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sign Class on Sense of Community: Focusing on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Authors
이예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the basis of maintaining social order, is a consciousness necessary for social members to recognize and solve social problems caused by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as a common problem. In modern society is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social conflict due to the absence of a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Korean students in adolescence, which is an important time when social identity is to be established, that schools at each level are sufficiently cultivat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students due to competition-oriented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Kim Wee-jung, 2016). Adolescence is a time when self-identity is formed and developed in a community, and educational effort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re more emphasized. And also, community conscious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also on school life adaptation, It helps to prevent a variety of problems(Park Young, Heo Won-koo, 2017). In addition, community consciousness lowers social atrophy related to depression of adolescents, and relatively few behaviors that cause harm to other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Woo Yu-ra, Noh Choong-rae, 2014).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can contribute to solving not only the internalization problem but also the externalization problem in adolescence. This sense of community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the core value of respect for others and the life of the planet among the ten learning topic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society, environment, economy, and culture, is an education that fosters the ability of learners to choose and participate in alternative ways of life by critically thinking and reflecting on problems in their lives. (UNESCO Korean Committee, 2014). In addi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a profound interrelationship with the social function of art that emphasizes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close to life. In this trend, sustainable design reflecting the philosophy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 advanced concept that harmoniously integrate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as well as environmental aspects of products. It is in line with the value orientation that emphasize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planet(Jang Yeon-ja, Lee Ju-yeon, 2018). Therefore, this researcher developed a sustainable design class as a middle school class program to cultivate learner's sense of community. However, as social distancing was practiced due to COVID-19, the duration of the class was shortened and the class was conducted online. The subject of the class is ‘create a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at reduces plastics’, that students explore the problems of package design in real life and create package designs for sustainability. This class focused not only on the experience of solving problems independently, but also on cultivating an attitude that can lead to practical actions for a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ustainable design classes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in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on sustainable design classe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e educational value was examined, a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Secon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ense of community and sustainable design art dealt with in art subjects were identified, and the contents and perspectives on sustainable design presented in each textbook were analyzed through the unit related to sustainable design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ird, among the textbooks containing sustainable design,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drawing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Fourth, based on the analysis, the theme of the sustainable design class was set to ‘create a sustainable package design that reduces plastics’. Accordingly,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plans were designed, and flow charts and detailed instruction plans fo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ere prepared. Fifth, using the Korean Community Awareness Test Scale developed by Jeong Jin-gyeon(1999), a test was conduct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a class of sustainable design was conducted in a class of B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Sixth, the pre- and post-examination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by verifying and analyzing wit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meaningful results of this program were derived. Seventh, class satisfaction also received positive results to verify r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examination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learner who participated in sustainable design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total score,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pre- and post-resul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sub-area. Among the sub-regions of community consciousness, "voluntary expression of intent to participate”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followed by "authoritarian and exclusion collectivism”, "self-reliance and public consciousness”, "intimacy and belonging”, “sharing with the same city and the public” and "harmony and unity”. Taking a comprehensive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 improved statistically in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more than 90% of learners responded to ‘Compared to before class, interest in sustainable design has increased.’ with ‘very yes, yes’, confirming the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this study.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sustainable design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ostering learners'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in the follow-up study, various grades should be sampl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nd a study should be conducted that considers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sustainable design reflecting the ide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ill continue to study diverse approaches to foster practical action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for sustainability in their lives for young people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사회질서 유지의 기초가 되는 공동체의식은 개인주의와 물질만능주의 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사회구성원들이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의식이다. 현대사회는 공동체의식의 부재로 학교폭력, 사회적 갈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문제와 직면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정체성이 확립되는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의 우리나라 학생들은 경쟁 위주의 입시교육으로 인하여 각급 학교가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충분히 육성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김위정, 2016). 청소년기는 공동체 속에서 자아정체성이 형성되고 발달되는 시기로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더욱 강조된다. 더불어 공동체의식은 심리적·사회적 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대인관계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강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동체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역량 강화를 통해 청소년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박영, 허원구, 2017). 이러한 공동체의식은 청소년들의 우울과 관련된 사회적 위축을 낮추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며, 학교생활의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우유라, 노충래, 2014). 위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청소년기의 내현화 문제뿐만 아니라 외현화 문제의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동체의식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10개의 학습주제 중 타인 및 지구의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핵심가치로 정한‘지속가능발전교육’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사회, 환경, 경제, 문화의 통합적 관점인‘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습자가 자신의 삶 속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성찰하여 스스로 삶의 대안적 방식을 선택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이다(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삶과 밀접한 문제들에 대한 이해와 해결을 강조하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과 깊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제품의 환경적 측면과 함께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까지 조화롭게 통합하는 진일보한 개념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추구하는 통합적 측면과 인류와 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강조하는 가치지향과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장연자, 이주연, 2018).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학교 수업 프로그램으로 총 6차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천됨에 따라 기존에 진행할 예정이었던 6차시의 수업을 2차시로 축소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수업 주제는 ‘플라스틱 줄이는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으로 학생들이 실제 삶 속에서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탐색하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을 제작해보며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보는 경험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실제적인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공동체의식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진행된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정리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에서 다루는 공동체의식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미술을 확인하고,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관련 단원을 통해 각 교과서마다 제시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내용과 관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수록한 교과서 중 사회적·경제적·환경적 관점과 관련된 도판이 포함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의 주제를‘플라스틱 줄이는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 제작하기’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목표와 평가계획을 설계하고 교수-학습 과정의 흐름도와 세부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다섯째, 정진경(1999)이 개발한 한국 공동체의식 검사 척도를 활용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B중학교의 미술동아리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한 전과 후의 공동체의식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여섯째, 사전·사후에 실시한 검사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 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곱째, 수업만족도의 긍정적인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 사전·사후 검사 결과 사전검사(M=3.49)에서 사후검사(M=3.97)로 공동체의식이 0.48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의식 하위영역 사전·사후 결과 중 대부분의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동체의식의 하위영역 중 ‘자발적 참여 의사표현’이 가장 높은 향상도를 나타냈으며, ‘권위적 집단주의’, ‘자율성과 공공의식’, ‘친밀성과 소속감’, ‘동일시와 공과의 공유’, ‘조화와 단결’순으로 높은 향상도가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자면, 중학교 3학년 공동체의식의 전체 영역과 하위항목은 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향상되어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공동체의식의 함양에 있어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업만족도의 질적 분석 결과로는 ‘수업 전과 비교해볼 때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에 90% 이상의 학습자가 ‘매우 그렇다, 그렇다’라고 응답하여 본 연구의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년들을 표본으로 수집하고 여학생과 남학생의 비율 또한 고려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념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삶 속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제적인 행동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에서의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