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Against Skepticism

Title
Against Skepticism
Other Titles
회의주의에 대항하여 : 수정 경험론에 대한 새로운 옹호
Authors
홍예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윤보석
Abstract
Skepticism is one of the oldest puzzle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to counter the skeptical arguments,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whether we can have justified perceptual beliefs or perceptual knowledge. This dissertation addresses the puzzle of skepticism and offers an anti-skeptical alternative, based on Anil Gupta’s Reformed Empiricism. There are six chapters in this dissertation. In Chapter I, the introduction, I provide a brief historical summary of skepticism and an outline of the whole structure of the discourse in this dissertation. Next, in Chapter II, I set out four aspects of the discourse. The first are the two epistemic principles which relate to the contemporary discourse about skepticism and are discussed in other chapters. These are the closure principle for knowledge/justification and the transmission principle for positive epistemic status. The second are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kepticism: a) it appeals to skeptical scenarios; based on those skeptical scenarios, b) it is skepticism about the external world; and c) it is skepticism about the epistemic role of experience, in that the target skeptic doubts whether we can have rational beliefs or knowledge about the external world. In the third part of this chapter, I propose the two intuitions behind this target skepticism: the Competent Deduction Intuition and the Same Phenomenology Intuition. In the last part of Chapter II, I introduce Moore’s Proof as an anti-skeptical argument and the New Mooreans as anti-skeptics, and I propose that the latter face two challenges. In Chapter III, I examine the anti-skeptical perspectives of two New Moorean philosophers: James Pryor and Duncan Pritchard. As prominent contemporary empiricists, Pryor subscribes to dogmatism and Pritchard to epistemic disjunctivism, and their anti-skeptical responses are based on their positions on empiricism. I examine their anti-skeptical strategies in detail and analyze them in the light of the two challenges I proposed in Chapter II. I present some critics of the New Mooreans in Chapter IV, which consists of five parts. In the first, I argue that the New Mooreans make three common assumptions.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is the assumption that the given in experience is propositional in its form. In the second part, I claim that the New Mooreans face two dilemmas because of the propositional given in experience assumption. In the third part, I argue that the two New Mooreans take only one horn of each dilemma rather than genuinely resolving the dilemmas. Fourth, I show that the two challenges of New Mooreans, as presented in Chapter II, relate to the two dilemmas in this chapter and argue that the anti-skeptical strategies of the New Mooreans, which appeared to be successful in Chapter III, are not as successful as they appeared to be. In the last part of Chapter IV, I show that the assumption of the propositional given in experience also creates another pseudo-dilemma and that the propositional given is the common basis for both skeptics and New Mooreans. The aim of Chapter V is to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ny the propositional given in experience and that Reformed Empiricism can offer an anti-skeptical alternative. To this end, in the first part of the chapter, I return to one of the old issues on the given in experience, examine Sellars’s dilemma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opositional given in experience, and propose three conditions for the new given and new empiricism. In the next part, I argue that Reformed Empiricism and the hypothetical given in experience, as proposed by Reformed Empiricism, satisfy the three conditions for the new given and new empiricism. I then show that a reformulated target skeptical argument can be disputed from a Reformed Empiricism perspective, while Reformed Empiricism also resolves the two dilemmas of the New Mooreans. In addition, I introduce some of the other merits of Reformed Empiricism as both an anti-skeptical alternative and a theory of