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마음챙김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마음챙김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Mindfulness and Worry :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as Mediator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과 걱정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걱정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인지 현상이지만 과도해지면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해 일상에서 걱정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음챙김이 걱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속성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구체적인 기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의 마음챙김과 걱정 사이에 어떤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걱정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성인 1,4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마음챙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지각된 통제감, 걱정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3.0을 이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했고, MPLUS 7.4를 이용하여 구조 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챙김은 걱정을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마음챙김과 걱정의 관계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통제감이 각각 매개하였다. 셋째, 마음챙김과 걱정의 관계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통제감이 이중 매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인의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감소하여 지각된 통제감이 증가하고, 그 결과 걱정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마음챙김 수준이 높으면 불확실성을 인내할 수 있고 통제감도 높게 지각하며, 이에 따라 걱정을 적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 19로 인해 예측 불가능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문제를 마주하며 사회 전반적인 걱정 수준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마음챙김을 증가시키는 개입이 유용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in the process of mindfulness affecting worry. Worry is a cognitive phenomenon that anyone can experience, but if it becomes excessive, i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In particular, as worry increase in daily life due to COVID 19, studies on psychological factors that help alleviate worry are needed. Mindfulness is found to be a psychological construct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worry,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specific mechanism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etween mindfulness and worry of adul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necessary to manage wor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1,400 adults over the age of 20 using self-report measures of demographic questionnaire, mindfulness, intolerance of uncertainty, perceived control and worr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Mplus 7.4.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were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lso tes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ndfulnes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worr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worry was mediated b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respectively. Third,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of mindfulness and worry. In summary, as mindfulness increase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decreases, the perceived control increases, and as a result worry decre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high levels of mindfulness can lead to tolerate uncertainty and increase perceived control, and thus reduce worry. This results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that the intervention on increasing mindfulness will be useful to manage worry in the face of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problems caused by COVID 19 and the rising overall Stress level of society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