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8 Download: 0

융의 분석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달(月)」에 관한 연구

Title
융의 분석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달(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Moon」,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of Carl Gustav Jung
Authors
황시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우리는 각자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삶의 매 순간을 생각하고 판단하며 살아가고, 생성되는 순간의 조각들이 모여 자신의 삶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같이 가치관은 인간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근간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우리는 가치관의 본질과 형성과정에 대해 고민하기를 간과한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어진 영적인 존재로서 하나님을 갈망하며 하나님을 만날 때에 진정한 삶의 의미와 행복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하나님의 피조물인 인간은 아담 이래 원죄의 죄성이 우리들의 생각과 마음가운데 잠재되어 있어 늘 불안과 공허에 노출된 상태 속에서 힘들어 한다. 현대의 거대한 정치, 경제 사회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대처하며 살아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 두려움과 무력함을 느끼며 자신의 존재에 대해 스스로 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 내면에 숨겨진 고독과 불안, 낮은 자존감, 잃어가는 자아정체성 등으로 인해 우울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에게 내면의 자아를 회복하고 소망과 기도로 본연의 자기(self)를 찾음으로써 진정한 영적인 삶의 가치를 회복해야함을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 ~ 1961)의 분석심리학의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중심으로 무용창작작품 「달(月)」(2016)을 안무하였고, 이를 기독교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작품은 총 4장으로 구성하였고, 달 안에 비친 자신의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발견한 개인이 무의식 안에서 겪는 혼돈, 내면의 자아 인식을 통한 진정한 자기의 발견과 영적인 회복의 과정으로 전개하며 다양한 움직임 형태로 표현하였다. 각 장면에 대한 작품분석은 주제 및 내용, 무대 공간의 사용 및 움직임, 오브제 및 의상의 의미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사회적 기준에 따라 자신을 틀에 가두고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며 살아가느라 고단한 하루에 지친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하수 앞쪽은 의식세계로 페르소나의 모습을 한 자아를 표현하였으며, 무대 중앙에는 오브제 달을 설치하여 무의식의 세계로 설정하였다. 무용수는 하수 앞 의식세계에서 달을 바라보며 수직적으로 상승되어 긴장한 움직임으로 서서히 중앙 무의식의 세계로 이동한다. 이에 효과를 더하고자 하수앞쪽에서 중앙으로 길 조명을 사용해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로의 연결을 상징화 하였다. 이 장에서 달은 슬퍼하고 아파하는 무용수의 속내를 들어주는 친근한 벗으로 설정하였다. 몽환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의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밤하늘을 비추고 있는 신비로운 달의 존재, 무용수가 다가가고자 하는 초월적, 무의식 세계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외부세계로부터 벗어나 무의식의 세계를 인식함으로 그림자와 대면하는 장면을 표현하였다. 무의식의 세계를 달로 상징화 한 오브제인 흰색 커다란 풍선을 중앙에 설치하여 중앙의 탑 조명으로 무의식의 세계에 집중되는 장면을 시각화 하였고, 무용수는 달에게 투사된 자신의 그림자를 보게 됨으로서 어둡고 열등한 감정들을 분출하게 된다. 내 안에 여러 개의 가면 페르소나와 그 이면에 억압되었던 그림자를 발견함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장면을 주로 낮은 자세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며 억압되었던 무의식 세계 속의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음악 또한 1장에서는 신비스러운 달을 형상화시키는 효과음만을 사용하였다면 2장에서는 꽹과리와 북 소리를 넣음으로써 분위기를 전환시켰다. 작게 들리는 북소리는 그림자와의 대면으로 인한 두려움을 표현하였고, 찢어질 듯 날카로운 꽹과리 소리는 고통스러운 심리를 표현하였다. 3장은 페르소나와 그림자와의 충돌로 순수한 내면의 나와 외부 현실 속 자아가 혼돈을 느끼게 된다. 이 장에서는 청아한 달을 통해 무의식 속 그림자의 모습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이를 억누르려는 페르소나와의 대립으로 갈등에 빠진 모습을 무용수의 움직임 공간을 최대로 확장하여 사용함으로써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조명의 범위를 확대하여 공간 구성에 다양하게 활용하였고, 동작의 범위와 이동경로 또한 전체적으로 확장시켰다. 그리고 고조된 갈등의 분위기를 속도감 있는 비트의 음악을 사용함으로 빠른 회전과 높은 점프로 크고 강한 동작구를 만들어 긴장감을 고조시키며 불안과 두려움의 표현을 강조하였다. 4장은 페르소나와 그림자와의 화해, 통합으로 인해 진정한 자기에 도달하는 장면이다. 이 장에서 달은 하나 된 전체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자기원형이자, 하나님을 상징화 하였다. 오브제가 위치한 중앙에 탑 조명을 확장하여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가 허물어짐을 나타내었으며, 무용수가 중앙을 둥근 이동 곡선으로 움직이며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는 동작의 흐름을 사용하여 지나친 페르소나의 굴레에서 벗어나 무의식의 세계를 수용하게 되는 자아를 표현하였다. 내면의 치유와 회복을 나타내기 위해 부드러운 선율의 피아노와 바이올린 반주의 음악을 사용하였고, 마지막으로 무용수가 오브제인 흰 풍선을 잡아 자신의 가슴 가까이에 끌어당겨 안음으로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 조화를 통해 영적인 회복을 느끼고 초월한 자기에 다가가게 됨을 나타내었다. 무용창작작품 「달(月)」은 주도적이고 주체적인 자기로서의 삶이 아닌 타율적인 삶을 살고 있는 무기력하고 정체성을 잃어가는 현대인들에게 위로를 전하며 기도와 의식의 성찰을 통해 자신의 자존감을 회복하여 하나님이 지어주신 존귀하고 소중한 나로서 진정한 삶의 가치를 향해 나아가야 할 필요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Everyone forms the flow of his/her life by gathering pieces of thinking of every moment while judging and creating according to his/her own values. Like this, values are central to determine directions of human life. However, most of the time, we overlook the task of concerning about the essence of values and their process of formation. Humans as spiritual beings made in God’s image and His likeness reach true meaning of life and happiness when longing for Him and meet Him. Nonetheless, we, creatures of God have the nature of original sin deeply rooted in our mind since Adam and Eve, and thoughts feeling fear and powerlessness about how to cope with the huge figure of economic and political society of today and asking about our existence to ourselves. This study aimed to deliver the message of the necessity of recovering true values of spiritual life to modern-day people, who are leading a life of depression by hidden loneliness, anxiety, low self-respect and evanescent self-identity, by recovering the inner self and finding the original self with hope and prayer.