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Multilevel determinants of intention and behaviors to reduce sedentary behavior among white-collar employees

Title
Multilevel determinants of intention and behaviors to reduce sedentary behavior among white-collar employees
Authors
김수경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연구 목적: 본 연구는 Integrated Behavioral Model에 근거하여 사무직 근로자의 좌식 행태(sedentary behavior)를 줄이기 위한 의도 및 행동에 대한 개인 수준 및 사업장 수준 결정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통합적인(integrative) 설명을 위하여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총 세 개 그룹 2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Focus Group, FG)을 시행하였다. 그 후 FG에서 발견된 주요한 사항을 이후의 양적 연구 설문 항목에 반영하였다. 설문 대상은 총 18개 사업장에 소속된 377명의 사무직 근로자이며, 사업장 수준의 변수와 개인 수준의 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FG 자료는 테마틱 코딩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설문 자료는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층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질적연구 결과 개인 수준에서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한 의도 및 좌식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 수준이었다. 낮은 직급의 근로자들은 높은 직급의 근로자들에 비해, 좌식 행태를 줄이는 것에 대한 동료나 상사의 인식에 대해 더 많이 신경쓰고 있었다. 한편 문화, 사업장 내외의 물리적 환경 및 사업장의 건강 관련 제도, 정책 등 사업장 수준의 요인이 좌식 행태를 줄이는 것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양적연구 결과, 개인의 높은 수준의 경험적 태도, 기술적 규범 및 자기효능감은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한 높은 의도와 관련있었다. 그리고 높은 의도는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한 높은 행동 실천정도와 관련성이 있었다. 사업장 수준 변수 중에서는, ‘사업장 내 건강증진 제도,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개수’가 근로자의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한 행동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다. 그 다음은 ‘대중교통 시설까지의 거리’, ‘스탠딩 데스크 등 sit-stand 작업대’ 및 ‘직장 내 편의시설’이 개별 근로자의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한 행동과 관련된 요인이었다. 결론: 개인 수준 요인뿐만 아니라 사업장 수준 요인 또한 사무직 근로자의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좌식 행태를 줄이기 위해, 개인 수준에서는 경험적 태도, 기술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을 개선시키려는 전략이 필요하다. 더불어 건강친화적인 사업장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 제도, 물리적 환경 및 문화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 Using the Integrated Behavioral Model, to systematically identify individual-level and workplace-level determinants of intention and behaviors to reduce the occupational sedentary behavior (SB) among Korean white-collar employees. Methods: Mixed-methods approach was applied for an integrative explanation. A total of three Focus Groups (FG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21 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e FGs were then reflect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377 employees from 18 workplaces. The variables on the workplace level and individual level were measured separately. FG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thematic coding,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ested data. Results: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have shown that the major individual-level factor affecting the intention to reduce SB is individuals’ level of interest in health. Compared to people in higher job positions, individuals in lower job positions had more concerns about colleagues’ or bosses’ perception about reducing SB. Workplace-level factors such as culture, the phys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office, health-related systems and policies, had stronger impacts on reducing SB. According to quantitative research, the individual-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ronger intention to reduce SB were higher experiential attitude, descriptive norm, and self-efficacy. Furthermore, the stronger intention to reduce SB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higher practice of behaviors to reduce SB. Among the workplace-level factors, ‘the number of health-promoting systems, policies, and program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dividual employees’ behaviors to reduce SB, followed by ‘the distance to public transportation’, ‘sit-stand workstation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t workplaces. Conclusion: Behaviors to reduce SB among white-collar employees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both individual-level and workplace-level factors.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SB, it would be necessary to target individuals by focusing on elevating external attitude, descriptive norm,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comprehensive workplace-level efforts across policies, systems, physical environment, and culture are needed to create more health-friendly workpla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