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Thomas Osborne 작곡 거문고 그리고 국악관현악단을 위한 분석 연구

Title
Thomas Osborne 작곡 거문고 그리고 국악관현악단을 위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tical Study on Rebirth for Geomungo an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Composed by Thomas Osborne
Authors
황승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한국음악에서 전통을 계승하며 서구식의 작곡 형식과 접목한 창작이 시작된 이래로 국내외의 활발한 음악적 교류를 통하여 보다 작곡가층이 두터워지고 소재의 선택이 자유로워졌다. 따라서 서양음악과 한국음악의 경계가 자연스레 허물어지고 우리가 속해있는 사회에서 더 나아가 여러 문화에서 한국음악을 바라보는 시각을 공부하고 그 다양한 요소들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방식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국악기를 위한 작품으로 20여 곡을 작곡한 미국 작곡가 Thomas Osborne의 거문고 협주곡 를 분석 및 연구하였다. 선차적 과정으로 작품의 바탕이 되는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 경향, 작품 해설과 악기 편성법을 알아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악곡 전체의 구조와 각 부분에서 나타나는 선율의 진행 양상을 분석한 후 관현악의 구성에 있어서 주요하게 사용된 전개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곡 구조는 총 306마디의 곡으로 리허설 마크, 연주 형태, 속도 등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총 17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4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먼저 악곡 전체에 걸친 속도의 진행은 내고 달고 맺고 푸는 전통음악의 기경결해(起景結解) 형식처럼 나타났다. 박자는 전체적으로 4/4박자를 기본으로 하지만 잦은 변화로 호흡에 불규칙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이 작품은 뚜렷한 조성이 없어 주요음을 파악하였을 때 B♭음에서 점차 E♭음으로 그 중심이 옮겨 가도록 하였다. 연주 형태는 독주, 합주, 협주, 관현악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선율의 진행 양상을 분석한 결과 모든 부분에서 상승 혹은 하강하는 선율선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A] 단락과 [D] 단락에서는 전경과 배경의 그룹이 구성음을 같게 하여 선율선을 병행하면서 모든 성부를 유기적인 관계로 구성하였다. [B] 단락과 [C] 단락은 전경·중경·배경의 그룹이 각각 독자적인 선율선을 지니고, 프레이즈 및 부분을 거치면서 확장·발전하는 점층적인 양상으로 진행하였다. 독주 거문고는 늘 전경의 역할을 하였으며 관현악기 중에서는 음의 움직임이 비교적 유연한 대금, 해금, 가야금이 주로 주선율을 이끌었다. 중경은 ⓐ, ⓐ′, ⓖ′, ⓘ의 네 부분에서만 나타나게 하여 전경의 선율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배경에는 관현악기가 고루 사용되었으나 그중에서도 대아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아울러 전성, 추성, 퇴성, 농음, 여음 이용과 같은 전통주법과 피치카토, 글리산도 혹은 미분음, 동음이현(同音異絃) 등의 현대주법을 혼용하였다. 셋째, 관현악이 전개되는 방식으로는 같은 음형으로 번갈아 등장하는 ‘음형을 주고받는 형식’, 음형을 같게 하진 않으나 번갈아 등장하는 ‘순서를 이어받는 형식’, 특정한 프레이즈를 시간적 간격을 두어 다른 성부에서 반복시키는 ‘모방형식’, 두 개 이상의 리듬을 동시에 사용하는 ‘폴리리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연주할 때 명확한 하나의 선율을 바탕으로 전개하는 ‘헤테로포니’의 기법이 주요하게 사용되었다. 그중에서도 ‘음형을 주고받는 형식’, ‘순서를 이어받는 형식’, ‘모방형식’은 모든 단락에 걸쳐 활용되었으며 메아리 효과를 불러일으키거나 스테레오 방식 같이 입체감을 더하였다. ‘폴리리듬’은 [A], [B], [C]의 세 단락에서 사용되었으며 주로 헤미올라를 활용하여 나타났다. ‘헤테로포니’는 [A], [B], [D]의 세 단락에서 나타났으며 같은 선율을 동시에 다른 악기로 연주하여 음향적으로 다채롭게 표현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작품 전반적으로 여러 악기가 같은 음으로 움직이거나 같은 선율선을 그리고 있는 선율 진행 양상, 여러 성부에 걸쳐 프레이즈를 진행하는 관현악의 전개 방식으로 미루어 작곡자가 한국음악의 특징 중 헤테로포니의 성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 우리의 전통성과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융합되는 방식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Since the beginning of the creation that combines the Western style of music composition with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an active interaction of those two types of music has occurred both in domestic and abroad. Such combination have strongly motivated a composers to compose variety of works and ignited them to select more various materials for their musical components than before the era that those two styles of music had not been exposed to each other. As the boundary between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naturally had broken down, it is imperative for composers to further study perspectives on Korean music in different cultures and how to harmonize the various elements. To stance line with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and studied Rebirth for geomungo and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which is composed by Thomas Osborne, an American composer who composed more than twenty pieces for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ever since 2009. Prior to the analysis, the paper explores the composer’s musical background and tendency of work, program notes, and the instrumentation of the piece.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next chapter discusses a structure of the entire piece, the pattern of melody in each section, and the development methods used mainly in the composition of orchestra were analyzed. After all, three elements have been deduced from the analysis. First of all, this piece was composed of a total of 306 measures and four parts, consisting of 17 sections, divided by rehearsal marks, type of performance, tempo and so on. The tempo throughout the piece proceeded in the form of ‘Ki-Kyeong-Kyeol-Hae’ which refers that four elements of beginning, development, climax and resolution. The overall meter progression was based on 4/4 time, but appeared irregular due to frequent changes. In addition, since this piece is atonal, the emphasis was gradually shifted from B♭ to E♭ when identifying the central pitch. There wer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including solo, ensemble, concerto and orchestra. Secondly, the pattern of melody characterized as the rising or falling line in all sections. In parts [A] and [D], the group in foreground and background carried out the notes and melody lines in the same way,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ll instruments. In parts [B] and [C], the groups of foreground, middleground, and background each had their own melody lines, expanded and developed through phrases and sections. Solo Geomungo has always served as a foreground, and Daegeum, Haegeum and Gayageum, which are relatively flexible in pitch among orchestral instruments, mostly led the main melody. A middleground was only shown in four sections of ⓐ, ⓐ′, ⓖ′ and ⓘ to focus more on the melody of the foreground. Orchestral instruments were used evenly in a background, but Dae-ajaeng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In terms of notation and technique, both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s were used. Thirdly, the methods that the orchestra developed were mainly used in the form of ‘exchange of the figure,’ ‘taking over the order,’ ‘imitation,’ ‘polyrhythm’ and ‘heteropony.’ Among this main points, the previous three methods were used throughout all parts, creating an echo effect or stereophonic effect. 'Polyrhythm' was shown in three parts [A], [B] and [C], generally using hemiola. 'Heterophony' made the sound colorful by playing the same melody simultaneously on different instruments and appeared in three parts [A], [B] and [D]. As above, the composer considered ‘heterophony’ a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Korean music based on the melody progression that different instruments move with the same notes or melody lines and the composition of orchestra that develops phrases across several instruments. Hopefully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and advance the way of accompanying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another cultural elements of music gen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