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종설-
dc.contributor.author장정은-
dc.creator장정은-
dc.date.accessioned2021-01-06T16:30:03Z-
dc.date.available2021-01-06T16:30:03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28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58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입국당시 직계존속을 동반하지 않은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의 한국사회의 정착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의 북한과 탈북과정, 한국으로 이어지는 삶의 연속성 위에 한국사회 정착 경험은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 생애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은 북한과 탈북과정, 한국으로 이어지는 삶의 연속성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의 정착경험은 어떠한 의미인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20대 여자 대학생 두 명으로 모두 서울에 거주하며 한국 거주기간이 7년 이상으로 한국사회 정착경험을 충분히 이야기 해 줄 수 있는 자이다. 자료의 수집은 심층 인터뷰와 연구 참여자의 글쓰기 노트, 연구자의 관찰과 현장노트, 전화인터뷰, 카카오톡 메시지 등을 통하여 충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먼저 각 연구 참여자의 연대기적 생애사를 시간의 순서와 정착지원 제도의 흐름과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연대기적 생애사를 정착경험에 초점을 두고 재구성 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연구 참여자의 정착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미향의 연대기적 생애사 분석 결과는 <북한에서의 성장기>에서 7개의 의미단위, <제3국체류기>에서 6개, <정착준비기>에서 2개, <보호시설생활기>에서 6개, <자립생활기>에서 9개로 총 30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생애사 재구성을 통해 본 이미향의 정착경험은 <어디에도 없는 청소년한부모의 자리>, <학업을 통해 이루어가는 정착과 취업 앞에 불안해진 정착>, <고단했던 삶과 과거의 트라우마 다뤄가기>, <청소년한부모가 봉착한 양육현실> 이다. 김송이의 연대기적 생애사 분석 결과는 <북한에서의 성장기>에서 6개의 의미단위, <정착준비기>에서 3개, <보호시설생활기>에서 4개, <자립생활기>에서 9개로 총 22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정착경험에 초점을 둔 생애사 재구성 결과는 <점진적 사고의 확장과 정착인식의 변화>, <제한된 사회적 관계와 경험 속에 살길을 찾아감>, <완전한 무연고의 외로움과 단단함>, <학업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고군분투의 과정> 이다. 마지막으로 두 연구 참여자의 정착 경험의 의미는 <제3국에서 젠더화 경험으로 달라진 정착>, <청소년 보호체계의 경계에서 달라진 정착>, <적극적 행위 주체자로서의 정착>, <불안과 적응의 연속인 미완의 정착>, <새로운 이산가족으로 살아가는 정착> 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학문적 함의로는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 정착경험의 의미 발견을 통해 연구 참여자가 정착을 어떻게 개념화 하는지 제시하였다. 또한,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의 탈북은 거대한 글로벌케어체인의 흐름 속에서 발생하며 탈북 과정 및 제3국에서의 인신매매, 성 상품화 및 매매혼의 인권유린 실태를 학문적으로 밝히고 이 문제를 다국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탈북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일관성 있는 통계자료의 구축과 공개를 통해 연구의 활성화 및 정교한 정책과 실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정책적 함의로는 탈북청소년 관련 정책은 젠더적 관점에서 인식해야 하며 인생의 각 발달 단계마다 과업을 완수 할 수 있도록 돕는 생애주기 관점에서 정책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거주지원 정책은 연령이 낮을수록 가정과 같은 환경에서 보호하고 20세 이상의 무연고 탈북청소년에게는 자립생활관을 지원하여 임대아파트를 배정받기 전 단계별로 자립을 이루갈 수 있도록 촘촘히 계획하는 정책의 정교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사회 고용시장 현실에 맞는 취업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지원의 명확한 기준 마련 및 정책의 홍보가 필요하다. 실천적 함의로는 하나원에서 청소년 대상을 더 세분화 하여 특화된 적응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특히 18세 이상 24세 이하 후기 청소년기 대상과 청소년한부모 대상 적응교육 프로그램 및 거주지 진입 후 자립지원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한부모 탈북청소년에게 자녀양육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돕는 모-자 거주시설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특히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은 북한에서 부모상실 경험과 탈북과정에서의 외상경험으로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으므로 심리상담 지원을 위한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또한 일반청소년과 탈북청소년의 상호교류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탈북청소년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 및 탈북청소년 관련 기관에 여성 전문 인력을 늘려 초기 개입 단계에서부터 젠더적인 관점에서 사정하고 서비스를 결정하는 여성 친화적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언 하였다. 주요용어: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 정착경험, 생애사 연구;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the settlement experience of the two you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not accompanied by their parent(s) at the time of entry into South Korea.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their settlement experienc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on the continuity of life in North Korea, the defection process from North Korea, and life in South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kind of experience do unaccompanied you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on the continuity of life in North Korea, the process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and life in South Korea? What is the meaning of the settlement experience of unaccompanied you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Both of the participants are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have lived in Seoul for more than seven years, long enough to tell about their settlement experience in South Korea. Sufficie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earch participants' notes, researcher’s observations and field notes, telephone interviews, and Kakao talk messages. The data was first analyzed by linking the chronological life history of each participant with the sequence of time and the flow of settlement support system. Next, the chronological life history was reconstructed with a focus on the settlement experience. Finally, the meaning of the settlement experience was derived from these two participants. The analysis result of Lee Mi-hyang's chronological life history derived a total of 30 semantic units: seven from <Growth in North Korea>, six from <Staying in third countries>, two from <Preparation for settlement>, six from <Life in shelters>, and nine from <Independent living>. The results of the reconstruction of her life history focusing on the settlement experience include <No place for young single parents>, <Settlement through school life and unstable settlement before employment>, <Tough life and dealing with past trauma>, <The parenting reality of a young single parent>. The