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희-
dc.contributor.author백목원-
dc.creator백목원-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0:40Z-
dc.date.available2021-01-28T16:30:40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66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30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개념 설정을 통하여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개념 연구를 위한 문헌 연구, 국내·외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다문화 배경 학생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복합 다중 사례 연구(multiple-case study), 전문가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전문가 서면 인터뷰(Expert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개념은 비판적 다문화 교육적 접근을 전제로 하여 비판적 문식성과 다문화 문식성에서 도출하였다. 비판적 문식성과 다문화 문식성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지점이 ‘사회문화적 맥락’과 ‘언어적 실천’임을 분명히 하고 이를 토대로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상의 개념을 고찰한 결과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이란 ‘다양한 문화권이 공존하는 사회를 고려한 비판적 문식성’의 일종으로, ‘주류 문화와 소수 문화의 문화적 차이가 차별이 되는 주류 사회의 권력과 지배 관계를 언어활동을 통해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언어적 실천을 하는 능력이나 성질’을 말한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국의 2015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호주의 교육과정(2011 Australia Primary, lower secondary(1-10) curriculum)과 교과서(Pearson English 9,10 Student Book), 캐나다의 교육과정(2007 Canada(Ontario) Language)과 교과서(Nelson Literacy 9,10 Student Book)와 비교하였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한국의 다문화 교육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위주로 진행이 되어 왔으며, 한국의 이주민 재현에 있어 편견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럼에도 2015 국어과 교육과정 교과서 중 일부에서는 소수자 재현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며 문화적 다수자로서 자기 성찰적 태도를 보였다.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교육에서는 모두 비판적 문식성을 매우 강조하였다. 이주민과 원주민의 문제를 다룰 때도 다문화 교육이 비판적 문식성의 내용 안에서 실현되고 있었다. 더불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소수자 집단인 이주민과 원주민의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다수자 집단은 이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주류 문화에 대해 성찰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특히 호주의 자국어교육에서는 언어 분석 과 결부시켜 사회 내 다양한 문화적 집단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 태어난 1세대 다문화 배경 학생 5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국어교육 내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제 분석(TA) 결과 다문화 배경 학생들은 학교에서는 또래 집단과 (국어) 교사에게 차별적인 경험을 하였다. 사회적으로는 학생의 주변에서와 대중 매체에서 차별과 편견에 놓여있었다. 이때 학생들은 한국인의 정체성과 함께 비한국인의 경계 정체성에 놓여있었다. 그럼에도 긍정적인 정체성과 결부된 것은 주변의 지지와 이중 언어와 이중 문화에 대한 주변(가정, 교사, 또래 학생)의 긍정적인 인정으로 나타났다. 이 긍정적인 요인을 높이기 위해 국어교육적 대안이 필요하다. 국어교육의 대안으로 다문화 제재의 재현 방식에 대해서 주의 깊게 다룰 것을 요구하였다. 편견어린 재현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방식의 재현이 필요하였으며, 이주민을 구별짓는 교과서 내 잠재적 태도에 대해서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다문화 교육의 가치로 나눔과 배려라는 소극적인 가치보다 주류 사회에 대한 비판과 성찰이라는 적극적인 가치를 추구하였다. 국어교육에서 실효성 있고 구체화된 교육 내용을 구안하기 위해 (한)국어교육과 다문화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전문가 인식 연구를 실시하였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요소로는 정체성, 다양성, 소통성, 성찰성, 비판성이 도출되었으며 교육의 도달 능력은 문화 이해 능력, 소통 능력, 지식의 속성 파악 능력, 비판 능력, 실천 능력, 정체성의 확립이 추출되었다. 성취기준은 언어에 담긴 편견 분석, 텍스트 구성 시 관점의 반영 이해, 텍스트 내 다양한 관점의 이해, 텍스트 해석 시 관점의 이해, 언어적 실천의 힘, 언어를 통한 문제 해결 / 소통성, 한국의 다문화 상황 이해, 정체성과 문화와의 상관관계 탐구가 도출되었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설계를 위해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목표와 원리, 내용 및 방법을 체계화하였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목표는‘ 문화적 다수자와 소수자가 다양성을 존중하는 아래, 언어 교육을 통해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인식하고, 언어적 실천 의지를 키우는 것’이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요소인 ‘정체성’, ‘다양성’, ‘성찰성’, ‘비판성’, ‘소통성’을 바탕으로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원리를 구안하였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체계는 OECD ‘교육 2030’에 근거하여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로 나누어 체계화 하였다. 특히 ‘사회적 잘삶’이라고 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지식 영역은 학문적 지식인 ‘다문화 맥락과 언어 사용 인식’, 절차적 지식인 ‘다문화 맥락과 텍스트(담화, 글, 작품) 관계 이해’로 삼았다. 기능 영역은 인지적 기능인 ‘다문화 맥락과 언어적 실현 분석’, 실천적 기능인 ‘다문화 맥락과 언어적 실천’, 사회·정서적 기능인 ‘다양한 문화 내 정체성 확립’으로 삼았다. 태도와 가치 영역은 ‘다양한 문화 내 ‘사회적 잘삶’의 실천적 태도’, ‘다양한 문화 내 ‘사회적 잘삶’의 실천적 가치’로 삼았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내용은 교수 학습 절차에 토대를 두고 단계적으로 교수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교수 학습 절차는 1단계 인식 점검, 2단계 텍스트 분석 방법 이해, 3단계 텍스트 분석 실행, 4단계 언어적 실천 및 내면화, 5단계 태도 및 가치의 형성이다. 이상과 같이 세계화 되어 가는 지구 안 하나의 구성원이자 한국인으로서 국어교육을 통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언어는 ‘세계를 담는 그릇’이며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무기’이기도 하다.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에 나타난 세계, 즉 언어에 드러난 권력, 이데올로기, 이해관계, 관점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하여 텍스트(담화, 글, 작품)에 드러난 한국의 다문화 사회를 파악함으로써 텍스트(담화, 글, 작품)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교육을 통하여 한국 사회 내 문화적 소수자를 재현하는 방식을 파악하고 텍스트(담화, 글, 작품)에 내재된 관점을 간파할 수 있다. 