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공동양육과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o‑parenting and Infant Emotional Control on the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Authors
유다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공동양육,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 자녀가 만 3, 4, 5세 유아기인 어머니 28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첫째, 부모공동양육을 측정하기 위해 Van Egeren과 Hawkins(2004)가 개발한 공동양육척도를 박잎새(2012)가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2개의 문항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7)의 정서조절척도(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를 수정 ‧ 보완한 김지윤(2007)의 척도를 사용하여 2개의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유아의 문제행동은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정한 유아용 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for 1.5-5)를 오경자와 김영아(2010)가 한국판으로 번역하여 표준화한 유아행동평가척도(K-CBCL1.5-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외현화 문제행동만을 사용하였고 2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부모공동양육, 유아의 정서조절 및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중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지지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낮을수록, 비난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중 주의집중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낮을수록, 비난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중 공격행동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지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비난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중 정서통제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정서조절 중 불안정/부정적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력은 지지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낮을수록, 비난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조절 중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다고 보았다. 셋째,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중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력은 정서통제 수준이 낮을수록, 불안정/ 부정적 정서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중 주의집중을 어려워 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아의 정서조절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중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력은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공격행동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정서조절을 통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지지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고 비난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또한 지지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높고 비난적 부모공동양육 수준이 낮을수록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높아졌고, 이를 통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낮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태도 일치 여부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에서 나아가, 아버지와 어머니를 모두 포함한 개념인 부모공동양육(Coparenting)으로 부모 양육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지지적인 공동양육이 유아의 정서조절이라는 내면의 힘을 성장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행동의 감소까지 이어지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고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공동양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유아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상담 및 부모교육현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parenting, infant emotional control, and infant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281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ged 3 to 5.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and sub-variables. We also analyzed the effect of co-parenting on infant emotional control and infant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looked at how infant emotional control affects infant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first measured using Co-parenting Questionnaire(CQ; Van Egeren & Hawkins, 2004),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 Shields & Cicchetti ,1997), and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for 1.5-5, Achenbach & Rescorla, 200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PSS 21.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influence of co-parenting on attention among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infants, the lower the supportive co-parenting level and the higher the critical parent co-parenting level,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ncentrate attention among the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of infants. Next, the lower the supportive co-parenting level and the higher the critical co-parenting level, the higher the attack behavior among the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supportive co-parenting and the lower the level of critical co-parenting, the higher the emotional control of the infant. Next, the lower the supportive co-parenting level and the higher the critical co-parenting level, the higher the instability/negative emotional control during the infant's emotional control. Third, the lower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and negative emotional control, the more difficult it is to concentrate during the behavior of externalization of infants. Next, the ability to explain the impact of emotional control on attack behavior among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can be seen as the higher the negative emotional control, the higher the attack behavior. Finally, the partial mediating role of infant's emotional control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parenting and infant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pportive co-parenting of parents grows the inner power of emotional control of infants and, based on this, leads to a decrease in problem behavior. These results indicated the need for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emotional control ability of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sites to develop a parent-friendly care program to prevent the child's problematic behavior and ultimatel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positively affects infant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