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created a work entitled “The Moon” (2016) based on the concepts of persona and shadow observed in analytical psychology of Carl Gustav Jung(1875 ~ 1961), and made an approach to it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The work is composed of four Parts. In a variety of forms of movement, it describes chaos of the unconscious of a subject who realizes her persona and shadow reflected on the moon as well as discovery of true self through inner self-awareness and process of spiritual recovery. To analyze the work by each scene, it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theme, contents, usage of stage space, movement, attire and objet.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t I expresses the aspect of a subject from the real world, who feels empty and tired of weary days because the subject shuts herself in the frame according to social norms and standards while being excessively conscious about how others judge her. The front side of Stage Right expresses the world of self. The subject looks at the moon representing the world of unconscious from the front side of Stage Right, and this indic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Through the path of which the dancer slowly moves toward the world of unconscious placed in the center, it expresses how the self escapes from persona and approaches the world of unconscious. To enhance the effect, it used the street lighting from the front side of Stage Left to the center to symboli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world of conscious to that of unconscious. Part II shows how the subject escapes from the outer world and recognizes the world of unconscious to face the shadow. By installing a big white balloon symbolizing the world of unconscious in the center, it visualizes along with the top lighting of the center how the subject concentrates on the world of unconscious. With this, the subject recognizes the inner self reflected on the moon. By discovering persona made of many masks from the inner world and the shadow that has been repressed by the self, the subject suffers. This scene is expressed by movement keeping a low position to express the human aspect from the world of unconscious that has been repressed. Part III describes the scenes how the collision between persona and shadow leads the subject to chaos between the pure self in the inner world and the outer reality. The subject faces the fragile self, who has been suffering from depression, anxiety caused by low self-respect, loss of self-identity and despair for not being able to escape from chains of thoughts, and the subject is in great conflicts. This scene is expressed by maximiz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world of conscious and that of unconscious while making the best of the space of movement of the dancer. In addition, with the widened use of the space, the range of lighting was extended to use the space structure in a diverse manner. In parallel, the scope of motions and moving path were expanded. By using music with speedy beats to express the mood of in creased tension, it emphasized the subject’s anxiety and fear while intensifying tension by creating big and in tense motions based on quicks pinning and high jumping. Part IV shows the scene how the subject reaches her true self by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persona and shadow. By using the top lighting in the center where the objet is placed, the dancer moves in the center keeping the round moving path and uses the flow of motions and breath that are connected in the middle of intermittent disconnection. This is expression of the self, who escapes from the excessive bridle of persona and accepts the world of unconscious. Lastly, the dancer pulls the objet, the white balloon to hug it into her arms. This is to portray the situation of which the subject attains spiritual recovery through integration and harmony between conscious and unconscious, and finally reaches the transcendental self.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Moon” was intended to give consolation to modern-day people, who lead an other-directed life far from a life as an autonomous and subjective self while feeling powerless with evanescent identity. It also wished to deliver the message of necessity of recovering self-identity through prayer and contemplation of unconscious to move forward the true values of life as an invaluable and precious self created by G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