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Women’s Autonomy and Capabilities in Reproduction

Title
Women’s Autonomy and Capabilities in Reproduction
Authors
이동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석
Abstract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autonomy and by what means we can best promote greater autonomy within our society is a central concern of moral philosophy. Considering the issue of aut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bioethics presents even deeper significance, as bioethics deals greatly with dilemmas and controversies that penetrate our lives. In regards to reproduction, there must be a reframing of the issue, dissecting the social norms of sex- and gender-based difference that are reasonably justified from those which are not. This examination of gender norms that unjustly govern our attitudes and preferences is aided by a reconceptualization of autonomy as ‘relational autonomy’. Yet the acceptance of this relational conceptualization introduces the risk of condoning certain preferences, adaptive preference, which cannot be viewed as consistent with autonomy.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in the domain of reproduction, which calls forth difficult questions about agency, well-being, authentic decision-making, and oppression. In differentiating preferences consistent with relational autonomy from non-autonomous adaptive preferences, the capability approach to development provides a supportive framework. Mirroring the turn from the liberal-individualistic conception of autonomy to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autonomy, a shift towards a responsive communitarian approach to strengthening autonomy is proposed. This move towards communitarianism offers the possibility of reinforcing the societal or collective responsibility to engender a more just and equal context, from which individuals are able to exercise autonomy. Approaching the issue of autonomy in women’s reproductive decision-making from a responsive communitarian perspective expands the scope of attention, from concern for the individual and their immediate range of choices to the broader social environment that interacts with agents’ capacity and opportunity to exercise autonomy. In doing so, it encourages the empowerment of agents situated within autonomy-limiting conditions with sensitivity to the socially-based nature of threats to autonomy.;자율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와 어떤 방식을 취하여 우리 사회에서 자율성을 가장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윤리학의 끊이지 않고 근본적인 과제이다. 생명윤리학은 우리 삶 속 뿌리 깊숙이 박힌 딜레마와 논란을 다루는 분야로써, 생명윤리 시각에서 자율성을 고찰해보는 것은 더욱이 중요성이 있다. 재생산과 관련하여, 사회 규범이 내포하는 성-젠더(gender) 기반의 차이와 차별을 구별하여,정당한 차이와 정당하지 못한 차별을 식별하는 문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이런 재구성과 사회 규범에 대한 성찰은 기존의 자율성 개념을 ‘관계적 자율성(relational autonomy)’으로 이해함을 통해 도움을 얻는다. 그렇지만 자율성의 관계적 개념화를 옹호하는 것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일으킬 우려를 보인다. 이는, 자율성 행사를 위협하는 특정한 부류의 비자율적인 선호, 즉 적응적 선호(adaptive preference)를 제대로 구분하여 비판하지 못할 위험이다. 특히 재생산 영역은 행위능력(agency), 안녕(well-being),진정한 선택(authentic decision-making)과 억압에 대해 어려운 질문을 내세우는 영역이기에 이러한 우려가 드러난다. 관계적 자율성을 반영하는 선호와 적응적 선호를 구별 하는 데에 역량이론은 보완적인 틀을 제공한다. 개인주의-자유주의적 자율성의 이해방식에서 관계적인 자율성의 개념화로 전환했듯이, 자유주의적 시각을 반응적 공동체주의적 접근으로 대체하여 자율성 증진을 추구하는 것을 제안한다. 반응적 공동체주의 접근을 시도하는 것은 비교적 더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로 향해야 할 공동의 책임을 강조하기 위해서다. 여성의 재생산 결정에서 나타나는 자율성에 대한 고민을 반응적 공동체주의 시각에서 접근하면, 관심의 범위를 단지 개인의 선택지에서 더 나가 개인의 자율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포괄적인 사회환경으로 넓히는 강점이 보인다. 그러므로, 사회적 환경에 더 민감성을 가짐으로, 자율성을 위협하는 억압적-결핍적 맥락속에 놓인 개인들의 자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적합한 이론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