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0 Download: 0

여성 장루보유자의 성생활 경험

Title
여성 장루보유자의 성생활 경험
Other Titles
The Lived Experience of Sexual Life with Female Ostomates
Authors
육지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장루보유자의 성생활 경험을 이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여성 장루보유자의 성건강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간호 중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여성 장루 보유자중 목적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장루조성술 전 성생활을 지속하던 자, 물리적 장루관리에 어려움이 없는 자,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인지기능 장애가 없는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참여자와 1~2회의 일대일 심층면담과 관찰법으로 진행하였고 필요한 경우 추가 전화 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통해 1시간 에서 2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장루보유자의 성생활 경험은 5개의 본질적 주제와 10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5개의 본질적 주제는 여성 장루보유자 본인도 외면하고 싶은 장루가 있는 몸과 그로 인해 파트너에게 위축되는 ‘장루가 있는 몸을 보며 스스로 작아짐’, 장루가 있는 몸으로 인해 성관계 및 스킨십과 정서적 지지를 포함한 성생활을 포기하게 되는 ‘장루라는 족쇄가 생겨 관계를 포기함’, 장루보유 후 성생활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으나 궁금해하는 사실조차 부끄러워 하고, 막상 물어보고 싶어도 물어 볼 곳이 없어 답답함을 느끼는 ‘묻고 싶어도 묻지 못함’, 장루까지 나로 인정해주는 파트너로 인해 떳떳해짐을 느끼고 파트너에게 더 의지하게 되는 ‘장루를 이해해주는 파트너로 인해 고립감에서 벗어남’, 그럼에도 장루는 없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버릴 수 없는 ‘장루 복원을 간절하게 기다림’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 장루보유자의 성생활 경험이 가지는 의미와 그 실제적 경험을 이해하였다. 이에 여성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 향상과 고립감에서 벗어나 사회로의 안전한 복귀를 위한 성건강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를 통해 성건강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자에 파트너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함이 확인되었으며, 교육 프로그램뿐 아니라 여성 장루보유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sexual life with female ostomates and thereby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exual health in female ostomate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exual life experience of 6 female ostomates by using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developed by van Manen. Data were collected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face-to-face or telephone interviews between May 2019 and October 2020. To understand the sexual life experience of female,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including etymology, poem, essays, and works of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five themes outlining the experience of sexual life with female ostomates: ‘I'm self- intimidated, looking at the body after the ostomy’, ‘I gave up my relationship because I had a shackle called ostomy’, ‘I want to ask, but I can't.’‘ "I came out of isolation because of a partner who understand the ostomy" and "I am waiting eagerly for restoration of the ostomy repair." Participants lost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their partners due to the physical changes caused by the ostomy, which led them to abandon their sexual life, including sexual intercourse, physical contact, and emotional support, and felt isolated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had many questions about the change in their sex life after undergoing the ostomy, but they were embarrassed to even wonder about sex life or frustrated because they had nowhere to ask. On the other hand, some participants gained confidence that they were completely normal and relied more on their partners to make them feel that way. Nevertheless, they could not abandon their wish for ostomy repair.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female ostomates' sexual experience and its practical experience.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exual health as a part of safe return to society for female ostomates, thereby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preventing their isol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confirm that female ostomate' partners should be include in such education program,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on the sexual life experiences of female ostomates and their partners. In addition, development of easily accessible content related to the sex life of female ostomates is also essent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