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0 Download: 0

초등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및 영향 변인 분석

Title
초등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및 영향 변인 분석
Other Titles
Validation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of affect Variables
Authors
남미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revolutionizing our lives and our lives in general.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world while enjoying the convenience of digital has become an essential daily routine. The recent COVID-19 pandemic that has occurred worldwide is ‘sometimes distant learning’, accelerating future education using digital. In a situation where online education through digital is indispensable, students are more exposed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y need skills to deal with digital devices, as well 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people, participate, and express themselves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ve suggested core competencies to live in the future. Through the Digital Kids for Asia Pacific (DKAP) project, UNESCO Bangkok Office presents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responds to the crisis of the digit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as a competency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Research on digital citizenship exists as an extension of citizenship and a perspective that should be cultivated in an educational context. In terms of extending citizenship, there are studies on the digital citizenship instrument and the analysis of variables through it, targeting adult college students. There are not many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in particular, we developed a digital citizenship measurement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vulnerable to digital crises such as cyber violenc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pyright, cyber addiction, and the flood of fake news. There are limited studies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digital citizenship.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how personal, Internet-related empirical, and Internet-related affective variables affect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instrument to measure the digital citize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ultivating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intended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is: First, is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instrument vali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The analysis data used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274 4th to 6th graders in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June 16th to July 31st, 2020. The analysis method wa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good. Second, digital safety and resilience were the highest among the five areas that constitute the digital citize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igital creativity and innovation were the lowest. Third, the variable that affects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mon was Internet efficacy. Fourth,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grade level, subjective academic performance, subjective economic level, sources of information (other sources), Internet teachers (alone), and frequency of attention to Internet safety use by parents and friends. Internet efficacy, Internet result expectations, gender, information source (TV radio), computer teacher (friend), sibling's Internet learning recommendation frequency, and netiquette education experience at school. Fifth, the variable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are grade level, academic aspiration, subjective academic performance, subjective economic level, frequency of attention to safety use of the Internet by parents and friends, Internet efficacy and Internet result expectations, and people who teach computers (friends), Siblings recommended internet learning. Sixth,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gital safety and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grade level, subjective economic level, sources of information (other sources), people who teach the internet (community), frequency of internet safety use by parents and friends, Internet efficacy and Internet result expectations, information sources (TV radio), game time of the day, and people who teach computers (friends). Seventh, the variable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participation are subjective economic level, sources of information (other sources), leisure activities through the Internet (chat and watching TV), people who teach computers (teachers), voluntary participation clubs, Internet efficacy, Internet result expectations, Internet anxiety, and experience of netiquette education from school. Eighth,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igital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ubjective economic level, sources of information (other sources), frequency of attention to safe use of the Internet by parents and friends, Internet efficacy and Internet result expectations, Internet access location (other places). It appeared as a source of information (TV radio). Ninth, among the digital citize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digital creativity and innovation are grade, Internet teacher (alone), friends' Internet learning recommendation frequency, voluntary participation club, Internet efficacy and Internet result expectations, gender (male student ), the frequency of teachers' attention to safe use of the Internet, the frequency of recommendations for Internet learning by siblings, and the experience of netiquette education from school. The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educational plan must be prepared so that the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develop comprehensively and evenly.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produce various contents on the Internet, communicate with people in the Internet community, and participate in social issues. Second, an educational policy that can increase the Internet efficacy and Internet results expect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use the Internet to communicate and enjoy hobbies and leisure activities, but the efficacy of learning and homework and educational programming is low.