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64 Download: 0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cation Training for Nurses Caring Patients with Aphasia
Authors
허유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실어증은 후천적인 뇌손상으로 언어능력이 저하되는 증상이다. 실어증 환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우울, 좌절 등을 경험하게 되며, 자신의 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얻지 못해 재원기간이 길어지고 예후도 좋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실어증 환자에게 간호사는 가장 주요한 의사소통 상대가 되는데, 이때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간호 수행의 측면뿐만 아니라 이들의 의사소통 환경을 개선해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장애 환자의 의사 해석 과정(Process of interpretation in response to voiceless)을 개념적 기틀에 적용하여 실어증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에 따라 연구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문헌을 고찰하고, 신경과, 신경외과 간호사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해 간호사의 단서 해석 기술과 지식, 의사소통 보조 수단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어증과 실어증 환자에 관한 세부지식, 실어증 환자와의 의사소통 전략, 의사소통 보조 수단 활용, 실어증 환자 간호 개선을 위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내용을 ‘실어증 환자 이해와 간호의 역할’, ‘실어증 환자의 의사 해석 방법’, ‘의사소통 보조 수단 활용 능력 함양’, ‘실어증 환자 간호 의사소통 실제’ 라는 주제로 나눈 뒤, 총량 6시간, 4회기로 구성하였다. 훈련방법으로 강의, 토의, 퀴즈, 실습, 디브리핑을 웹기반 형식으로 개발하였으며, 간호대학 교수, 신경계 부서 간호관리자, 임상경력 10년 이상인 신경계 부서 간호사, 언어치료사로 이뤄진 총 8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조사를 실시해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도출된 훈련프로그램은 신경과, 신경외과 간호사 2인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이의 실행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개발된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신경과, 신경외과 간호사로, 2곳의 대학병원과 인터넷 간호사모임에서 모집되었다. 등록된 대상자는 총 48명이었으나, 이 중 중도탈락한 3명을 제외한 중재군 22명, 대조군 23명, 총 4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군은 개발된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의사소통 보조 수단 활용법에 관한 교육에만 참여하였으며, 이는 2020년 7월 13일부터 2020년 9월 12일까지 진행되었다.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개념적 기틀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 환자 옹호,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공감 역량을 측정하였고, 실어증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관찰조사와 설문지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ANCOVA, Ranked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대조군과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주관적 의사소통 능력(F=0.549, p=.463)과 객관적 의사소통 능력 중 지지적 대화술(F=0.906, p=.347)은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객관적 의사소통 능력인 건강 관련 의사소통 능력(F=101.868, p<.001)과 실어증 지식(F=156.299,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객관적 의사소통 능력인 건강 관련 의사소통 능력과 실어증 지식은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본 훈련프로그램은 간호사의 건강 관련 의사소통 능력과 실어증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다. 2.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대조군과 환자 옹호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환자 옹호는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012, p=.018). 즉, 환자 옹호는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본 훈련프로그램은 간호사의 환자 옹호 향상에 효과가 있다. 3.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대조군과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은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311, p=.026). 즉,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은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본 훈련프로그램은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4. ‘실어증 환자 간호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은 대조군과 공감 역량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공감 역량은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중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941 p=.032). 즉, 공감 역량은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본 훈련프로그램은 간호사의 공감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어증 환자 대상 간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은 객관적 의사소통 능력 중 건강 관련 의사소통 능력과 실어증 지식뿐만 아니라 환자 옹호,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공감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는 간호사의 실어증 환자 간호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aphasia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in Response to Voiceless, a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aphasia according to an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was developed. More specifically, the study procedures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followed by a focus group interview of six nurses in neurology and neurosurgery departments. The resulting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our sessions spanning a six-hour period. The training methods developed were web-based and included lectures, discussions, quizzes, practical exercises, and debriefing sessions.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a group of eight experts including professor of nursing, nurse managers in the department of neurology, experienced nurses in the neurology department, and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ly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finalized training program was performed by two nurses to evaluate its feasibilit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subjects were nurses who worked with patients with aphasia, and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an online community of nurses. Of the 48 subjects recruited, 22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excluding the 3 subjects who dropped out.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13, 2020 to September 12, 2020.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communication competence, patient advocacy,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compassion competence. Simulation-based observation using a standardized aphasic patient and a survey were employed, and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ranked ANCOVA using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6.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For subjective (F=0.549, p=.463) and objec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portive conversation skills (F=0.906, p=.347)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Meanwhil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health-related communication competence (F= 101.868, p<.001) and knowledge of aphasia (F=156.299, p<0.001). In other words, the intervention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objec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us impl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health-relat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knowledge of aphasia in nurses. 2.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patient advocacy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6.012, p=.018) in patient advocacy between the two group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group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patient advocac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at improving patient advocacy in nurses. 3.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311, p= .026) in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better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nurses. 4.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compassion compet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4.941, p= .032) in the compassion competence between the two group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compassion compet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us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nurses. Overall,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nurses caring for aphasic patients could significantly improve not only objec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particularly health-related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knowledge of aphasia, but also patient advocacy,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nd compassion competence. Therefore, the program can be employed to improve the nursing competence of nurses caring for patients with aphas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