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6 Download: 0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중등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및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중등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및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the TPACK and Teacher Effica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Authors
양엄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교육부는 2020년 3월, 코로나 19로 인해 등교와 대면 수업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학습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학사 운영을 지원하고자 온라인 개학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수업은 교육부(2020)의 ‘원격 수업 운영기준안’에 따라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활용 중심수업, 과제수행 중심수업 등으로 구분되어 각 학교와 학생의 여건에 따라 운영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 환경에 맞도록 재설계하거나 이에 적합한 학습 자료를 제작하는 것은 교사가 새로운 수업 환경에 적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교수법을 연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 맥락에 맞게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과 수업에 적합한 테크놀로지를 선별하고, 이를 활용하여 수업을 재설계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 강화와 지원이 요구된다(도재우, 2020). 이와 관련하여 테크놀로지와 교수법, 교과 내용에 대한 상호작용적인 지식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TPACK 프레임워크는 테크놀로지지식, 내용지식, 교수지식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교사의 지식을 의미한다(Mishra, Koehler, 2006). 또한, 이러한 TPACK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신감과 신념에 변화를 주는 지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 중 교사의 심리적 특징인 교사효능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테크놀로지와 교육을 통합하는 교사의 지식을 측정하는 도구로 TPACK 프레임워크 중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요소인 TK, TCK, TPK, TPACK을 선정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을 잘 해낼 수 있다는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측정하는 도구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TPACK 프레임워크 중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구성 요소인 TK, TCK, TPK, TPACK은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경력과 수업 경험(온라인 수업 기간,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교사의 TK, TCK, TPK, TPACK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1.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의 TK, TCK, TPK, TPACK에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경력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기간에 따라 교사의 TK, TCK, TPK, TPACK에 차이가 있는가? 2-4.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기간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5.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교사의 TK, TCK, TPK, TPACK에 차이가 있는가? 2-6.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 경험이 있는 중등 교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TPK와 TPACK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의 TK, TCK, TPK, TPACK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기간에 따라 교사의 TK, TCK, TPK, TPACK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기간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교사의 TCK, TPK, TPACK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의 TK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가 교수법에 다양하게 테크놀로지를 사용하고, 이를 교수-학습 활동에 효과적으로 활용했는지에 대한 이해라고 할 수 있는 TPK와 TPACK이 높을수록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가 온라인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경험이 많아질 때 교사의 TPACK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테크놀로지를 실질적으로 교과 수업에 통합하는 데 필요한 지식인 TPACK을 고려하여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가 실제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하고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 유형은 온라인 수업 기간 동안 교사가 주로 운영한 수업 유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다른 유형의 수업을 경험한 경우 교사의 TPACK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가 사용한 수업 도구 및 수업 자료, 수업 지도안 등 실질적으로 교사의 온라인 수업 특성을 구분할 수 있는 예측 변인을 선정하여 연구를 한다면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교사의 TPACK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수업에 어떻게 사용하고 활용했는지에 대한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에서 교사의 TPACK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보다 실질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업 지도안 및 활동지, 수업 관찰리스트 등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TPACK과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온라인 수업 맥락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 맥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정교한 측정도구를 새롭게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TPACK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교사의 TPACK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향후 더 폭넓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온라인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교육에 통합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March 2020,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launched online schools to minimize the gaps in learning and support stable academic management while it is infeasible to attend school or 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ronavirus. The online classes were categorized into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content-oriented classes, task-based classes, etc. in accordance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s (2020) ‘Standards for Operating Distance Learning’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each school and its students. However, redesigning the pre-existing face-to-face classes to fit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or creating appropriate learning materials not only requires the teacher to adapt to a new teaching environment, but becomes a burden as it is expected they fi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an online classroom. Thus, to efficiently provide students with the pre-existing face-to-face lessons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it is essential to support and strengthen teacher competency in selecting and utilizing appropriate technologies to redesign the class (Jae-woo Do, 2020). In this regard, it is indispensable to examine the TPACK which has been proposed to illustrate the interactive knowledge framework between technology,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content. The TPACK framework refers to teacher knowledge in understanding the complex connections between technological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and for efficient teaching-learning (Mishra, Koehler, 2006). Furthermore, among the diverse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successful teacher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eacher efficacy, which is a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teachers, to observe whether the TPACK framework changes teachers’ confidence and opinions about online class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selected technology relevant factors TK, TCK, TPK and TPACK amongst the components of the TPACK framework to measure teacher knowledge in integrating technology and education in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and selected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as a tool to measure confidence in performing the role of a teacher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the components of the TPACK framework, do technology-related components TK, TCK, TPK, and TPACK make a significant prediction o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in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TK, TCK, TPK, TPACK and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career or teaching experiences (period of online classes, online class type)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2-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TK, TCK, TPK and TPACK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2-2. Is there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2-3. Is there a difference in teachers’ TK, TCK, TPK and TPACK depending on the period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d by the teacher? 2-4. Is there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 period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d by the teacher? 2-5. Is there a difference in teachers’ TK, TCK, TPK and TPACK depending on the types of online classes experienced by the teacher? 2-6. Is there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 types of online classes experienced by the teach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data regarding 300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online teaching experience has been collected, and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eachers’ TPK and TPACK significantly predicts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K, TCK, TPK and TPACK depending on teaching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eaching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K, TCK, TPK and TPACK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depending on the period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d by the teacher. Fifth,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no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 period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d by the teacher has been found. Sixth, according to the types of online classes experienced by the teacher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CK, TPK and TPACK while no differences in teachers’ TK has been found. Seven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 types of online classes experienced in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Through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igher the TPK and TPACK, which can be defined as an understanding of whether the teacher has used a diverse range of technologies and have efficiently implemented them i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Therefore, to improve teacher competency in online classroo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taking into account the TPACK, which is required knowledge to practically integrate technology into the curriculum. Furthermore, to enhance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the teachers need to be able to use technology for teaching-learning, while being provided with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where they can interact with the students.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online class that has been experienced by the teacher in this study was one that was mainly run by the teacher during the duration of the online class. Hence, if the subject experiences a different type of class, it may affect the TPACK of the teacher. Thus, in subsequent studies, the limitations displayed in this study can be overcome by selecting prediction variables such as teaching tools, materials and teaching plans that have been used during the online class to practically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online class.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suring teachers’ TPACK through self-reporting surveys and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These methods may have limitations on how teachers may have applied and utilized technology in their classroom. Thus,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ze the teaching plan, activity sheets, class observation lists, etc. than teachers’ TPACK and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observe them. Third, the TPACK and teacher efficacy measurement tools that have been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urveys used in preceding research which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Thus, it may be more effective to develop a new elaborate tool that is applicable to the context of an online classroom in subsequent studie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validated that teachers’ TPACK can predict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in an online classroom environment and acknowledged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TPACK and teacher efficacy regarding online classes. Having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f wider and more varied studies are commenc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may provide help in increasing teacher capacity and efficacy needed to integrate technology with education in online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