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김현-
dc.creator김현-
dc.date.accessioned2020-09-11T16:32:17Z-
dc.date.available2020-09-11T16:32:1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7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53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1179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xercise behavior promoting program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obesity. The study desig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xercise behavior promoting program was non-equivalen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103 subjects with obesity were composed with experimental group(n=51) and control group(n=5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ercise behavioral processes of change, exercise decisional balance,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practice and physiological indexes(body mass index, body fat rates, abdominal obesity rates) for three times before the intervention, at 7 weeks and at 1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2-week intervention which included 7 group lecture and 4 small group discussion, 12 one to one coaching via mobile community.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ly 8, 2014 to September 18, 2014 and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than exercise behavioral processes of change that of control group at 7 weeks and 12 weeks. 2.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exercise decisional balance(pros and cons) at 7 weeks and 12 weeks, and exercise decisional balance(co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3.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exercise self-efficacy than that of control group at 7 weeks and 12 weeks. 4. In the Experimental group, time and set execution count of exerci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7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5.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physiological indexes(body mass index, body fat rates, abdominal obesity rates) than that of control group at 7 weeks and 12 weeks. The exercise behavior promoting program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besity physiological indexes. Findings suggest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in a method of obesity management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obesity.; 본 연구는 비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범이론 모형 기반의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범이론 모형의 변화단계 중 계획 단계와 준비 단계에 속하는 G 지역 소재 G 대학의 대학생인 실험군 51명과 D 대학의 대학생인 대조군 52명이다. 범이론 모형 기반의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은 2014년 7월 4일부터 9월 18일까지 12주간 적용하였으며 사전조사로 운동행위 변화과정, 운동 의사결정균형,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수행정도, 생리적 지표(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를 측정하였고 동일한 도구로 중재 7주에 1차 사후조사를, 12주에 2차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사후 검증으로 Bonferroni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가설의 ‘실험군의 운동행위 변화과정 점수는 중재 시점별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검증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운동행위 변화과정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재 전에 비해 중재 7주, 중재 12주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제 2가설의 ‘실험군의 운동 의사결정균형(이익 요인과 장애 요인)점수는 중재 시점별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검증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의사결정균형 점수 중 이익 요인 점수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전에 비해 중재 7주, 중재 12주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군의 장애 요인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중재 전에 비해 중재 7주, 중재 12주 시점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제 3가설의 ‘실험군의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는 중재 시점별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검증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중재 전에 비해 중재 7주, 중재 12주 시점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4가설의 ‘실험군의 운동수행정도는 중재 시점별로 변화가 있을 것이다’ 검증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은 중재 3주와 4주에 비해 중재 7주, 중재 12주 시점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5가설의 ‘실험군의 생리적 지표(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는 중재 시점별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검증 결과, 실험군의 생리적 지표인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은 중재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중재 전에 비해 중재 7주, 중재 12주 시점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비만 대학생에게 실시한 범이론 모형 기반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은 운동행위 변화과정과 운동 의사결정균형, 운동 자기효능감 및 운동수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등의 생리적 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내에서 운동행위 단계가 계획 단계와 준비 단계에 있는 비만 대학생에게 비만 관리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정의 5 D. 가설 8 Ⅱ. 이론적 배경 9 A. 범이론 모형 9 B. 대학생의 비만 14 C.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 16 Ⅲ. 연구의 개념적 틀 21 Ⅳ. 연구방법 23 A. 연구 설계 23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24 C.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7 D. 연구도구 28 E. 연구절차 32 F. 자료 분석 방법 50 G. 연구의 제한점 51 Ⅴ. 연구결과 52 A.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 52 B. 가설 검증 56 Ⅵ. 논의 71 A. 범이론 모형 기반의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 71 B. 범이론 모형 기반의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74 Ⅶ. 결론 및 제언 80 A. 결론 80 B. 제언 83 C. 간호학적 의의 84 참고문헌 85 부록 101 Abstract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79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범이론 모형에 기반한 비만대학생의 운동행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xercise Behavior Promoting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obesity-
dc.creator.othernameKim, Hyun-
dc.format.pagevii, 141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장효순-
dc.contributor.examiner이경옥-
dc.contributor.examiner이건정-
dc.contributor.examiner양숙자-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