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정보이해능력, 내적 건강통제위, 치매두려움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정보이해능력, 내적 건강통제위, 치매두려움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ementia Liter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Fear of Dementia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mong Middle-Aged with Chronic Diseases
Authors
박지성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성인병 중에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을 가진 중년의 경우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 중년 때부터 오랜 기간 꾸준히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 치매예방행위를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 노년기 치매예방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예방행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매예방행위를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간호중재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45-65세 중년 중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으로 3개월 이상 약물 치료를 받는 총 123명을 연구대상자로 편의 추출하여 2020년 3월 13일부터 31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로 치매정보이해능력은 Kim 등(2017)이 개발한 치매정보이해능력(Dementia Health Literacy Scale) 도구를 사용하였고, 내적 건강통제위는 Wallston 등(1978)에 의해 개발된 도구를 박보윤(2008)이 한국형 척도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치매두려움은 French 등(2012)에 의해 개발된 the Fear of Alzheimer’s Disease Scale (FADS)을 Moon 등(2014)이 번안한 한국어판 치매두려움 척도(K-FADS)를 이용하였고 치매예방행위 도구는 임경춘 등(2018)이 개발한 “치매예방수칙 권·금·행”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post hoc,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정보이해능력은 80점 만점에 평균 54.75±12.98점, 내적 건강통제위는 30점 만점에 평균 25.46±3.49점, 치매두려움은 120점 만점에 평균 42.98±21.48점, 치매예방행위 평균은 65점 만점에 43.58±6.63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예방행위는 연령(t=-2.524, p=.013), 지각된 건강상태(F=10.199, p<.001), 치매지식정도(F=2.811, p=.04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치매정보이해능력(r=.247, p=.006)은 치매예방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내적 건강통제위와 치매두려움은 치매예방행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할 때(β=.501, p=.004), 치매정보이해능력(β=.211, p=.013)순으로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4%였다. 따라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할 때, 치매정보이해능력이 높아질수록 치매예방행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의 치매예방행위에 지각된 건강상태와 치매정보이해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고 그 중에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할 때 치매예방행위에 가장 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하고 치매정보이해능력의 정도가 높으면 치매예방행위를 잘하게 되므로 성인병에 이환된 중년을 대상으로 치매예방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지각된 건강상태와 치매정보이해능력의 수준을 파악한 후 개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middle-aged with Chronic Diseases’ Dementia Literacy,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Fear of Dementia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middle-aged with Chronic Diseases to improv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s of middle-aged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45 and 65, living in Seoul, and have been taking medications for at least three months with one of the following underlying diseases: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lipidemia. There were a total of 123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mentia literacy mean score was 54.75±12.98 out of 80 points,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ored an average of 25.46±3.49 out of 30 points and the average Fear of Dementia score was 42.98±21.48 out of 120 points. The averag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score was 43.58±6.63 out of 65 points.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merged in the Dementia literacy, depending on gender(t=–2.480, p=.015), age(t=-2.154, p=.033), dementia level of knowledge(F=9.351, p<.001), dementia education experience(t=2.113, p=.037), whether dementia information is exposed(t=-3.762, p<.001).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th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gender(t=2.652, p=.009), whether they have Chronic Diseases patients in their families(t=-2.003, p=.047), whether they needed dementia education(t=2.481, p=.014). The duration of taking Chronic Diseases medication(F=3.963, p=.010), perceived health conditions(F=4.254, p=.016),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of getting dementia(F=13.957, p<.001), whether they needed dementia education(t=2.571, p=.018)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Fear of Dementia. The variables tha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ere age(t=-2.524, p=.013), perceived health conditions(F=10.199, p<.001) and dementia level of knowledge(F=2.811, p=.042). 3. The participants’ Dementia literacy(r=.247, p=.006)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with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but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Fear of Dementia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4. When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healthy(β=.501, p=.004), the higher the Dementia literacy score(β=.211, p=.013), the higher the level of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5.778,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Dementia literacy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were reported as major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further research to enhance the Dementia literacy as a major variable i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hen providing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to middle-aged people who have been transferred to Chronic Disease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the Dementia liter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