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병원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전문직 삶의 질

Title
병원간호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전문직 삶의 질
Other Title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Authors
백다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전문직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 3일에서 2020년 3월 16일까지 온라인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대상자는 서울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일반 간호사로서 임상에 근무한지 6개월 이상이 경과된 176명이다. 연구 도구는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Garnefski 등(2001)이 개발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를 김소희(2004)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전문직 삶의 질은 Stamm (2010)이 개발한 ProQOL 5 도구(Professional quality of life 5, ProQOL 5)의 한국어 버전을 김현정, 염영희(2014)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9.94세 였고 학력은 학사가 137명(77.8%), 총 임상경력은 5년 미만이 109명(61.9%)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부서는 병동에 근무하는 대상자가 91명(51.7%)으로 가장 많았으며, 특수부서(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 62명(35.2%), 기타부서(외래, 내시경실, 혈관조영실, 인공신장실, 모아센터) 23명(13.1%)으로 나타났다. 2.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개념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평균은 100점 만점에 63.50±10.57,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평균은 80점 만점에 41.39±9.98이었다. 전문직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공감만족의 정도는 30.37±6.46(점수 범위: 10-50), 소진의 정도는 28.99±5.00(점수 범위: 10-50),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정도는 25.51±6.14(점수 범위: 10-50)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감만족,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전문직 삶의 질 중 소진은 학력(F=4.168, p=.017)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특히 석사이상이 학사보다 소진의 수준이 낮았다. 4. 대상자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전문직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감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491, p<.001))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진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409, p<.001)과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408,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503, p<.001)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501, p<.001)이었고 설명력은 24.8%였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35, p<.001),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427, p<.001), 학력(학사)(β=.188, p=.046)였으며 설명력은 36.8%였다. 대상자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502,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24.4%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은 전문직 삶의 질 중 공감만족을 향상시키고 소진을 줄일 수 있어 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은 소진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수준을 높여 지양해야 될 전략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습득하고 부적응적 전략을 덜 사용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176 staff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ool for measur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Garnefski et al. (2001) and translated by Kim (2004).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was measuredb by using a tool modified by Kim & Yeom (2014)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QOL 5 (Stamm, 2010).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lower factors of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hospital nurses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ir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501,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nts’ compassion satisfaction. The variables affecting burnout of the participants wer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435, p<.001),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β=.427, p<.001) and educational level(β=.188, p=.046) In addi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β=.502,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condary traumatic stress of the participants.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management of hospital nur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udy and program related to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