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mployee Extra-Role Performance

Titl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mployee Extra-Role Performance
Other Titles
심리적 소유감이 종업원의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
Authors
김아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명호
Abstract
기업 환경 내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현대 조직에서 업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종업원의 주도성이 중요하다. 특히, 조직이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주인의식은 종업원의 주체적인 행동을 높이는 대표적인 심리적 상태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주인의식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하지만 소유에 대한 인식은 양날의 검과 같아서 부정적인 업무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인의식이 자신의 독점적인 소유권을 주장하는 텃세 등의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소유감이 일으킬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상반된 결과를 야기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매개 경로를 거쳤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소유감이 조직 기반 자존감과 심리적 특권의식을 통하여 각각 조직시민행동과 직장 내 공격적 행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더불어, 심리적 소유감이라는 것은 심리적인 개념으로 이전 연구에서는 미시적인 개인의 측면만 다루었다. 그러나 개인의 행동은 직장 네트워크 안에서 놓여 있는 구조적인 위치에 의해서 영향 받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 구체적으로 종업원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정도가 조직 기반 자존감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직장 내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 개의 종합 병원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18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심리적 소유감은 조직 기반 자존감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심리적 특권의식을 통하여 직장 내 공격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종업원의 네트워크 내 중심적인 위치는 조직 기반 자존감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강화시켰다. 그러나 예측과 달리 심리적 특권의식이 직장 내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가적인 분석에서는 심리적 소유감이 조직시민행동 및 직장 내 공격적 행동과는 직접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심리적 소유감의 제곱항이 직장 내 공격적인 행동과는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둘 사이의 곡선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즉, 본 연구는 심리적 소유감의 간섭 요소들을 밝히어 심리적 소유감을 경험하는 개인이 어떠한 매개경로를 통하여 역할 외 행동을 하고 어떻게 구조적인 요인에 영향 받는지를 분석하여 심리적 소유감 및 주체성 연구의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 조직의 관리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In increasingly competitive organizational environments, calls for employees’ proactivity and a sense of ownership emerge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performance. However, the feeling of possession is like a double-edge sword. It may induce negative work outcomes. To bring the opposite outcomes from psychological ownership, psychological process with different routes must have been involved. Also, even though psychological ownership is a personal construct, it could be affected by structural factors such as network positions. Therefore, this paper points to two faces of psychological ownership with highlighting the mediating mechanisms for each route. With that, this paper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n employee’s position in the network among coworker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two faces of psychological ownership.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which paid attention to the bright side, we give light on the dark side. Second, this paper figures out the intervening mechanisms so that validating how seemingly contradictory outcome may occur. With chasing the employee’s psychological process, we predict the behavioral outcome.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e structural factor which significantly interacts with employees’ perception affects their behavior. Thus, from the integr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network perspective, this study contributes to revealing two different mechanisms whereby psychological ownership leads to ambivalent behavioral outcome with consider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e’s network pos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