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

Title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Job-seeking Anxiety :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Difficulty in Career Seeking
Authors
정다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이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과 진로탐색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고민과 어려움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과 개인이 느끼는 진로장벽의 수준이 다르다. 따라서 취업불안의 수준도 다를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인지적 편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취업불안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블루’ 세대인 현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 사이에 어떠한 외적, 내적 요소가 있는 지 살펴봄으로써 취업불안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이 상담실에 방문했을 때 도움이 되는 치료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Mplus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에 따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차례로 검정하였고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취업불안,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 진로탐색의 어려움 주요 변인 간 관련성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과 진로탐색 어려움을 매개로 하는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과 진로탐색 어려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과 취업불안 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과 진로탐색 어려움의 이중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했을 때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이 낮아져 진로탐색의 어려움을 더 높게 지각하며 그 결과 취업불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 이래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기질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지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COVID-19에 대한 지각된 불안통제감은 부분 매개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진로탐색 어려움과 같은 진로 변인과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불안통제능력이 진로탐색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취업불안을 가중시키는 심리적 기제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취업불안으로 찾아오는 대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erial multiple medicating effects of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difficulty in career seeking in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undergo a certain period, where they have difficulty in having confidence in career and face career barriers (Lee, 2011; H.K. Lee, 2007; B. H., Kim, K, H., Lim, 1997). The level of confidence and career barriers are different based on individual’s subjective level of confidence and career barriers. Thus, how they perceive and feel about job-seeking anxiety will also vary. In particular, students who have biased perception over uncertain future are highly likely to feel more anxious about their future career (Kang, & Yoo, 2020; Cho, 2008). Hence, this research attempt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encountered COVID-19 in order to provide a supporting material for a therapeutic approach in college student counseling sess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1.0 and Mplus 7.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Then, a two-step approach (Anderson & Gerbing, 1988) was conducted to test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successively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by conducting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major variable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career seeking difficul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fitness of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with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career seeking difficulty amo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urned out to be acceptable. Although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job-seeking anxiety did not turn out to be significant,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career seeking difficulty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o top it all, this demonstrates that thee more intolerant of uncertainty students feel, the less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Then, career seeking difficulty gets higher and job-seeking anxiety, as a consequence, will get more serious. This study has verified the particular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the characteristic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positively influences job-seeking anxiety through perceived anxiety control on COVID-19 and career seeking difficulty. Such psychological mechanism after COVID-19 pandemic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counseling colleg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