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미디어에 의해 시·공간이 압축된 도시공간의 혼종성 표현 연구

Title
미디어에 의해 시·공간이 압축된 도시공간의 혼종성 표현 연구
Other Titles
The Expression of Hybridity of Urban Space : Time and Space Compressed by Media
Authors
임우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애란

전혜숙
Abstract
본 논문은 본인의 미술 작업과 관련된 이론과 그 조형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현대 도시공간을 시간과 공간이 혼재되어 있는 혼종성의 공간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된 본인의 작업들이 가지는 사회학적,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첨단 산업의 발달과 세계화의 가속화로 인해 시·공간의 개념과 경험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정보통신 기술의 고도화로 이제 지구 정반대에 있는 사람과도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등 시·공간을 넘어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자율적인 흐름 안에서 사이버 공간은 생산과 소비 그 어느 것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전의 실제 공간으로부터 독립적인 새로운 차원이나 영역을 창출해내고, 가상공간은 실제 공간을 점유하는 것처럼 작동되는 것을 넘어 재구성되며 변형될 수 있는 정보로 가득 찬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렇게 테크놀로지의 진화가 거듭될수록 전통적인 물리적 공간이 지닌 장소적 의미와 주체적 성격은 사라지게 되었다. 더욱이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공간은 미디어와 융합됨으로써 인간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해준다. 또한 시·공간적 확장을 통한 원격현전과 같은 가상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물리적 공간을 넘어서는 혼종적이고 가상적인 공간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된 본인의 작업 및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에 의해 현대 도시공간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 및 작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기존의 장소적 의미를 수용함과 더불어 미디어 환경 속의 공간 패러다임을 융합할 때 어떻게 새롭고 유의미한 장소적 특징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논문의 본론에서는 본인이 2016년부터 제작한 작품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미학적 기틀을 살펴본다. 제 II장에서는 공간 너머의 다른 공간에 대한 상상에서 출발한 시리즈를 분석하며, 실재 공간과 현실을 반영한 가상공간 사이의 경계에 대해 탐구하고, 공간의 한계와 이질적 요소의 결합에 대해 논의한다. 본인이 표현하고자 한 공간은 물리적 공간이 상징적, 내면적 공간과 관계를 맺으며 익숙하면서도 낯선 또 다른 공간을 창출하는 ‘제3의 공간’으로, 고정된 실체가 없으며, 잠재성을 가진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다. 제 III장에서는 미디어 피드백을 통한 도시공간 경험의 변혁에 대해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복제 및 재생산이 가능한 미디어에 의해 새로운 공간이 나타나고, 그 공간이 다시 디지털화되어 이미지로 보이는 현상을 바탕으로 이미지화된 도시성에 주목한다. 본인은 미디어화된 도시공간의 가변적이며 이질적인 요소들의 결합을 분절적 시간과 이질적 공간의 압축으로 나타낸다. 이를 창, 컴퓨터, 모바일 스크린 등 ‘프레임’을 매개를 통해 표현하고 프레임을 가상과 실재를 넘나드는 탈경계의 의미로 활용한다. 제 IV장에서는 미디어가 침투한 도시공간을 비-장소들이 혼재된 혼종성을 지닌 공간으로 보고 시·공간이 압축된 도시공간의 잠재성과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본인은 시간과 공간, 양자를 복합적으로 고찰하는 크로노토프 접근 방식을 취하며 파편화된 도시의 비-장소들을 분절화된 글리치와 결합하여 표현한다. 이를 프로젝션 맵핑 형식을 동원함으로써 현대 도시가 정체성을 알 수 없는 파편 조각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고, 현실과 연결되는 새로운 실재의 가상적 체험을 유도한다. 본인의 미술 프로젝트 작업과 그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미디어와 혼합된 현대 도시공간을 과잉 축적된 공간으로 파악함과 동시에, 이를 장소성이 사라지고 표면만 남은 파편들의 복잡하게 뒤섞인 혼종적 공간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파편화된 공간의 의미와 요소들은 본인의 작업에서 서로의 경계가 존재하면서도 무분별하게 덧대지며 의미를 읽을 수 없는 또 다른 혼종적 시·공간으로 의미화하고 표현된다. 오늘날 평면적인 스크린 안에서 전례 없는 시·공간이 펼쳐지고 있다. 본인은 현대 도시공간 또한 시·공간을 함축한다고 보았으며, 도시공간의 형태적 특징들을 바탕으로 이들이 만들어내는 충돌과 결합방식을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풍경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를 향후 작품으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This paper is a study of the theory and methods of sculptural expression involved in my artwork. To this end,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sociological and aesthetic significance of my work, which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odern urban spaces as space of transient hybridity that merge time and space. With advances in communications technology, the dizzying pace of modern industry, and the accelerating globalization, people today can exchange real-time messages with those on the other side of the globe and thus feel as if they were moving freely across space and time. It makes the boundary of space and time increasingly blurry. Within this trend for autonomy, cyberspace is generating new dimensions and domains, independent from the previous real spaces, and with no need for production or consumption. As virtual spaces are reconceived beyond the notion of trying to occupy real space, they are generating new spaces filled with alterable information. Due to this ceaseless pace of technological evolution, the meaning of space or the subjective nature of traditional physical space has disappeared. In particular, the convergence of urban space and media not only helps us overcome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s, but makes virtual movement, such as telepresence, possible through spatial and temporal expansion. My work and research, which began as an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ies of expansion beyond physical spaces and into hybrid, virtual spaces, focuses on how the meaning of modern urban spaces is changing and is affected by digital media, and what new, significant place characteristics can be produced by fusing the conventional sense of place with the spatial paradigms that exist in the media environment. The main text of this paper details the aesthetic framework, dividing my works after 2016 into three broad categories. Chapter 2 includes an analysis of the "Beyond Space" series, which started with the imagination of other spaces beyond the traditional space, an exploration of the boundaries between real space and virtual spaces that reflect reality, and a discussion of the limits of space and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The spaces that aim to express are "third spaces," where new spaces that are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at once are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physical spaces and symbolic, internal spaces; these "third spaces" are heterotopic spaces that have potential but no fixed real form. Chapter 3 examines drastic changes occurring in urban space experience through media feedback, highlighting the imagerized urbanism based on a phenomenon in which a new space created by replicable and reproducible media is digitized into an image. I express the combination of variable, heterogeneous urban space elements as the compression of segmental time and heterogeneous space, using ‘frames’, such as the window, computer, and mobile screen, as media that transcend the boundary of virtuality and reality. As media penetrate into urban space, ‘non-places’ emerge, featuring hybridity. Chapter 4 explores the potential of urban space where time and space are compressed. I use chronotope to discuss both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and expresses fragmented urban non-places by combining them with segmented glitches. By employing projection mapping, the present study offers a virtual experience of new reality where a modern city is made of unidentifiable fragments. My art projects and related theoretical research are significant insofar as they identify modern urban spaces mixed with media as over-stacked spaces, while simultaneously attempting to impart a new meaning by expressing these as space of transient hybridity composed of a complex mixture of fragments that remain only superficially, having lost their sense of place. In my work, the meanings and elements of these fragmented spaces are bounded from but also indiscriminately overlaying one another, and are signified and expressed as another hybrid space-time with an indecipherable meaning. Like the unprecedented space-time unfolding on the flat screen in the modern day, I consider that the space-time of urban spaces has also been compress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urban spaces, I have continu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new landscapes generated as through collisions and combinations created by these spaces, and will further develop these ideas in future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