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the online learning era, various experiences of learning and programming through the Internet should be provided. Third, education using digital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ender, grade, and subjective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view of the fact that boys and students with low grades play a lot of Internet games and are highly addicted to the Interne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educational guidance for them, while at the same time linking Internet-related experiences with lear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students of underprivileged classes such as educational welfare students so that digital divide does not occur, and to secure infrastructure such as digital devices in schools. In order for the digital divide to not lea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it is necessary to have infrastructure such as various digital devices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s, and actively use smart devices in school classes. Fifth, teacher training and parent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for teachers and parents who lea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training and educational materials so that teachers can enhance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 training should also be provided so that parents can monitor students' safe use of the Internet at home. Six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g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ion in Internet learning and the ability to collaborate with peers. Teachers should recomme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Internet and support students to collaborate and present tasks to solve. Seven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etailed guidance and attention from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ach school regarding the places, sources of information, and purposes of use of the Internet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pport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rough chat.;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우리들의 삶과 생활 전반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디지털의 편리함을 누리는 동시에 디지털 세상에 참여하는 일은 이제 필수적인 일상이 되었다.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한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은 ‘어쩌다 원격 학습’을 일으키며 디지털을 활용한 미래 교육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디지털을 통한 온라인 교육이 필수 불가결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디지털 환경에 더 많이 노출되게 되며 디지털 기기를 다루는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환경에서 사람들과 소통하고 참여하며 자신을 표현하는 역량이 필요하다. 경제개발협력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와 우리나라 교육부 등은 미래를 살아갈 핵심 역량을 제시한 바 있다. UNESCO Bangkok은 DKAP(Digital Kids Asia-Pacific, 이하 ‘DKAP’)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기술의 활용뿐만 아니라 디지털 환경의 위기에 대응하는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을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연구는 시민성의 연장으로 보는 관점과 교육적인 맥락에서 길러주어야 할 역량으로 보는 관점이 존재한다. 시민성 연장의 관점에 있어서 성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민성 척도와 이를 통한 변인 분석 연구가 존재한다. 교육적인 맥락의 역량으로 보는 관점의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사이버 폭력, 개인정보 및 저작권의 침해, 사이버 중독, 가짜뉴스의 범람 등과 같은 디지털 위기 대응에 취약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을 길러줌에 있어 개인적, 인터넷 관련 경험적, 인터넷 관련 정의적 변인들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는 타당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이다. 분석 자료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8개교의 4~6학년 274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6일부터 7월 31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한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기술통계, 차이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디지털 시민성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양호함을 검증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을 구성하는 5개 영역 중 디지털 안전 및 회복력이 가장 높았고, 디지털 창의성 및 혁신이 가장 낮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터넷 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년,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 수준, 정보자료의 출처(그 외 출처), 인터넷을 가르쳐 주는 사람(혼자), 학부모와 친구들의 인터넷 안전사용 주의 빈도, 인터넷 효능감, 인터넷 결과 기대, 성별, 정보자료출처(TV, 라디오), 컴퓨터를 가르쳐 주는 사람(친구), 형제자매의 인터넷 학습 추천 빈도, 학교에서 네티켓 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년, 학업포부,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 수준, 학부모와 친구들의 인터넷 안전사용 주의 빈도, 인터넷 효능감과 인터넷 결과 기대, 컴퓨터를 가르쳐 주는 사람(친구), 형제자매가 인터넷 학습 추천하는 빈도로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안전 및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년, 주관적 경제 수준, 정보자료출처(그 외 출처), 인터넷을 가르쳐 주는 사람(지역사회), 학부모와 친구들의 인터넷 안전 사용주의 빈도, 인터넷 효능감과 인터넷 결과 기대, 정보자료출처(TV라디오), 하루 중 게임 시간, 컴퓨터를 가르쳐 주는 사람(친구들)로 나타났다. 일곱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관적 경제 수준, 정보자료출처(그 외 출처), 인터넷으로 여가 활동(채팅하기와 TV시청), 컴퓨터를 가르쳐 주는 사람(선생님), 자발적 참여 동아리, 인터넷 효능감, 인터넷 결과 기대, 인터넷 불안, 학교로부터의 네티켓 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은 주관적 경제 수준, 정보자료출처(그 외 출처), 학부모와 친구들의 인터넷 안전사용 주의 빈도, 인터넷 효능감과 인터넷 결과 기대, 인터넷 접속 장소(기타장소), 정보자료출처(TV라디오)로 나타났다. 아홉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중 디지털 창의성 및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년, 인터넷을 가르쳐 주는 사람(혼자), 친구들의 인터넷 학습 추천 빈도, 자발적 참여 동아리, 인터넷 효능감과 인터넷 결과 기대, 성별(남학생), 선생님의 인터넷 안전사용 주의 빈도, 형제자매의 인터넷 학습 추천 빈도, 학교로부터의 네티켓 교육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교육행정학적 측면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성의 구성 요소가 종합적으로 고르게 발달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초등학생들이 인터넷상에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인터넷 커뮤니티(Internet community)에서 사람들과 소통하며 사회 문제에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효능감과 인터넷 결과 기대를 높여줄 수 있는 교육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은 인터넷을 활용해 의사소통하고 취미와 여가 활동을 즐기는 효능감은 높지만 학습 및 숙제와 교육용 프로그래밍 효능감은 낮으므로 온라인 학습 시대를 대비하여 인터넷을 통한 학습과 프로그래밍의 다양한 경험이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생의 성별, 학년, 주관적 학업 성적을 고려하여 디지털 활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남학생과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인터넷 게임을 많이 하고 인터넷 중독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적 지도를 강화하면서 동시에 인터넷 관련 경험을 학습과 연결 짓는 교육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복지 학생과 같은 소외계층의 학생들에게 정보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하고 학교 내에 디지털 기기 등의 인프라를 확보해야 한다. 정보격차가 학업 성취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각종 디지털 기기 및 무선 인터넷 망 등 인프라를 갖추고 학교 수업에서도 스마트 기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사 교육과 학부모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교사들이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을 높여줄 수 있도록 전문성을 계발하는 연수와 교육 자료 제공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가정에서 학부모가 학생들의 인터넷 안전 사용을 살필 수 있도록 학부모 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학습에 대한 자기 주도성과 또래와의 협업 능력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 교사가 학생의 인터넷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을 추천함과 동시에 학생들이 서로 협업하여 해결하는 과제를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일곱째, 초등학생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장소와 정보 출처, 이용 목적에 대한 교육 당국 및 각 학교의 세심한 안내 및 주의가 필요하고 채팅 등을 통한 소통과 참여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