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들의 치매 지식과 태도 및 돌봄 평가

Title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 가족들의 치매 지식과 태도 및 돌봄 평가
Other Titles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among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using Dementia Care Center
Authors
홍지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증가 및 치매관리사업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노인의 가족들의 치매 지식과 태도가 돌봄 경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가에서 치매노인과 같이 생활하는 가족들의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치매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와 G도에 위치한 10개의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면서 재가에서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 126명을 편의 표집하여 수거 된 설문지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해당되지 않거나, 설문 답안 작성이 불충분한 답변을 제외한 총 103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치매 지식 정도는 Carpenter, Balsis, Otilingam, Hanson, & Gatz가 개발한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ADKS)을 김은주, 정지영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치매 태도는 이영휘에 의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돌봄 경험 평가는 Lawton, Moss, Hoffman, & Perkinson이 개발한 돌봄 평가 척도(Revised Caregiver Appraisal Scale)를 Lee, Friedmann, Picot, Thomas, & Kim가 번역한 한국어판 Korean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K-RCAS)을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63.8%로 여자의 비율이 높았다. 연령은 평균 55.77±8.38세이며 만 50~59세가 32.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베우자 유무는 유배우자가 67.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교유수준은 대학교졸업이상 53.3%, 고등학교졸업이하가 46.7%로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의 경우 301~400만원 39.8%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치매노인과의 관계로는 딸이 45.9%로 가장 많고, 대상자의 건상상태는 나쁘다 48.4%, 보통이다 44.4%, 좋다 7.2% 순으로 나타났다. 2. 치매 노인 가족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30점 만점에 평균 16.96±3.20점이었고 치매에 대한 태도는 60점 만점에 평균 44.17±6.14점, 돌봄 경험 평가는 135점 만점에 평균 82.07±6.75점으로 나타났다. 3. 치매 노인 가족의 치매 지식은 나이(F=6.235, p=.001)와 건강상태(F=9.41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치매에 대한 태도는 성별(t=-2.790, p=.040), 치매 노인과의 관계(F=7.730, p=.031), 돌봄 자원 이용 여부(t=2.745, p=.009)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돌봄 경험 평가의 영역 중 부담감은 나이(F=6.916, p<.001), 배우자 유무(t=4.491, p=.037), 월평균수입(F=7.983, p<.001), 돌봄 기간(F=8.805, p<.001)에 따라 만족감은 나이(F=4.163, p=.003), 월평균수입(F=5.242, p=.001), 돌봄 기간(F=7.263, p=.001), 숙련감은 월평균수입(F=4.065, p=.004), 돌봄 기간(F=6.076, p=.003), 요구감은 나이(F=5.938, p<.001), 영향감은 나이(F=5.668, p<.001), 돌봄 기간(F=7.51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돌봄 경험 평가는 치매 태도에 상관관계를 나타났다(r=-.443, p<.001). 치매 지식과 태도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r=.364, p<.001). 또한 돌봄 경험 평가 영역들 간 부담감, 요구감, 영향감과 양적 상관관계가 만족감, 숙련감과 양적 상관관계가 부담감, 요구감, 영향감과 만족감, 숙련감과는 음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부담감과 만족감: r=-.844, p<.001, 부담감과 숙련감: r=-.787, p<.001, 부담감과 요구감: r=.633, p<.001, 부담감과 영향감: r=.721, p<.001, 만족감과 숙렴감: r=.688, p<.001, 만족감과 요구감: r=-.573, p<.001, 만족감과 영향감: r=-.603, p<.001, 숙련감과 요구감: r=-.529, p<.001, 숙련감과 영향감: r=-.570, p<.001, 요구감과 영향감: r=.509, p<.001). 5. 돌봄 평가의 부정적 측면, 긍정적 측면, 중립적 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치매 태도(부정적 측면: β=-.634, p<.001, 긍정적 측면: β=.301, p<.001, 중립적 측면: β=-.425, p<.001)로 나타났으며 각각 21.8%, 16.0% 18.5%의 설명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치매 태도가 돌봄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돌봄 평가의 만족감, 숙련감이 높아지고 부담감과 영향감, 요구감이 낮아졌다. 즉 치매 노인 가족들의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면 치매 노인의 돌봄에 대한 생각이나 감정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도모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among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using dementia care center.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adopt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3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who using dementia care center. Data was collected after approval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for dementia knowledge, attitude, caregiving apprais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 using SPSS/WIN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bject’s Dementia-related knowledge was 16.96±3.20 (out of 30 points), dementia-related attitudes was 44.17±6.14(out of 60 points), caregiving appraisal was 82.07±6.75(out of 135 points). 2. The degree of dementia-related knowledg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4.204, p=.003) and health condition level(F=9.411, p<.001). The degree of dementia-related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ex(t=-2.790, p=.040) and senile dementia patients’relation(F=7.730, P=.031) and caregiving resources(t=2.745, P=.009). The degree of caregiving burd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6.916, p<.001) and spouse level(t=4.491, p=.037), importation level(F=7.983, p=<.001), caregiving period(F=8.805, p=<.001). The degree of caregiv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4.163, p=.003) and importation level(F=5.242, p=.001), caregiving period(F=7.263, p=.001). The degree of caregiving master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importation level(F=4.065, p=.004) and caregiving period(F=6.076, p=.003). The degree of caregiving deman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5.938, p=<.001). The degree of caregiving impac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F=5.668, p=<.001) and caregiving period(F=7.519, p=.001). 3. Dementia-related knowled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mentia-related attitude(r=.364, p<.001).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satisfaction(r=.405, p<.001) and caregiving mastery(r=.310, p<.001).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burden(r=-.474, p<.001) and caregiving demand(r=-.351, p<.001), caregiving impact(r=-.406, p<.001). 4.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1.8~16.0%% of the varianaces. Caregiving appraisal was influenced by dementia-related attitude(positive components: β=.301, p<.001, negative component: β=-.634, p<.001, neutral components: β=-.425, p<.001). In sum,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ile dementia patients' families dementia-related attitude was a factor influencing caregiving apprais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to improv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