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노인의 가구 경제적 요인과 소득원별 소득 비중이 경제적 독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의 가구 경제적 요인과 소득원별 소득 비중이 경제적 독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남윤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경제적 요인과 소득원별 소득 비중이 노인의 경제적 독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그간 노인 소득보장정책은 경제적으로 도움을 받지 않고 생산적, 활동적, 주체적으로 기능하는 노인을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노인으로 설정하여 이를 정책의 최종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노인들이 실제 인식하여 구성하는 경제적 독립의 개념은 의존과 그 의미가 대립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노인 소득보장정책은 노인 당사자가 인식하는 경제적 독립이 배제된 채로 논의되어 왔다.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노인의 경제적 독립 대신 관련한 유사 개념을 활용하고 있어 실제로 노인이 인식하는 경제적 독립을 논의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또한 노인의 경제적 독립 인식은 노인 가구의 소득 및 자산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이들이 노인의 빈곤, 소득 불평등과 같은 거시적 정책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데 그치고 있다. 특히 노인의 소득원은 소득 유형별로 다양화를 겪고 있어 이들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경제적 독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노인의 가구 경제적 요인과 소득원의 비중이 경제적 독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노인의 가구 경제적 요인으로는 노인 가구의 가계총소득, 순자산, 부채를 중심으로, 노인의 소득원은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근로소득으로 유형화하여 살펴본다. 2017년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 7차 본조사의 개인자료를 활용하여 60세 이상 노인 4,882명을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가구 경제적 요인인 가계총소득과 순자산, 부채는 노인의 경제적 독립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총소득이 높아질수록, 순자산과 부채를 가지고 있을수록 노인이 경제적 독립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소득유형별 소득원인 공적이전소득의 비중, 사적이전소득의 비중, 근로소득 비중은 노인의 경제적 독립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의 비중과 근로소득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노인이 경제적 독립을 인식할 가능성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사적이전소득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노인이 경제적 독립을 인식할 가능성은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이에 따른 노인복지 실천과 정책을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저축 및 자산축적을 위한 금융상품 및 재무설계 지원이 필요하다. 다만 부채와 관련해서는 부채상환을 지원하는 방안이 더 바람직하다. 둘째, 노인소득보장 정책으로 공적이전소득의 비중을 일정 수준 유지하기 위해 공적연금의 급여적절성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노인이 경제적 독립 인식을 고취할 수 있도록 가족으로부터 비롯되는 사적이전소득의 비중을 축소하는 소득보장방안이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근로소득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고령자의 고용 기회를 증대하고 노인일자리사업의 적절한 급여를 고려해야 한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household economics factors and proportion of each source of income affect senior citizens’ recogni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So far, senior income security policies have been setting their policy goal as helping senior citizens to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the state where the senior can function productively, actively, and independently. Meanwhile, literature analysis pointed out that actual no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which the seniors themselves recognise and formulate by themselves, does not counter ‘dependency’ in its meaning. In fact, senior income security policies have been discussed without apposite consideration of how independent the elderly cognize they are. Relative prior studies show clear limitation in discussing perceived economic independence, as they are utilising concept similar to, but not exactly, economic independence of seniors. In addition, while seniors’ percep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can be affected by income and asset of each senior household, these studies are reaching no further than analysing how these figures affect macroeconomic figures including senior poverty and income disparity. Especially, since seniors’ source of income is diversifying in type, it became necessary to analyse how composition of source of income affect seniors’ percep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With this background,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paper demonstratively identified how household economic factors and proportional composition of diversified income source of seniors affect their perception on economic independence. Household economic factor includes total household income, net asset and debt, while income source has been categorized into public transfer, private transfer and earned income. Using personal data acquired from 7th survey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nducted on behalf of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7,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4,882 seniors over 60 has been ran for this paper. These are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First, total household income, net asset, and debt have palpable effect on senior’s perception on economic independence. Higher total household income and possession of either net asset or debt leads to more evident percep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Second, composition of income source also has meaningful effect on seniors’ perceived economic independence. While higher proportion of public transfer and earned income ha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higher proportion of private transfer ha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Following are this study’s implication in embodying elderly welfare and policymaking. Firstly, support for financial planning and selection of financial product should be in place to facilitate elder population’s monetary savings and asset accumulation. For debt, however, supporting debt repayment should be more desirable. Secondly, as part of elderly income security policy, to ensure certain proportion of income can come from public transfer, public elderly pension’s appropriateness of benefits should be considered. Thirdly, to instill perception of elderly people's economic independence, income security policies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reduce dependence private transfer from respective families. Finally, to increase proportion of earned income, policymakers should seek ways to endow seniors with better job opportunity and contemplate on apposite level of wage for those employed through senior public employment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