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중학생의 명시적 자존감 및 암묵적 자존감

Title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중학생의 명시적 자존감 및 암묵적 자존감
Other Tit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and Child’s Explicit, Implicit Self-Esteem
Authors
하서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암묵적 자존감에 관한 추가적 정보를 제공하고 암묵적 자존감의 개념 정립을 돕는 것으로, 명시적 자존감과 더불어 암묵적 자존감의 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부모의 양육행동과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 각각의 관계를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 간의 불일치가 다양한 역기능적 결과를 낳는다는 선행연구의 견해들을 고려하여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의 조합을 통해 분류한 자존감 유형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 때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명시적, 암묵적 자존감과의 관계를 자녀의 성별에 따라 비교하고 확인함으로써 부모-자녀 관계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279명(남 114명, 여 165명)으로, 명시적 자존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 암묵적 자존감은 Name Letter Task(NLT; Nuttin, 1985), 그리고 부모양육행동은 8개 요인(감독, 합리적 설명, 비일관성, 방치, 학대, 과잉기대, 과잉간섭, 애정)으로 구성된 허묘연(2004)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생의 명시적 자존감은 아버지의 감독과 과잉기대, 그리고 어머니의 학대를 제외한 모든 양육행동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여자 중학생의 명시적 자존감은 아버지의 양육행동 중 과잉기대와 학대, 어머니의 학대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남자 중학생의 암묵적 자존감은 아버지의 과잉간섭, 어머니의 합리적 설명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여자 중학생의 암묵적 자존감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감독과는 정적 상관을, 방치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명시적 자존감의 상관과 부모의 양육행동과 암묵적 자존감의 상관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32개 중 13개의 요인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 조합을 통해 분류한 자존감 유형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대체적으로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이 모두 높은 유형이 부정적인 부모 양육행동이 낮았으며, 명시적 자존감과 암묵적 자존감이 모두 낮은 유형이 부정적인 부모 양육행동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암묵적 자존감의 측정치는 명시적 자존감과 비교해 미약하지만 동일한 방향을 나타내 암묵적 자존감이 명시적 자존감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자 중학생의 암묵적 자존감은 부모의 감독과 방치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합리적 설명은 남자 중학생의 암묵적 자존감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낸 점을 통해 부모와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명시적 자존감과 다른 암묵적 자존감의 특성을 발견하였으나, 추후 측정방법과 예측요인 등 암묵적 자존감의 개념의 정립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aborate and specify the concept of implicit self-esteem by 1) identifying parenting domains that are related to implicit self-esteem and 2)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on explicit self-esteem(ESE) and implicit self-esteem(ISE). Furthermore, due to the previous studies’ opinions emphasizing the function of discrepant self-esteem, 4 groups of ‘Self-esteem typ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is study also aims to verify the effects between parents’ gender and the child’s gender, which are known to have considerable effect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especially through adolescence. Explicit self-esteem was measured by RSES, implicit self-esteem NLT, and parenting style consisted of  8 domains; monitoring, discipline through reasoning, inconsistency, over-involvement, over-expectation, neglect, physical abuse, and affection. Participants were 279 Korean middle schoolers(114 male and 165 femal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parenting domai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daughter and son’s explicit self-esteem, while only few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domains were related to implicit self esteem. Boys’ implicit self-esteem was negatively related to father’s over-involvement and mother’s discipline through reasoning while girls’ implicit self-esteem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parent’s monitoring, and negatively related to neglect. Also, secure self-esteem(high ESE & high ISE) groups reported high positive parenting, low negative parenting and congruent low self-esteem(low ESE & low ISE) groups reported low positive parenting and high negative parenting. This study suggests more information on implicit self-esteem, in regard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mplicit self-esteem could be deemed to have similar function as explicit self-esteem, yet weaker. Through this result, the importance of measuring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separately could be emphasized. Further discussion are suggested regarding controversies with the formation and concept of implicit self-este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