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9 Download: 0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uthors
엄소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숙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o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cancer-related physical symptom,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intervention, drafts were mad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final program was deriv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5 experts' group consultation and applying the pilot study to 3 people. The study design was non-synchronized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effects of the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The study subjects were 41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gistered in A hospital in Seoul, 2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is based on Cox'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The intervention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3 training sessions every 3wks, for a total of 7weeks. The content of the intervention included one subject group education, two individual education and daily SNS education and counseling.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7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fter the control group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str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scores(t=-5.02,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anxiety scores(t=-3.10, p=.005)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3.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scores(t=-2.52, p=.016)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4.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ancer-related physical symptom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cancer-related physical symptom scores(t=-2.98, p=.005)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o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cancer-related symptom. The stress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was confirmed that it was an intervention that could effectively manage the various stresses experienced by gynecologic cancer patients.;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부인암 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암 관련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초안을 작성하고 5인의 전문가 집단에게 자문을 구하였으며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위해 입원한 부인암 환자 3인들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예비연구를 시행한 결과, 대상자들은 항암치료로 인한 체력감소로 매일 명상일지 작성에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발현되는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법을 알고 싶어하였다. 예비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자에게는 매일 명상일지 작성을 대신하여 SNS 단체채팅방에 명상 소감을 작성하여 공유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대상자의 개별적인 증상이나 문의사항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주 1회 SNS 연락방법을 포함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시 소재 A병원에 부인암을 진단받고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위해 입원한 환자 41명으로 중재군 20명, 대조군 21명이었다. 항암화학요법 중인 부인암 환자를 위한 마음챙김 명상을 적용한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은 Cox (1982)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을 근거로 건강정보 제공, 정서적 지지, 의사결정 통제와 전문적/기술적 능력 등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항암화학요법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중재군에게 적용되는 중재기간은 총 7주였으며 항암화학요법 치료 주기에 따라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위해 3주 간격으로 입원하는 시점에 맞춰 1주차, 4주차, 7주차 총 3회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내용은 마음챙김 명상과 암 관련 신체적 증상 관리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1주차에는 마음챙김 명상 지도자가 마음챙김 명상 교육을 실시하엿으며, 중재군은 그룹별 5명씩 5그룹으로 나누어 소규모 집단교육으로 120분 동안 1회 제공하였다.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재입원하는 시기인 4주차, 7주차에는 연구자가 신체적 증상관리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요구도와 수준을 고려하여 중재군에게 개별 교육으로 60분간 2회 실시하였다. 중재가 적용되는 7주 동안에는 매일 SNS를 통해 대상자-전문가 상호작용 요소인 건강정보제공(신체적 증상관리, 치료 부작용 관리), 정서적 지지(명상 소감 나누기와 공유, 대상자 요구 경청, 칭찬과 격려), 의사결정통제(SNS 상담), 전문적/기술적 역량(신체적 증상 점검)을 제공하였다. 중재매체는 소책자와 마음챙김 명상 음성파일, 동영상 시청을 활용하였다. 대조군에게는 1주차에 일반적인 부인암 수술 후 교육에 대한 내용을 개별 교육으로 1회 30분간 교육하였다. 자료 수집은 중재군과 대조군에게 중재 전 사전조사, 중재 7주 후 사후조사를 스트레스, 불안, 우울, 암 관련 신체적 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스트레스 점수는 Volicer와 Bohannon (1975)의 Stress Rating Scale을 김은경과 박영숙(2010)이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불안과 우울 점수는 Zigmond와 Snaith (1983)의 병원 불안-우울 도구(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였으며, 암 관련 신체적 증상은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 한글판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의 변화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의 스트레스 점수 변화 차이는 각 군 내에서 중재군은 0.70±0.37점, 대조군은 0.10±0.40점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t=-5.02, p<.001). 2.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의 불안 점수 변화 차이는 각 군 내에서 중재군은 2.85±3.56점, 대조군은 -0.38±3.11점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t=-3.10, p=004). 3.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의 우울 점수 변화 차이는 각 군 내에서 중재 군은 1.95±2.91점, 대조군은 -0.14±2.37점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t=-2.52, p=.016). 4. 중재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의 암 관련 신체적 증상 점수 변화 차이는 각 군 내에서 중재군은 2.17±2.41점, 대조군은 -0.12±2.50점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암 관련 신체적 증상 점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t=-2.98, p=.005).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은 스트레스, 불안, 우울, 암 관련 신체적 증상 감소에 효과를 보였으므로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항암제 부작용으로 정기적인 프로그램 참여가 어려운 부인암 환자들에게 입원치료 시에 중재를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고 탈락을 방지하는 방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트레스 관리 교육프로그램 방법 중 마음챙김 명상 음성파일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방법은 처음 명상을 시작하는 부인암 환자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어 단기간에 임상에서 적용 가능한 스트레스 관리법의 하나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