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북한이탈여성의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Title
북한이탈여성의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Health Empowerment Scale for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Authors
임세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윤희
Abstract
북한이탈여성은 탈북과정에서 대부분 건강을 돌보지 못한 상태로 국내에 입국한다. 입국 후에도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부족, 언어적 · 문화적 차이, 고착화된 생활습관이 건강문제로 이어지고 있어 북한이탈여성이 건강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건강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건강 임파워먼트의 주요 속성을 확인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북한이탈여성의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도구개발 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북한이탈여성 8명, 보건소 방문간호사 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질적 자료를 통해 Menon의 심리적 건강 임파워먼트 모델을 토대로 3개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통제, 지각된 능력, 목표 내재화로 66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북한이탈주민 대상의 연구 경험이 있는 간호학 교수 3인과 하나원 간호사 1인, 도구개발 경험자 3인 등으로 구성된 7명의 전문가에게 총 2회의 내용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하고 삭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40개의 문항은 국문학자를 통해 어휘와 표현의 정확성을 검토 받았으며,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이해도에 대한 평가를 받아 문항을 수정하고 삭제하는 과정을 통해 총 38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도구검증 단계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여성 23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개발된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38문항에 대한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추정 방법은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고, 적합도 지수는 RMSEA .078, SRMR .069, CFI .826으로 양호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는 한국형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는 .516 (p<.001)으로 나타나 준거타당도의 근거가 확보되었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결과, 전체 도구의 Cronbach's α는 .94, 하위영역인 ‘지각된 건강 통제감’, ‘지각된 건강관리 능력’, ‘건강목표의 내재화’ 의 Cronbach's α는 각각 .90, .91, .76으로 나타나 도구의 내적 일관성이 확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북한이탈여성의 건강 임파워먼트 수준을 파악하는데 활용 가능하다고 평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health empowerment for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and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66 preliminary items with 3 constructs, including “perceived control”, “perceived competence”, and “goal internalization”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Menon's psychological health empowerment model. Two content validity surveys were conducted by experts, and the revised scale of 40 items was checked for accuracy in terms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and 38 items were finaliz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39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the community.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31 items, including “perceived control of health” (15 items), “perceived competence of healthcare” (13 items), and “health goal internalization” (3 items), were developed aft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tness of the scale showed good RMSEA, SRMR, and CFI. The result of correlation with the K-HES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516 (p<.001),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For the reliability test, Cronbach's α of the overall tool was .94, and Cronbach's α of the subfactors was .76-.91. Finally, a 31-item, 3-construct, 4-point Likert scale was developed by refining the developed scale using evaluation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cale ranges from 31 to 124 points, with a higher point indicating a higher degree of health empowerment. This health empowerment scale was developed to include properties of health empowerment,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and use as objective indicator to evaluate a health education program effect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