학습자는 어느 순간이고 어떤 맥락에서 문화적 소수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다문화 가정이나 다문화 배경 학생만이 문화적 소수자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맥락에 따라 우리는 누구나 소수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문화와 타인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지향하며, 타인의 다양성에 대해서 소통성을 추구하며, 비판적이며 성찰적인 자세로 다문화 교육에 임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which embodie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s a critical literacy concept, and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to study the concept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multiple-case study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expert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experts were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was derived from critic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literacy on the premise of a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It clarified tha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linguistic practice’ are commonly emphasized in critical literacy and multicultural literacy, and based on this, the concept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bove conceptual studies,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is a kind of‘critical literacy in consideration of a society in which various cultural spheres coexist’. It refers to ‘the ability or character of critically recognize and linguistic practice through language activities and dominant relationship of mainstream cultures in which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mainstream cultures and minority cultures are discrimina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the 2015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 were compared with the curriculum (2011 Australia Primary, lower secondary(1-10) curriculum) and textbooks (Pearson English 9,10 Student Book) of Australia, and the curriculum (2007 Canada (Ontario) Language) and textbooks (Nelson Literacy 9,10 Student Book) of Canad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it has shown in many cas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a variety of cultures and many of the cases have shown a prejudiced attitude in representing migrants in Korea. Nevertheless, some of the textbook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5 recently showed a self-critical attitude toward the representation of minorities and a self-reflective attitude as a cultural majority. Critical literacy is emphasized in both Australian and Canadia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realized in the context of critical literacy, leading to issues of cultural majority and minority in a large frame work when dealing with problems of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In additi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ttempted to reflect the identity of migrants and natives, which are minority groups. Through this, the majority group understood the diversity of culture and took a reflective attitude toward mainstream culture.  In particular, Australia's native language education aimed to understand various cultural groups in society through language analysis activiti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five first-generation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born in Korea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s a result of Thematic analysis (TA),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experienced discriminatory experiences against peer group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at school. In addition, they were placed in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round students and in the mass media. At this time, the students were on the border-crossing identity of non-Koreans along with the Korean identity. Connected to a positive identity was the support of the people around them and th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people around them (family, teachers, and peer group) for bilingualism and bilingual culture.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al with the multicultural topics carefully. They mention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cape from prejudiced and to create in a subjective manner, and to change the potential attitude in the textbook that distinguishes migrants. In particular, as the val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ctive values ​​of criticism and reflection on mainstream society were pursued rather than the passive values​​of sharing and consideration. A perception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exper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devise effective and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dentity, diversity, communication, reflection, and criticism were derived as the elements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culture, communication, grasp the attributes of knowledge, criticize, practice, establishment of identity were extracted for the ability to reach education. Achievement criteria was analyzed from the prejudice contained in language, understanding the viewpoints when constructing texts, understanding of various viewpoints in texts, understanding of viewpoints when interpreting texts, the power of linguistic practic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ituations in Korea, and invest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culture. In order to design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the objectives, principles, contents and methods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were organized.