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빈곤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

Title
빈곤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overty on Children’s Study Time and Leisure Time Mediated by Parenting Attitudes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경험과 삶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써 생활시간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아동의 생활시간 중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빈곤과 부모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빈곤과의 영향에 부모의 양육태도를 매개로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바람직한 생활방식을 위해 그 대안을 제시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제 1차년도 자료로 초등학교 4학년 아동 총 247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 3.0버전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은 아동의 사교육시간, 자습시간, 미디어 사용시간에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학습시간과 여가시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사교육시간과 자습시간, 운동시간과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미디어 사용시간은 그와 반대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세 번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빈곤과 아동의 학습 및 여가시간 간에 관계를 매개한다. 빈곤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긍정적 양육태도로 대하지 않을수록 아동의 사교육시간, 자습시간, 운동시간은 짧아졌으나 그 반대로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은 길어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생활시간에 초점을 두어 빈곤과 부모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지만,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만 확인하여 추후 종단적 연구를 통해 초중고 성장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y and leisure time of Korean children, applying their use of time as an index to understand children's experiences and lifestyle. The effect of poverty and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study and leisure time was examined. Particularly, the effect of poverty was analyzed with parenting attitudes as a mediating variable, to suggest alternative patterns for children's time use. To this end, 2,477 fourth-grade children from elementary schools were set as the target of analysis in the first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using Hayes’ Process Macro version 3.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verty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ime, self-study time, and screen time.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both the study and leisure time of the children. It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private education time, self-study time, and exercise time, and a negative effect on screen time. By contra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did not affect either children's study time or leisure time.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on the one hand, and children's study and leisure times on the other. Pover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dicating that the less the child was exposed 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e less was his or her private education time, self-study time, and exercise time, and the more was the time spent using digital media. Lastly,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ary students’ time use, and its relationship with poverty and parenting attitudes. However, the subjects were only fourth-grade elementary-school students. Thu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se relationships as a child progresses from elementary to middle, and then, to high school,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