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입원 환아 보호자의 영성, 가족관계, 돌봄부담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Title
입원 환아 보호자의 영성, 가족관계, 돌봄부담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 of Spirituality, Family Relationship and Caregiver Burden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uthors
서아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질병에 걸린 환아는 병원에서 의료진의 치료 행위와 보호자의 돌봄을 통해 건강을 회복한다. 특히, 활력징후가 불안정한 입원 환아는 시간마다 약을 먹거 나, 주사제 투여, 각종 검사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보호자는 병원에서 행해지는 정맥 주사, 소변 카테터 검사 등 침습적인 처치들과 환아가 질병을 앓으며 보이는 고통스러운 모습을 보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보호자는 환아의 건강이 악화된 것에 죄책감을 느끼고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불안해지며, 돌봄부담 등 부정적 감정이 커질 때 우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호자의 부정적 감정은 환아에게 악영향을 미치며 건강회복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이 되므로, 아동 간호사는 입원한 환아의 건강문제뿐만 아니라 그환아를 돌보는 보호자의 정신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보호자의 정신적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환아 보호자의 영성, 가족관계, 돌봄부담이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생명 윤리 위원회(IRB)승인 이후 2020년 1월 28일부터 2020년 4월 12일까지 시행되었다.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입원 환아의 보호자를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고 입원한지 48시간이 경과한 만 18세 이하 입원 환아의 보호자이며, 제외기준은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자이다. 영성은 영성 척도(SPS; Kim, Reed, Kang, & Oh, 2012), 가족관계는 가족관계사정 도구(Kim, Gil, & Kim-Godwin, 2020), 돌봄부담은 가족보호부담감도구(황세 희, 2006), 불안은 상태불안 측정도구(STAI; Hahn, Lee, Chon, & Spielberger, 2000), 우울은 우울척도(CES-D; 조맹제, 김계희, 1993)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원 환아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과 환아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보호자의 우울은 보호자의 직업유무, 환아의 투병 기간, 진단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호자가 무직일 때(t=-2.740, p=0.007), 환아가 투병한지 6개월 이상 경과하였을 때(t=-2.097, p=.038), 환아의 진단명이 종양질환일 때(t=2.129, p=.035) 보호자의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입원 환아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과 환아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보호자의 불안은 보호자의 직업유무, 월수입 만족도, 환아의 입원기 간, 진단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호자가 무직일때(t=-2.355, p=0.020), 월수입에 대해 부족하다고 느낄 때(t=2.830, p=0.005), 환아의 입원기간이 6일 이상일 때(t=-2.498, p=.014), 환아의 진단명이 종양질환일 때(t=2.653, p=.009) 보호자의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입원 환아 보호자의 영성, 가족관계, 돌봄부담, 우울, 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호자의 가족관계와 우울(r=-.441, p<.001), 가족관과와 불안 (r=-.444, p<.001)은 부적 상관관계를, 돌봄부담과 우울(r=.520, p<.001), 돌봄 부담과 불안(r=.370, p<.001)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호자의 불안과 우울 (r=.655, p<.001)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영성은 가족관계, 돌봄부담, 우울, 불안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입원 환아 보호자의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호자의 우울에는 환아의 진단명이 종양질환일 때(β=.205, p=.002), 가족관계(β=-.388, p<.001), 돌봄부담(β=.467,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의 불안에는 환아의 입원기간(β=.171, p<.022), 진단명이 종양질환일 때(β=.194, p=.009), 가족관계(β=-.355, p<.001), 돌봄부담(β=.274, p<.001)이 통계적으로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우울에 대한 47.0%의 설명력을, 불안에 대한 38.0%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입원 환아 보호자의 가족관계와 우울, 불안은 부적 상관관계를, 돌봄부담과 우울, 불안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원 환아 보호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요인은 환아의 진단명(종양질환), 가족관계, 돌봄부담이었으며,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중요한 예측요인은 환아의 입원기간, 진단명(종양질환), 가족관계, 돌봄부담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는 입원 환아의 진단명이 종양질환일 때, 가족관 계가 나쁠수록, 돌봄부담이 높을수록 보호자의 우울과 불안은 높아지고, 환아의 입원기간이 길어질수록 보호자의 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pirituality, family relationship and caregiver burden on the depreesion and anxiety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fter the obtainment of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caregivers whose children have been hospitalized were recruited until April 21, 2020. Sample inclusion criteria wer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unstable vital signs and expected to stay in an inpatient unit for at least 48 hours, and those unable to communicate were excluded. A total sample comprised of 128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were recruit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s and their children, spirituality, family relationship, caregiver burde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evalua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piritualitywas assessed with the Spirituality Perspective Scale(SPS: Kim, Reed, Kang, & Oh, 2012), Family relationship was measured using the Family Relationship Assessment Scale (FRAS: Kim, Gil, & Kim-Godwin, 2020), and caregiver burden was assessed using the Burden Scale (BS: Hwang, 2006). Anxiety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STAI; Han, 2000)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K-CESD; Jo & Kim, 1993), respectivel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epression of the caregivers in relation to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both caregivers and children, and disease related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employment status, a child’s diagnosis and its duration. Caregivers were shown to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hen unemployed, the duration of diagnosis lasted over 6 months, and the child was diagnosed with neoplastic disease. 2. The anxiety associated with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both caregivers and children, and disease related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job, income satisfaction, hospitalization period, and the diagnosis of a child. In other words, high anxiety scores were exhibited in caregivers whose inoccupation; incomewas considered insufficient; child was diagnosed with neoplastic disease and where the hospitalization period of a child was more than 6 days. 3. Caregivers with high anxiety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unhealthy family relationship and high caregiver burden. 4. The significant factors of caregivers’ depression were the child’s diagnosis of a neoplastic disease, family relationship, and caregiver burden, which explained 47.0% of the variance in caregivers’ depression. Futhermore, significant factors of caregivers’ anxiety were the child’s hospitalization period, diagnosis of a neoplastic disease, family relationship, and caregiver burden, which explained 38.0% of the variance in caregivers’ anxiety. Given the findings above, healthy family relationship and caregiver burden were correl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with predictive factors for anxiety of caregivers being family relationship, caregiver burden and diagnosis of neoplastic diseases, and for depression were family relationship, caregiver burden and hospitalization period. Hence, a need for developing future nursing interventions on reinforcing family relationship and reducing caregiver burden is suggest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