors to career indecis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 and cognitive variables and specific mechanism of career indecision that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y an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that is the easily applied intervention to career counseling scene of college students and help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context of self-concept clar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eek proper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college students’career indecision.;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성인진입기이며,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하여 준비해나가는 발달과업을 가진 시기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생들은 자신의 흥미, 적성, 가치관 등에서 혼란을 느끼고,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인 변인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개인 내적인 변인 중 성격적 요인인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요인인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합적으로 확인하여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구인 및 기제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결정을 앞두고 있는 전국 소재 4년제 대학교의 3, 4학년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54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SPSS 25.0을 이용하여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차이 검증을 통해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PROCESS Macro(v.3.5)를 이용하여 이중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과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 내현적 자기애는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은 다른 세 변인 모두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 검증 결과, 모든 변인에 대해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 인식, 진로미결정, 내현적 자기애에서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에서는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과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확성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단순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내현적 자기애와 낮은 자기개념 명확성을 순차적으로 거쳐 진로미결정에 이르는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은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대학생 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형성과 낮은 자기개념 명확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대학생의 가장 큰 고민으로 여겨지는 진로미결정 문제에 대해 맥락적인 변인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과 개인 내적 변인 중 성격적 요인인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요인인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구체적인 기제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지금까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던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행동과 대학생 자녀의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분명히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진로상담 장면에서 개입의 여지가 크다고 여겨지는 인지적인 요인인 자기개념 명확성에 대해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자기개념 명확성의 형성 배경에 대해 환경적·성격적 측면에서 이해함으로써 적절하고,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