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Affective Responses to Singing Voice in Different Vocal Registers and Modes

Title
Affective Responses to Singing Voice in Different Vocal Registers and Modes
Other Titles
보컬 음역대와 음악 조성에 대한 정서반응 조사
Authors
WU, YINGYI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responses of valence and arousal to different vocal registers and modes. One major and one minor melodic pieces were performed in a higher and a lower vocal register, respectively. The generated four vocal excerpts were all within 30 seconds, and in the same tempo and a non-sense syllable. A total of 188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in which the vocal excerpts were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in a randomised order. After listening to each vocal excerpt,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ir perceived valence and arousal on a visual analogue scale. A two-way ANOVA was recrui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ocal register and mode on perceived valence and arousal, as well as to enquire into the differences in affective responses. All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version 22).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valence and arousal depending on vocal register alone. Compared to valence, arousal response was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vocal register. With regard to mode,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earlier studie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valence and arousal response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vocal register and mode on valence, but not on arousal.;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음역대와 음악 조성에 따른 정서가(valence)와 정서각성(arousal)의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한 장조와 단조 음악을 각각 높은 음역대와 낮은 음역대에서 독창하었다. 앞서 구성된 네 가지 음악 감상 과제는 모두 30초 이내였으며, 동일한 템포와 무의미 음절로 구성되었다. 총 188명의 여성 대학생들이 온라인 설문으로 참여하였으며, 네 개의 음악 감상 과제들이 무작위 순서로 참여자에게 제시되었다. 음악 감상 과제의 일부를 들은 뒤에, 참가자들에게 음악에 대해서 느끼는 정서가와 정서각성 수준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평가하도록 요청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모집하여 음역대와 음악 조성을 느끼는 정서가와 정서각성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감정적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모든 데이터 분석은 SPSS (version 22)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걸과는 음역대에만 따라 정서가와 정서각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가에 비해 정서각성 반응이 음역대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조성에 관해서, 그 결과는 정서가와 정서각성 반응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는 것은, 선행 연구와 일치한다. 또한 음역대과 조성의 상호작용이 정서가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각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