analysis result of Kim Song-yi's chronological life history yielded a total of 22 semantic units: six from <Growth in North Korea>, three from <Preparation for settlement>, four from <Life in shelters>, and nine from <Independent living>. The results of the reconstruction of her life history focusing on the settlement experience include <Gradual expansion of thought and change of settlement perception>, <Finding out how to live with limited social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Loneliness and difficulties of those with no relations>, <Process of struggles in achieving academic competitiveness>. Lastly, the meanings of the settlement experiences of the two participants include <Settlement changed by gendered experience in third countries>, <Settlement changed at the borderline of the youth protection system>, <Settlement in the process of being an active agent of life>, <Incomplete settlement in a series of anxiety and adaptation>, and <Settlement in the process of living as a new separated fami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academic,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s for academic implications, with the reflection on whether or not the term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with no relations’ is appropriate. Through the meaning of the settlement experience of unaccompanied you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t was presented how the participants conceptualized settlement. In addition, defection of young female North Koreans occurs in the flow of a huge global care chain, and we revealed the realities of human violations such as the human trafficking, commercialization of sex, and bride-purchasing during the defection process. In fact, these issues should be resolved at a multinational level.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statistical data on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collected more consistently, and relevant research, policies, and practic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ly. As for policy imp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policies on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gender perspective, and that policies be established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to help them accomplish tasks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The housing support policy should be more elaborated as to protect younger defectors in an environment like home, and to provide self-reliance facilities to those who are 20 years old or older so that they may gradually achieve self-reliance before they are assigned to rental apart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s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to increase their job competencies which matched with the expectancies of the Korean job market, and to establish clear standards to support and promote such policies.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Hanawon need to provid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adaptation by further subdividing young peopl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 program for adaptation for adolescents aged between 18 and 24 and for young single parents, and to provide a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after entering their residences. The mother-child residence facilities are necessary to help young single parents from North Korea raise their children and study together. Especially, the unaccompanied you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difficulties with mental health due to their experiences of parental loss and trauma in the process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so it was suggested that the practical plan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is needed. In addition, we suggested for the continuous effort to organize the mutual exchange program between the youth in general and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female-friendly environment that determines the service after assessment from the gender perspective from the early intervention sta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female professionals in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related organizations. Keywords: Young female unaccompanied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ment experience, Life history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 4 C. 연구의 의의 5 II. 문헌고찰 6 A. 이주의 배경 6 1. 이주의 여성화 6 2. 북한이탈여성의 이주 9 B.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 이해 12 1. 무연고 탈북청소년 개념 및 현황 12 2. 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의 특성 16 C. 무연고 탈북청소년의 정착 25 1. 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25 2.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 관점의 변화 29 3. 무연고 탈북청소년의 정착과정 및 지원정책 31 III. 연구방법 37 A. 생애사 연구 37 B. 연구 참여자 39 C. 자료 수집 40 D. 자료 분석 및 글쓰기 41 E. 윤리적 고려 42 F. 연구의 엄격성 43 G. 연구자의 준비 45 IV. 연구 결과 46 A. 이미향의 생애사 46 1. 이미향의 생애사 요약 46 2. 이미향의 연대기적 생애사 47 3. 이미향의 생애사 재구성 73 B. 김송이의 생애사 91 1. 김송이의 생애사 요약 91 2. 김송이의 연대기적 생애사 92 3. 김송이의 생애사 재구성 115 C. 이미향과 김송이의 정착경험 의미 127 1. 제3국에서 젠더화 경험으로 달라진 정착 127 2. 청소년 보호체계의 경계에서 달라진 정착 128 3. 적극적 행위주체자로서의 정착 129 4. 불안과 적응의 연속인 미완의 정착 131 5. 새로운 이산가족으로 살아가는 정착 132 V. 결론 134 A. 결과 요약 134 B. 논의 138 1. 젠더화 된 정착 138 2. 보호유형과 정착 141 3. 학업 및 취업과 정착 143 4. 변화하는 미완의 정착 145 C. 함의 146 1. 학문적 함의 146 2. 정책적 함의 150 3. 실천적 함의 152 D.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56 참고문헌 159 Abstract 1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538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무연고 탈북 여자청소년의 정착경험에 관한 생애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Life history research on the settlement experience of unaccompanied you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dc.format.pagevii, 17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