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이왕직아악부보와 현행보의 당적 선율 비교 연구

Title
이왕직아악부보와 현행보의 당적 선율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Dangjeok melody of the Leewangjik-Aakbu score and Current score
Authors
김가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ngjeok melody of Yeombuldodri, Taryeong and Gunak among the Pyeongjohoesang of the Leewangjik-Aakbu score which has produced in the late 1930s and the Current score. The Current score is "Korean music" by Kim Ki-soo, the most widely used among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rs. Based on the Dangjeok score of Leewangjik-Aakbu, which is the first score for teaching materials, the melody of the Current score is divided into the ‘same melody’, ‘similar melody’, and ‘different melody’. First,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Leewangjik-Aakbu score and the Current score’s Yeombuldodri melody were found that the two scores had 14% of the same melody, 76% of the similar melody and 10% of the different melody. In Yeombuldodri's similar melodies, ‘notes-added type’appeared 88 times, ‘notes-reduced type’ appeared 31 times, ‘rhythm-transformed type’ appeared 13 times. Among similar melodies, notes-added types were mostly appeared than the Taryeong and Gunak. Also, a different melody appears only on a ‘different type that is more than two-thirds in a bar’.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Leewangjik-Aakbu score and the Current score’s Taryeong melody were found that the two scores had 15% of the same melody, 62% of the similar melody and 23% of the different melody. In Taryeong's similar melodies, notes-added type appeared 63 times, notes-reduced type appeared 39 times, rhythm-transformed type appeared 36 times. notes-reduced type was shown the most among similar melodies in Taryeong than Yeombuldodri and Gunak. In different melodies, it was found that 23 out of 26 bars were different type which is more than two-thirds in a bar and 3 bars were melody-ad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Leewangjik-Aakbu score and the Current score’s Gunak melody were found that the two scores had 26% of the same melody, 59% of the similar melody and 15% of the different melody. In Gunak's similar melodies, notes-added type appeared 85 times, notes-reduced type appeared 34 times, rhythm-transformed type appeared 53 times. Rhythm-transformed type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Yeombuldodri and Taryeong, among them ‘ to transformed type’ was shown the most that of 23 times. Melody-added type of different melody did not appear in Yeombuldodri, but appeared 3 times in Taryeong, while the largest in Gunak which has appeared 15 times. Rhythm of Melody-added type appeared in various forms, but the four-minute note form() appeared most frequently that of 11 times. Also, Current scores of Yeombuldodri, Taryeong, and Gunak were found to be one octave above than the Leewangjik-Aakbu score. Via this study, found out that currently the Dangjeok has more additional melodies which has made it more abundant. And also prov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gjeok with the highest intrumental range among the korean instruments has led to the fact that playing over an octave were frequently played these days.;본 연구는 당적 전공자로서 1930년대 말에 제작된 이왕직아악부보와 현재 연주되고 있는 현행보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왕직아악부보와 현행보의 평조회상 중 염불도드리·타령·군악의 당적 선율을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김기수의 <한국음악>을 현행보로 삼았다. 최초의 교재용 악보를 만든 이왕직아악부의 당적 악보를 기준으로 현행보의 당적 선율을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로 구분하고 유사선율과 상이선율의 변화 및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왕직아악부보와 현행보의 염불도드리 선율 비교를 한 결과, 두 악보의 동일선율은 총 102마디 중 14마디로 14%, 유사선율은 78마디로 76%, 상이선율은 10마디로 10%로 드러났다. 염불도드리의 유사선율은 음이 추가된 유형 88회, 음이 축소된 유형 31회, 리듬이 변형된 유형 13회로 나타났다. 음이 추가된 유형은 앞꾸밈음과 뒤꾸밈음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앞꾸밈음 37회, 뒤꾸밈음이 51회가 나타났다. 앞꾸밈음은 주로 한 음이 장식음()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南의 앞꾸밈음은 南林()와 林潢()과 같이 두 음이 꾸밈음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汰의 뒤꾸밈음 㳞汰()는 앞 선율에 㳞-汰가 진행될 때 나타나는 반복형의 특징이 있었으며 潢의 앞꾸밈음은 가장 적게 나타나고 뒤꾸밈음은 가장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상이선율은 한마디 전체에서 2/3 이상 상이한 유형만 나타나고 선율이 추가된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왕직아악부보와 현행보의 타령 선율 비교를 한 결과, 두 악보의 동일선율은 총 128마디 중 19마디로 15%, 유사선율은 80마디로 62%, 상이선율은 26마디로 23%로 드러났다. 타령의 유사선율에서 음이 추가된 유형 63회, 음이 축소된 유형 39회, 리듬이 변형된 유형 36회로 나타났다. 음이 축소된 유형은 앞꾸밈음과 뒤꾸밈음의 축소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앞꾸밈음의 축소는 8회, 뒤꾸밈음의 축소는 31회가 나타났다. 淋 뒤에 나타나는 뒤꾸밈음이 축소된 횟수가 15회로 가장 많았고 南 또는 㳞 앞의 앞꾸밈음이 축소된 경우가 각 3회씩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淋의 앞꾸밈음이 축소되는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뒤꾸밈음이 축소되는 경우가 가장 많이 출현했다는 특징이 있었다. 상이선율 26마디 중 23마디는 한마디 전체에서 2/3 이상 상이한 유형으로, 3마디는 선율이 추가된 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왕직아악부보와 현행보의 군악 선율 비교를 한 결과, 두 악보의 동일선율은 49마디로 26%, 유사선율은 114마디로 59%, 상이선율은 29마디로 15%로 드러났다. 군악의 유사선율에서 음이 추가된 유형은 85회, 음이 축소된 유형은 34회, 리듬이 변형된 유형은 53회가 나타났다. 리듬이 변형된 유형은 염불도드리·타령에 비해 많이 나타났으며 그 중 에서 로 변형된 형태가 23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상이선율 중 선율이 추가된 유형은 염불도드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타령에서는 3회 나타났지만 군악에서는 15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선율이 추가된 유형의 특징으로는 南에서 汰로 진행할 때 潢()의 선율이 추가된 경우가 6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선율이 추가된 유형의 리듬형은 사분음표(), 셋잇단음표(), 8분음표(), 점 8분음표와 16분음표()의 형태로 나타났는데, 사분음표()의 형태가 11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왕직아악부보를 기준으로 비교한 현행보의 염불도드리는 타령·군악보다 유사선율 중 음이 추가된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타령은 염불도드리·군악에 비해 음이 축소된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군악은 염불도드리·타령보다 상이선율 중 선율이 추가된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현행보의 염불도드리는 29마디(28%), 타령은 18마디(14%), 군악은 50마디(26%)가 이왕직아악부보보다 한 옥타브 위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1930년대 만들어졌던 이왕직아악부보와 현재 연주되는 현행보의 당적 선율을 비교함으로써 현재에 더 많은 가락이 추가되어 화려하게 연주되고 있음과 국악기 중 음역대가 가장 높은 악기인 특징을 더욱 드러나게 옥타브 위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아졌음을 알아냈다. 또한, 염불도드리·타령·군악에 나타나는 유사선율, 상이선율과 그에 따른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이왕직아악부보에서 현행보까지 당적 선율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확인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당적 연주자들과 당적을 연구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