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7 Download: 0

앤더슨의 비평 모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앤더슨의 비평 모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y on the Influence of Art Class in the Use of Criticism Model by Anders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uthors
양혜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오늘날 우리가 생산하고 소비하는 정보 중에는 영상 콘텐츠나 이미지 중심의 소셜 미디어와 같이 시각 이미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IT 기술이 발달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등장하면서 이미지를 생산과 편집, 소비가 매우 수월해졌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그 안에 숨은 가치관이나 메시지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될 위험이 있으며 현대인들에게는 방대한 양의 시각적 정보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선별하고, 가치를 판단하여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판적 사고는 21세기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비판적 사고란, 어떤 견해를 수용하거나 행동하기 전에 논리적으로 대상을 파악하고 근거를 가지고 최선의 판단을 내리고자 하는 사고이다(김명숙 외, 2002). 그 중 비판적 사고를 구성하는 요인 중 하나인 비판적 사고 성향은 우리가 실제 삶을 살아가면서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발휘하게끔 하는 가치관과 태도 등을 의미하며, 실생활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비판적 사고는 언어화된 대상 뿐만 아니라 비언어화된 대상까지 활용할 때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데(김명숙 외, 2002), 이러한 사실은 미술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 함양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현대의 미술교육은 표현활동 중심을 벗어나 개념이나 인지적인 내용을 다루는 고등사고능력도 중시한다. 여러 미술교육 분야 중 특히 미술비평 활동은 비판적 사고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데, 비판적 사고와 비평 모두 대상에 대해 논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행위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공통된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비평 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학습이 가능한 앤더슨(Anderson)의 교육적 미술비평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미술비평수업의 다양화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작품과 제재를 가지고 수업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다양한 주제의 미술비평수업을 개발하여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 비평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비평교육과 비판적 사고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미술비평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 과목의 감상 영역과 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를 분석하고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서울시 소재의 D고등학교 2학년 27명을 단일집단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앞에서 개발한 미술비평 수업을 총 3차시 동안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동우(1996)가 한국교육개발원(허경철 외, 1989; 1990)의 검사지를 재구성하여 만든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지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연구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활동지, 비평문, 실기 작품 등의 수업 결과물,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검사 결과와 수업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전체 수업 기간과 수업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여부가 변수로 작용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비드 19 사태로 인해 연구수업을 단기간에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을 가지고 교수·학습을 해야 하며 수업 구성원간의 라포(rapport) 형성과 상호작용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수업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작품을 비평하고 글을 써야 하는 활동지가 표현활동의 활동지보다 수준의 편차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연구수업의 과제로 미술 작품에 대해 다른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자신의 견해를 글로 작성하였다. 학생이 원래 가지고 있던 언어적 역량과 작문 실력이 비평 능력이나 비평문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미술 감상과 비평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향상되었다. 학생들은 대부분 미술감상과 비평 수업의 경험이 없었고, 연구수업을 통해 감상과 비평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으며 앞으로 미술 감상과 비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보다 다양한 소재의 미술비평수업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변수로 작용하는 요인(수업 기간과 수업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추정하고, 미술비평학습에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수업시수를 충분히 확보하고, 수업 구성원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미술 비평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과 유의점을 밝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원래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교실 수업을 예상하고 수업을 계획하였으나, 코비드 19 사태에 따라 비대면·온라인 수업으로 교수학습계획을 변경하여 진행하였다. 앞으로 온라인 수업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학교 미술 수업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Visual images such as video contents or image-based social media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of information generated and consumed by people these days. With the development of IT and emergence of various applications, it has become very convenient to generate, edit, and consume images. However, there is a risk of uncritically accepting the values or messages hidden in them at the same time. Therefore, modern people are required to build an ability to select what they need from a flood of visual information, judge the values of information, and enjoy them thereafter. In this background, critical thinking is in a limelight as one of the core abilities required on talents in the 21st century. Critical thinking is referred to as an ability to logically identify the subjects prior to accepting certain opinions or behaving in a particular way and make the best decision based on specific grounds (Myung-sook Kim, et al. 2002). Among the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means values or attitudes for people to exert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their lives and, hence, more directly influences on daily lives. Critical thinking can be more activated when utilizing both verbal subjects and non-verbal subjects (Myung-sook Kim, et al., 2002).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critical thinking with art education. Art education in modern era values advanced thinking skills dealing with concepts or cognitive contents beyond expressive activities. Among many of the art fields, art criticism a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As critical thinking and criticism are of a behavior of making logical judgment, they essentially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educational art criticism model by Anderson where learner-oriented constructive learning is available has been applied to identify how art criticism education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tudents. In addition, class has been developed with works and topics that have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to diversify the art criticism cla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rt criticism class with diverse topics identifying how art education applied with educational art criticism model by Anderson influence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rt criticism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criticism and critical thinking. Secondly, the area of art appreciation in class from revised curriculum of art in 2015 and textbooks officially approved for high school have been analyzed developing the class program based on analyzed contents. Third, a single group of 27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D located in Seoul was organized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proceeding art criticism class developed earlier for 3 sessions online. Fourth, pre- and post-test was conduc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st questionnaires developed by Dong-woo Lim (1996) by re-organizing the test questionnaires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Gyung-chul Huh, et al., 1989; 1990). Fifth, SPSS program was used to conduct paired t-te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search class. With them, class outcomes such as activity log, critical review, or practice work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research derived from them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rt class applied with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turned out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investigation results and class outcomes to identify the reasons, the entire class period and whether class members interact with each other turned out to be a variable. In this study, research class was conducted online due to COVID-19. However, teaching and learning seem to be required in long enough period to make significant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t the same time, it seems that rapport and interaction are required on class members.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class outcomes, there was a distinctive deviation in the level in activity sheets to criticize works and write reports more than the activity sheets from expressive activities. Students shared stories with others on fin art works as an assignment of the research class and wrote reports with their opinions. There seems to be a possibility that original linguistic abilities or writing skills of students influenced on criticizing ability or critical reviews. Third,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or concern of students o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ith the class. Most of the students had no experience in art appreciation or criticism in class. However, they have witnessed an increasing interest in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rough the research class and responded how they were to be able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ies in the future.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rt criticism classes with more diverse topics. Conclusion was drawn in this study that art class applied with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turned out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However, this study is educationally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d factors (class period and interaction of class members) working as a variabl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le finding a possibility that writing skills of learners might have influenced on art criticism learning. It seems to be required to develop art criticism classes in more diverse modules to promote active interactions among class members while securing enough sessions of the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problematic circumstances to occur in online learning circumstances and their significances. In this study, face-to-face instruction was originally planned in the classroom 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was switched to online class due to COVID-19. Online class is anticipated to be more activated from now on. Therefore, more in-depth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on online art classes at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