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is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and develop the will to practice language through language education under the respect of the diversity of the cultural majority and minority’ is the goal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principal elements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are ‘identity’, ‘diversity’, ‘reflection’, ‘criticism’, and‘communication’. The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system was divided into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based on the OECD ‘Education2030’. In particula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ocial well-being’, as for the knowledge domain, ‘multicultural context and language use recognition’ was used for Disciplinary knowledge. ‘Multicultural context and text (discourse, writing, work) relationship understanding’ was used for Procedural knowledge. As for the functional domain,‘multicultural context and linguistic realization analysis’ was used for Cognitive skills. ‘Multicultural context and linguistic practice’ were used for Practical skills. Social & emotional skills of ‘establishing identities within various cultures’ were used for Social & emotional skills. As for the attitude and value, ‘practical attitude in ‘social well-being’ within various cultures’ and ‘practical value in ‘social well-being’ within various cultures’. Teaching-learning can be carried out step by step based on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e steps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re the 1st level of perception check, 2nd level of text analysis method understanding, 3rd level of text analysis execution, 4th level of linguistic practice and internalization, 5th level of attitude and value formation. Through this, as a member of the globalized world and as a Korean,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accept cultural diversity without prejudice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epared. Language is ‘a container that holds the world’ and is also a ‘a weapon that can change the world’. Learners can recognize the world that appears in language: the power, ideology, interests, and perspective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discourse, writing, work) by grasp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exposed in the text (discourse, writing, work). In addition, this analysis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o recreate cultural minorities in Korean society and to see how the authors and editors of text (talks, writings, works) view multicultural phenomena.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ocio-cultural context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process in which texts (discourses, writings, works) become a knowledge of mainstream culture in society. The learner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cultural minority at any moment and in any context. Not only multicultural families or multicultural students are cultural minorities, but depending on the context, anyone can be a mino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rsue understanding of one's own culture and others, pursue communication with the diversity of others, and engage in multicultural education critically and reflectively on the mainstream culture with the minority perspective through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사 검토 5 1. 국어교육 내 다문화 교육 연구 5 2. 비판적 문식성 연구 13 C. 연구 내용 및 방법 16 1. 연구 내용 16 2.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17 3.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20 Ⅱ.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논의 22 A. 비판적 관점에서 다문화 교육의 전제 23 1. 비판적 다문화 교육의 개념 23 2. 비판적 다문화 교육 내용과 교육 요소 28 B.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의 이론적 지형 35 1.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개념 설정의 필요성 35 2.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개념과 특성 38 3.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개념과 특성 50 C.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개념화 57 1.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개념 57 2.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요소 61 Ⅲ.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현황 분석 65 A. 국내외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대상 66 1. 교육과정 분석 대상 66 2. 교과서 분석 대상 67 B. 국내외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방법 69 1. 교육과정 분석 방법 69 2. 교과서 분석 방법 70 C. 국내외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68 1. 교육과정 분석 결과 76 2. 교과서 분석 제재 및 분석 결과 101 Ⅳ.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인식 연구 123 A. 다문화 배경 학생 사례 연구를 통한 인식 연구 123 1. 연구 방법 및 면담 문항 구안 124 2. 자료 분석 방법 132 3. 분석의 타당성 136 4. 분석 결과 138 B. 전문가 서면 인터뷰를 통한 인식 연구 170 1. 연구 참여자 및 자료 분석 방법 170 2. 문항 설계 172 3. 인터뷰 분석 결과 175 Ⅴ.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190 A.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구성의 근거 191 1. 국어교육과정 및 교과서, 다문화 배경 학생 인식 연구 분석 191 2. 외국의 자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193 3. 전문가 인식 연구 분석 196 B.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체계화 198 1.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목표 198 2.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원리 199 3.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내용 205 4.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방법 220 Ⅵ. 결론 235 참고문헌 239 부록1. 전문가 서면 인터뷰 문항지 264 부록2. 다문화 배경 학생 사례 연구 - 참여자 검증 결과 273 ABSTRACT 2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567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Contents-
dc.creator.othernameBaik, Mokwon-
dc.format.pagexi, 27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