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감염병 유행 중 필수노동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예측변인 탐색

Title
감염병 유행 중 필수노동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예측변인 탐색
Other Titles
An Investigative Study on Predi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of Essential Workers during the coronavirus pandemic
Authors
황예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는 감염병 유행 중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집단을 밝혀내고 정신건강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감염병 유행 중에도 근무를 지속한 직장인이 연구 대상이며 정신건강은 우울, 불안 수준으로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감염병 유행 중 취약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 사회적 지지, 방역환경 등을 예상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직장 내·외 사회적 지지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방역환경의 경우 설문을 제작하여 확인하였다. 위의 연구 문제를 위해 코로나-19 감염병이 유행하던 시기에 근무한 직장인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사무직으로 회사에 재직 중인 91명과 필수 노동자 중 전문직이 아닌 취약 업종에 종사하는 108명이 그 대상이었으며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조직지원인식, 가족의 지지, 방역환경, 직무소진, 우울, 불안을 측정하는 척도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먼저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들의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작한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직군별 차이를 중심으로 차이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한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인 조직지원인식, 방역환경의 하위요인, 직무소진, 우울, 불안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종사하는 직군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필수 노동자는 사무직 회사원보다 조직지원인식과 비접촉 방역 정도가 낮았고 직무소진, 우울, 불안 수준이 높았다. 차이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조직지원인식, 비접촉 방역, 직무소진은 큰 차이였고, 우울과 불안은 매우 큰 차이였다. 필수 노동자는 사무직 회사원보다 매우 큰 차이로 높은 우울과 불안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을 때, 우울과 불안 모두 조직지원인식, 가족의 지지, 방역환경과 부적 상관을, 직무소진과는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사무직 회사원과 필수 노동자 집단 모두에서 우울은 가족의 지지와 부적 상관 정도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조직지원인식, 방역환경 순이었다. 불안의 경우 집단별 상관 정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조직지원인식 혹은 근무처에서 제공하는 방역환경과의 부적 상관이 크고 가족의 지지가 그다음으로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불안과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여부와 그 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사무직 회사원의 우울에는 가족의 지지, 조직지원인식, 기본 방역환경 순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필수 노동자의 우울은 가족의 지지, 기본 방역환경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사무직 회사원의 불안은 기본 방역환경, 가족의 지지 순으로 영향을 주었고, 필수 노동자의 불안은 조직지원인식, 가족의 지지, 기본 방역환경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기본 방역환경은 근무처의 방역으로 조직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임을 생각해 본다면, 양 집단 모두 우울에는 가족의 지지가 주는 영향력이 크고 불안에는 조직의 지원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염병 유행 중 필수 노동자 중 취약 업종에 종사하는 이들이 일반 회사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조직 환경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특히 우울에는 가족의 지지가, 불안에는 조직 환경의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해 감염병 유행 중 심리방역으로 가족과 개인의 응원 및 위로를 강조하는 것을 계속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필수 노동자를 고용한 조직들도 근로자의 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지원과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vely more vulnerable group during the pandemic and to find out the level of mental health and what factors affect them. Demographic factors, social support, and preventive environment were expected as factors that could affect vulnerability during the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Social support wa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preventive environment was measured by a scale constructed for this study. A survey of 199 workers (91 full-time office workers and 108 essential workers) was conducted on a measure of demographic question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amily support, preventive environment, job exhausti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major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groups. Essential workers had lower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and non-contact prevention than office workers, and higher levels of job exhaustion, depression and anxiety. In particular, depression and anxiety were very big differences. The essential 61 worker was feeling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by a very large margin than the office worker. Second, when th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variables, depression was most correlated with family support in both groups, follow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reventiv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xiet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roup. Office workers' anxiety was most correlated with the preventive environment, followed by family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hile essential workers' anxiety was most correlated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llowed by family support and preventive environment. Third, when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anxiety and depression was confirmed, the depression of the office workers was affected by family suppor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basic preventive environment, and the depression of the essential workers was most affected by the family support and basic preventive environment next. The anxiety of office workers was affected by the basic preventive environment and the support of the family, while the anxiety of the essential workers was most affected by th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followed by family support, and basic preventive environment. Considering that the basic preventive environment is a part of the organization's support, it could be said that depression was more affected by family support and anxiety was more affected by organizational support This stud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y affect mental health levels during the pandemic, confirming that essential workers may be vulnerable to infection and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them.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aintain the emphasis on support and consolation of families and individuals during the pandemic, but also for organizations employing essential workers to pay attention to the situation of workers and provide various support and welfa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