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하-
dc.contributor.author황소라-
dc.creator황소라-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32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3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78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788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81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서양음악 기초이론의 국내 도입 및 그 교재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특히 가장 초기인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악전 출판물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이다. 한국근대음악사에서 악전 출판물의 도입은 곧 서양음악 기초이론의 도입을 의미한다. 당시 악전 출판물은 음악교과서 이외의 교재로 사용되어 음악에 대한 심화학습을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악전으로 시작된 음악 기초이론 교재가 다양한 변형을 거치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이 연구는 악전 출판물에 대한 분산된 정보를 정리하고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는 것에 1차적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최초의 악전 출판물이 발행된 1910년경부터 제1차 교육과정이 시행되는 1950년대까지의 국내 악전 출판물들을 목록화한 후, 이에 따른 시기별 특징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분류함으로써 악전 출판물의 전개 양상을 개괄한다. 두 번째로는 악전 출판물의 1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1910-1920년대 악전 출판물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특히 이 시기 가장 많은 악전 출판물을 저술했던 이상준(李尙俊, 1884-1948)의 악전 출판물들 간의 상관관계 및 이상준의 『풍금독습중등창가집』(1921)과 이각종(李覺種, 1888-1968)의 『풍금독습중등창가집』(1913)의 연관성을 짚어본다. 또한 일본 개성관 음악과(開成館音樂課)에서 발행된 『보통악전대요』(普通樂典大要, 1911)와 이상준의 『보통악전대요』(1916), 홍영후(洪永厚, 1898-1941)의 『악전대요』(1916)를 비교하여 국내 초기 악전 출판물에 나타난 일본의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평양에서 발행된 『음악대해』(1923), 만주에서 발행된 『최신창가집 부악전』(1914)과 비교한다. 본고는 일제강점기라는 환경적 특수성 속에서, 그리고 서양음악 기초이론이라는 한정적인 내용 안에서도 당시 악전 출판물들에서 발견되는 독자적인 내용 및 서술 방식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이 시기의 악전 출판물이 단순히 일본의 악전 출판물을 일방적으로 옮기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분명한 독자성을 가지고 저술되었음을 증명한다.;This paper is a study of publications of ‘music grammar’ published in Korea from 1910 to 1920s. In the music history of the early modern in Korea, the acceptance of publications of ‘music grammar’ means the acceptance of basic music theory of Western music. The publication of ‘music grammar’ is valuable as a research object because it was used as a book that is not a textbook on music at that time, it enabled advanced learning ability about music, and it has undergone many variations and continue to this day.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distributed information and analyze it in detail. Therefore, this paper lists the ‘music grammar’ publications of around 1910 when the first one was published in Korea to the 1950s when the first curriculum was implemented. After that, this paper outlines to unfold aspect of ‘music gramma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 and classifying the types.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is to collect original data of ‘music grammar’ publications and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publications of the 1910-1920s. In particular, this paper discuss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ublications of Lee Sang-jun(1884-1948), who wrote the most of ‘music grammar’ publications of the period,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books of the same name of Lee Sang-jun and Lee Kak-jong(1888-1968). This paper also compares 『Outline of Musical Grammar』(1911) published in Japan with 『Elementary Music-book』(1916) by Lee Sang-jun and 『Elementary Musical Grammar』(1916) by Hong Young-hu(1898-1941) to identify the Japanese influence that appeared in early ‘music grammar’ publications of Korea. Then it compared with ‘music grammar’ publications published in Pyeongyang and Manchuria at that time. Through this, despite the period specificity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limited content of basic elements of the Western music, it verifies the independent description style found in ‘music grammar’ publications of 1910-1920s. In addition, this paper proves that the that 'music grammar' publications of Korea of 1910-1920s were not just one-sided translations of Japanese publications, but they were written with a clear ident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악전(樂典)의 정의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대상 4 Ⅱ. 악전의 수용과 변천, 출판 유형, 활용처 7 A. 수용과 변천 7 1. 서양음악 기초이론의 수용 7 2. 악전 출판물의 변천 11 가. 1910년부터 해방 이전까지(1910년경-1944년) 14 나. 해방 이후부터 교수요목기(敎授要目期)까지(1945년-1953년) 15 다. 교수요목기 이후(1954년-1959년) 16 B. 출판 유형 17 1. 창가집 악전 편 18 2. 단독 악전 출판물 18 3. 통론 출판물 20 4. 기타 21 가. 피아노 교재 피아노 선율법(1930) 22 나. 음악 용어집 악리초보(1931) 23 다. 잡지 간행물 음악의 "음악교실"(1955-1956) 24 라. 문답형 교재 음악실력공부(1-3)(1958) 26 C. 활용처 27 1. 학교 27 2. 사설 학원 및 강습회 29 Ⅲ. 이상준(李尙俊)의 악전 출판물 비교 33 A. 보통악전대요(1916)와 풍금독습중등창가집(1921), 최신중등창가집 부악리(1922)의 비교 34 1. 보통악전대요와 풍금독습중등창가집 34 2. 풍금독습중등창가집과 최신중등창가집 부악리 40 B. 이각종과 이상준의 풍금독습중등창가집(1913, 1921) 비교 42 Ⅳ. 1910-1920년대 악전 출판물의 독자성 48 A. 일본의 보통악전대요(普通樂典大要, 1911)와 이상준의 보통악전대요(1916), 홍영후의 악전대요(1916) 비교 49 1. 목차와 구성의 비교 51 2. 서술의 비교 54 B. 경성 발행 악전 출판물과 음악대해(1923), 최신창가집 부악전(1914)의 비교 62 1. 음자리표세로줄음계의 비교 64 2. 기호의 비교 65 3. 용어의 비교 66 Ⅴ. 결론 68 참고문헌 71 부록. 1910-1920년대 국내 악전 출판물의 음악 용어 비교표 77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53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910-1920년대 국내 악전(樂典) 출판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ublications of ‘Music Grammar’ published in Korea from 1910 to 1920s-
dc.creator.othernameHwang, Sora-
dc.format.pageⅵ,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