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Reconstructing the ‘Domestic’

Title
Reconstructing the ‘Domestic’
Other Titles
재구성된 '가정' 의 개념 : 『맨스필드 파크 』에서 나타나는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
Authors
김아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주리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oncept of Evangelical female virtue manifested in the heroine of Jane Austen’s novel, Mansfield Park (1814), and examines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model of domestic ideal presented by this novel. Chapter one examine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virtue” and “religion,” the main themes of the moral theory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explores the epochal tendency of “privatization” based on the devolution of authority from the public to the private.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gave rise to the production of modern individual or modern self as a private, free citizen. In this context, this chapter focuses on the position of female individual in domesticity and outlines the concept of Evangelical Female Virtue, which is further presented in the traditional female virtue. Chapter two suggests the two aspects of modern corruption which contributed to the destruction of stable countryside in England. Austen indicates the potential dangers of traditional paternalism that could be transformed into patriarchalism by creating a tyrannical and misguided father figure. She further portrays a skirmish of conflicting values due to the inflow of worldly values from metropolis. Chapter three reveals that Fanny embodies a new ideal of the incorruptible moral agent who cultivates Evangelical conscience and moral principles in her mind as the innermost sanctum of the human. In the process of inventing the archetype of female ideal, Austen politicizes Evangelical female virtu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Fanny as the female authority in the private household as well as the whole society of Mansfield Park. Austen further establishes the model of domesticity through the triumph of the transition from the patriarchal household to the feminocentric household. Chapter four concludes that Austen empowers female authority by locating the greatest virtue in the figure of Fanny Price to appreciate women's roles both in home and society by expanding the scope of domesticity as women's private domain. In this vein, Austen seeks to reflect contemporary desire to establish British empire as the moral empire through Christianization.;본 논문은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의 소설 『맨스필드 파크(Mansfield Park)』(1814)에서 드러나는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Evangelical female virtue)의 개념을 분석하고, 가정의 영역에 속해 있는 복음주의적 인물들의 자애로운(benevolent) 영향력이 가정의 영역을 넘어 사회의 영역까지 행사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본 소설이 새롭게 제시하는 복음주의적 가정의 이상향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제 1장에서는 18세기의 도덕 이론의 주요 논제였던 “미덕(virtue)”과 “종교(religion)”가 사유화(privatize)되는 역사적 궤적을 살펴본다. 더불어 공적인 것들이 사적인 것이 되는 “사유화(privatization)”의 시대적인 경향을 밝히면서 개인적이고 자유로운 시민으로서의 근대 개인(modern individual)의 탄생을 탐구한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가정에서의 여성 개인의 위치를 통해 전통적인 여성 미덕을 넘어 새롭게 제시되는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Evangelical female virtue)의 개념을 정의한다. 제 2장에서는 영국 시골의 안정성을 파괴하는 데 기여했던 근대적 부패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한다. 오스틴은 아버지의 독재적인 양육과 잘못된 가계 관리로 인해 온정주의(paternalism)가 가부장주의(patriarchy)로 변질될 수 있는 위험성을 제시한다. 또한 그녀는 대도시의 세속적 가치의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반된 가치관의 충돌을 묘사한다. 제 3장은 패니가 부패하지 않는 청렴한 도덕 행위자(agent)로서 자신의 복음주의적인 양심과 도덕적 원칙을 통해 인간의 가장 깊은 내면을 하나의 성지(sanctum)로서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스틴은 패니에게 가정 내에서뿐만 아니라 맨스필드 파크 사회에서의 여성적 권위(female authority)를 부여함으로써 복음주의적 여성 미덕을 정치화한다. 이를 통해 오스틴은 가부장적 가정에서 여성 중심적(feminocentric) 가정으로의 이행의 승리를 통해 가정의 이상적인 모습을 확립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오스틴이 여성의 사적 영역으로서 가정(domesticity)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가정과 사회 모두에서 여성의 권위와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스틴은 여성을 중심으로 기독교화(Christianization)를 통해 대영제국을 도덕적 제국(moral empire)으로 만들고자 했던 동시대적 욕망을 소설에 반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