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

Title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rm Parenting Attitudes, Children’s Emotional Clarity,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uthors
소찬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4세 이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그들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정서인식명확성 및 의도적 반추 각각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24세 이하 국내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Rohner(1991)가 개발한 PARENT PARQ/Control을 바탕으로 권순명(1993)이 제작한 부모양육태도검사(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 PARQ)를 사용하여, 척도의 수용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수용적 양육태도에 해당하는 문항을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해 각각 응답하도록 하였다. 정서인식명확성은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1995)가 개발한 특질상위기분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타당화 한 척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에 해당하는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의도적 반추는 Calhoun, Cann, & Tedeschi(2000)이 개발하고 신선영(2009)이 번안한 반추 척도(Rumination Scale; RS)에서 의도적 반추에 해당하는 문항을 외상 경험 당시와 최근에 대해 각각 응답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외상은 송승훈(2007)이 사용한 외상 사건 목록 질문지를 신선영(2009)이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살펴보았고, 외상 후 성장은 Tedeschi & Calhoun(1996)이 개발한 외상 후 성장 척도(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를 송승훈(2007)이 번안한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를 통해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 각각을 통한 개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인을 설정하였고,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여,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는 외상 후 성장을 더 잘 보였다. 둘째,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정서인식명확성을 통해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가 온정적인 양육을 할수록 자녀는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그에 따라 높은 수준의 외상 후 성장을 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의도적 반추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이 온정적일수록 자녀는 의도적 반추를 많이 하였고, 그 결과 외상 후 성장 수준도 높아졌다. 본 연구는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정서인식명확성와 의도적 반추를 통해 자녀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부모의 따뜻하고 애정적인 양육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의도적 반추 성향에도 부모가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부모는 물론이고 교육·상담·돌봄 현장에서도 본 연구의 결과를 외상을 경험한 개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원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warm parenting on their young adult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relations between warm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surveyed online 316 college students under the age of 24 who had experienced and were aware of trauma. Analysis was based on scales from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PARQ; Gwon, 1993; Rohner, 1991), Trait Meta-Mood Scale(TMMS; Lee & Lee, 1997;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 1995), Rumination Scale(RS; Calhoun, Cann & Tedeschi, 2000; Shin, 2009) and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Song, 2007; Tedeschi & Calhoun, 199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PSS 22.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rm parenting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children's posttraumatic growth.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parents to be warm showed higher posttraumatic growth. Second, children's emotional clarity mediated relations between warm parenting at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parents to be warm had higher emotional clarity and showed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ly. Lastly, children's deliberate rumination mediated relations between warm parenting at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Children who perceived their parents to be warm had higher deliberate rumination and showed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warm and affectionate parenting is important for the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ho experienced trauma, and it is meaningful that parents also have an impact on children’s emotional clarity and deliberate rumination that promote their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aid education and counseling field as well as parents, in providing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nd establishing appropriate support for these individu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