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응급실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oral Sensitivity on the Intention to Intervene in Elder Abuse
Authors
신혜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Elder abuse i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with the incidence increasing every yea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ergency room (ER) nurse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oral sensitivity on their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ER nurses’ level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moral sensitivity, and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oral sensitivity on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Date were collected from 129 ER nurses working in eight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in S city, who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conducted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9,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oftware package. Specificall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f the total study subjects, women accounted for 86.8% of the sample, outnumbering men. The most frequent age group,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were 29–34 years (40.3%), no religion (51.9%), and college graduate (91.5%), respectively. In terms of work-related characteristics, 65.9% of the subjects were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and 1–5 years was the most frequent duration of service (48.1%) and ER (54.3%). Regarding healthcare workers’ responsibilities under the 41.9% of the subjects had participated in seminars o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elder abuse. As for types of education programs,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undergraduate degree programs (44.7%), followed by supplementary programs (27.6%) and in-house job training (17.2%). 2. The mean scor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70.05±26.22 (Possible range: 0-150), and that of its three subscales (responsibility perception, situation perception, and result perception) were 24.09±10.06, 23.26±8.99, and 22.69±9.98,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moral sensitivity was 133.78±13.80 (Possible range: 27-189). Of its five subscales, the respondents scored highest in professional responsibility (38.43±4.60), followed by patient-oriented care (27.62±3.17), conflict (24.55±4.63), benevolence (22.43±2.80), and meaning (20.74±5.40). The mean score of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was 23.70±4.53 (Possible range: 8-32).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uman rights sensitivity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moral sensitivity (t=2.68, p=.008), with men scoring higher than wom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between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elder abuse-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who had not (t=2.25, p=.026), with the former showing higher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4.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ponsibility perception (r=.234, p=.008), which is a subscal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oral sensibility (r=.238, p=.007) and two of its subscales, patient-oriented care (r=.218, p=.013) and moral meaning (r=.228, p=.009),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5. Gender, experience of elder abuse-related education, result perception, responsibility perception (subscale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oral meaning (subscale of moral sensitivity) were analyzed to explain 15.5% of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A higher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was shown by men (β=.189, p=.034) and the group experienced in elder abuse-related education (β=.202, p=.018). A higher result perception (a subscal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associated with a lower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β=-.289, p=.040), responsibility perception (β=.426, p=.002). Of the subscales of moral sensibility, the higher the moral meaning, the higher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β=.248, p=.01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ult perception (a subscal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a subscal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moral meaning (a subscale of moral sensi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remove barriers that may prevent people from intervening in elder abuse by, for example, providing legal measures applicable to practical settings to protect the identity who those who report such cases, in order to induce more active interven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healthcare workers’ obligation to report elder abuse in education programs and to reinforce education for building moral sensitivity to situations suspected of elder abuse.;급격한 고령화로 야기되는 다양한 문제들 중 노인학대는 매년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학대 신고의무자인 의료인 중 응급실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 의도를 높일 수 있는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 및 노인학대 개입 의도 정도를 확인하고, 인권감수성과 도덕적 민감성이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2일부터 12월 9일까지 시행되었으며, S시 소재 8개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29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대상자 중 여성이 86.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29세 이상 34세 미만 연령이 40.3%로 가장 많았다. 종교가 없다고 답한 사람이 51.9%였으며, 대학 졸업자가 91.5%였다. 연구대상자의 65.9%가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근무한다고 응답하였고, 총 병원 근무 기간과 응급실 근무 기간은 1-5년 미만이 각각 48.1%, 54.3%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중 노인복지법과 관련하여 의료인의 책임에 대해 노인학대 관련 세미나 혹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대상자는 41.9%였다. 교육 경험이 있다고 답한 대상자 중 학사과정에서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44.7%로 가장 많았고, 보수교육이 27.6%, 원내직무교육이 17.2%였다. 2.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점수는 150점 만점에 70.05±26.22점으로, 하위개념인 책임지각은 24.09±10.06점, 상황지각은 23.26±8.99점, 결과지각은 22.69±9.98점이었다. 도덕적 민감성은 189점 만점에 133.78±13.80점으로, 하위영역별로 가장 점수가 높은 영역은 전문적 책임 영역으로 38.43±4.60점이었으며, 대상자 중심 간호 영역 27.62±3.17점, 갈등의 경험 영역 24.55±4.63점, 선행에 대한 표현 영역 22.43±2.80점, 도덕적 의미에 대한 구조화의 영역 20.74±5.40점 순이었다. 노인학대 개입 의도는 32점 만점에 23.70±4.5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은 성별(t=2.68,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도덕적 민감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인학대 개입 의도는 노인학대 관련 교육 유무(t=2.25, p=.02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노인학대 개입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하위요인 중 책임지각(r=.234, p=.008), 도덕적 민감성(r=.238, p=.007)과 그 하위요인 중 대상자 중심 간호(r=.218, p=.013), 도덕적 의미에 대한 구조화(r=.228, p=.009)와 노인학대 개입 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성별, 노인학대 관련 교육 경험, 인권감수성의 하위영역 중 결과지각과 책임지각, 도덕적 민감성의 하위영역인 도덕적 의미에 대한 구조화가 노인학대 개입 의도의 15.5%를 설명하였다. 여자보다 남자에게서(β=.189, p=.034), 노인학대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그룹(β=.202, p=.018)에서 노인학대 개입 의도가 더 높고, 인권감수성 하위영역 중 결과지각이 높을수록 노인학대 개입 의도가 낮아지며(β=-.289, p=.040), 책임지각은 정적 영향(β=.426, p=.002)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덕적 민감성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도덕적 의미에 대한 구조화의 수준이 높을수록(β=.248, p=.016) 노인학대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권감수성의 하위영역 중 결과지각은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인권감수성 중 책임지각과 도덕적 민감성 중 도덕적 의미에 대한 구조화의 수준은 노인학대 개입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학대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신고자가 신분 노출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마련된 법적 보호대책이 실제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노인학대 상황 개입 시 예상되는 장애요인의 해결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또한 노인학대 관련 교육에 의료인의 신고 의무에 대한 책임을 포함하고, 학대가 의심되는 상황을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도덕적 민감성 개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