empiricism. In the last chapter, I explain the significance of this dissertation and set out some remaining questions. In summary, this dissertation is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puzzle of skepticism and the New Mooreans’ anti-skeptical responses. Second, it offers an alternative response to one of the oldest puzzles in philosophy, based on a very recent product of 21st century empiricism. Lastly, it bridges the gap between the fields of epistemology and philosophy of mind/philosophy of perception.;철학에서 회의주의는 인식론의 오래된 문제 중 하나였고, 최근에는 경험에 대한 철학이나 지각에 대한 철학 분야와 관련하여 회의주의에 맞서서 어떻게 우리의 평범한 지각 믿음 또는 지각 지식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회의주의의 문제를 다루면서, 21세기에 새롭게 제시된 아닐 굽타의 수정 경험론(Reformed Empiricism)이 회의주의에 대하여 한 가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총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인 서론에서는 회의주의의 문제가 철학사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졌는지에 대해서 간략한 요약을 제시하면서, 앞으로의 논의가 어떻게 진행될지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서술한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논의의 기반이 되는 네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는 회의주의에 대한 현대의 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도 언급되는 두 가지 인식적 원칙에 대한 내용이다. 그 두 가지 인식적 원칙이란 지식 또는 정당화에 적용되는 닫힘 원칙(the closure principle for knowledge/justification)과 정당화와 같은 긍정적인 인식적 지위에 적용되는 전이 원칙(the transmission principle for positive epistemic status)이다. 둘째는 본 논문의 대상이 되는 회의주의의 특징이다. 우선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삼는 회의주의는 회의주의 시나리오(skeptical scenario)라고 하는 가설적 상황에 호소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가 경험을 통해서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이나 정당한 믿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심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외부 세계에 대한 회의주의이기도 하고 경험의 인식적 역할에 대한 회의주의이기도 하다. 이어서 셋째 파트는 앞서 언급한 회의주의를 뒷받침하는 두 가지 직관을 소개한다. 하나는 능숙한 연역 직관(the Competent Deduction Intuition)이고 다른 하나는 동일한 현상성 직관(the Same Phenomenology Intuition)이다. 이 두 가지는 필자의 분석이자 제안으로, 후반부의 논의에서 필요하게 된다. 2장의 마지막 파트는 현대의 반회의주의 전략 중 하나로 논의되고 있는 무어의 논증(Moore’s Proof)과 이러한 무어의 논증을 옹호하는 반회의주의적 입장으로서의 뉴 무어리안(New Mooreans)을 소개하고, 필자가 보기에 뉴 무어리안들이 직면하는 두 가지 과제도 제시한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현대의 대표적인 반회의주의적 입장으로서 뉴 무어리안에 속하는 두 철학자인 제임스 프라이어(James Pryor)와 던컨 프리차드(Duncan Pritchard)의 입장을 살펴본다. 두 철학자는 각각 독단론(dogmatism)과 선언주의(disjunctivism)를 옹호하는 대표적인 현대 경험론자로, 반회의주의 전략도 제시하는 입장이다. 3장은 전반적으로 두 경험론자의 반회의주의 전략을 상세하게 살펴보고, 2장에서 제시한 뉴 무어리안의 두 가지 과제에 비추어서 이들의 반회의주의 전략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 본 뉴 무어리안에 대한 비판을 제시한다. 4장은 다섯 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파트에서는 뉴 무어리안들이 공통적으로 세 가지 가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경험의 소여가 명제적이라는 가정(the propositional given in experience)이다. 둘째 파트에서는 이 명제적 소여의 가정으로 인해서 뉴 무어리안들이 두 가지 딜레마에 부딪힌다는 것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셋째 파트에서는 뉴 무어리안들이 딜레마에 직면하여 각 딜레마를 진정으로 해소하기보다 딜레마가 제시하는 선택지 중 한 가지를 택하는 데에 그쳤음을 보인다. 넷째 파트는 둘째 파트에서 제시한 두 가지 딜레마와 2장에서 등장한 뉴 무어리안의 두 가지 과제가 결국 연관되어 있음을 보이고, 3장에서 성공적인 것처럼 보였던 뉴 무어리안들의 반회의주의 전략이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음을 주장한다. 마지막 파트에서는 경험의 명제적 소여 가정이 또 다른 가짜 딜레마도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 명제적 소여 가정이 결국 회의주의적 입장과 반회의주의적 입장 모두가 받아들이고 있는 공통의 전제임을 보인다. 5장에서는 명제적 소여 가정을 거부하는 수정 경험론이 하나의 반회의주의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파트에서는 먼저 경험의 소여에 대한 오래된 논의로 돌아가서 셀라스의 딜레마 및 명제적 소여라는 가정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새로운 소여와 새로운 경험론의 조건들을 세 가지 제시한다. 둘째 파트에서는 수정 경험론과 수정 경험론에서 제시하는 경험의 가정적 소여(the hypothetical given in experience)가 오래된 문제점들을 탈피하면서도 새로운 소여와 새로운 경험론의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는 점을 보인다. 셋째 파트에서는 수정 경험론을 통해서 회의주의 논증이 논박되는 것과 나아가 4장에서 제시되었던 뉴 무어리안들의 딜레마가 해소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수정 경험론이 경험론으로서 가지고 있는 다른 장점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본 논문이 가지는 의의와 남아있는 과제를 정리하면서 마무리한다. 전반적으로 본 논문이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회의주의라는 오래된 철학적 문제와 뉴 무어리안이라는 현대적 반회의주의 입장에 대해서 비교적 색다른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회의주의에 대해서 아주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경험론의 맥락 안에서 한 가지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그동안 서로 다르게 논의되어 온 인식론과 심리철학 또는 지각철학이라는 분야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