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Anger Expression.
Authors
김우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및 분노표현방식 간 상관을 살펴보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 자녀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질문지법을 통해서 총 309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서 최명진(2010)이 번안한 Barber(1996)의 심리적 통제 척도(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 Report [PCS-YSR])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김소희(2004)가 번안한 Garnefski, Kraaij와 Spinhoven(2001)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노표현방식을 측정하기 위해서 Spielberger, Kransner와 Solomon(1988)이 제작한 분노표현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를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와 Spielberger(1997)가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내적합치도를 확인하였고,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라서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중학생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모두 중학생의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중학생의 분노조절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학생의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분노조절과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의해서 부분매개되었다. 또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의해 완전매개되었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의해서 부분매개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 자녀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중학생의 부적응적 분노표현방식에 치료 및 상담을 통한 개입 시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모두 탐색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중학생들의 분노조절 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psychological, middle school students’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nger express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nger expression. A total of 309 middle school students (194 boys and 114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dolesc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nger expression sty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nger-out and anger-in.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 level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more likely to express anger-out and anger-in. However anger-control was significantly only related to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 level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less likely to express anger-control. Seco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Adolescents who use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less likely to express anger-out and anger-in and more likely to express anger-control. In addition, maladal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nger-out and anger-in but not to anger-control. Adolescents who use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more likely to express anger-out and anger-in. Lastly,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nger-out and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nger-in. However,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ully mediated only the case of the relations between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nger-in. All mediating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ger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would be important to further develop programs to help anger control of adolescents at the counsell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