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3 Download: 0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정정서,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스트레스, 부정정서,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Negative emotion, Non-Sucidal Self-Injury in Undergraduates : The Moder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and Positive Emotion
Authors
정은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최근 SNS에 자해 관련 게시물이 급증하면서 자살의도 없이 자신의 신체에 손상을 입히는 비자살적 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는 비자살적 자해에 가장 취약한 시기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국내에서는 일반 학생들의 자해관련 상담수가 증가하고 있어 어떤 기제를 통해 비임상 집단에서 비자살적 자해가 발생하는지 탐색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로 인해 자해행동을 한다는 자해 시도자들의 응답과 부정정서에 대한 역기능적 조절로 자해가 발생한다는 이론에서 출발하여, 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를 부정정서가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부정 긴급성 및 긍정정서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조절된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392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SPSS 22.0과 PROCESS Macro v3.5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부정정서,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부정 긴급성과 긍정정서의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스트레스는 부정정서를 높이며 부정정서는 비자살적 자해를 증가시키는데, 이 때 부정 긴급성과 긍정정서의 수준에 따라 부정정서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긍정정서가 낮을 때에만 유의했으며, 특히 부정 긴급성이 높은 경우에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했다. 다시 말하면, 스트레스 사건에 노출된 대학생은 부정정서를 경험하는데, 높은 부정 긴급성을 가지고 있으며 평소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하지 못하고 있는 대학생의 경우 비자살적 자해행동을 할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있어서 자해와 관련된 내적 취약요인 및 부정정서 뿐만 아니라 긍정정서 수준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비자살적 자해에 이르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넓혔으며, 보호요인으로 기능하는 긍정정서의 역할을 조명하여 비자살적 자해의 예방 및 개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and positive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rough negative emotion. Self-reported data of 392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derat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and positive emo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non-suicidal self injury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stress predicted nega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predicted non-suicidal self injury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moderated by negative urgency and positive emotion. Specifically, these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positive emotion was low. Also thes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increased as negative urgency rose. Such results highlight that in order to prevent undergraduates from hurting themselves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 in daily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self injury were discuss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protective effect of positive emotion on non-suicidal self inju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