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외부감사인의 감사노력

Title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외부감사인의 감사노력
Other Titles
Audit Committee Characteristics and Auditor Effor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EO Power
Authors
홍지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정권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및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이 외부감사인의 감사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감사위원회의 전문성을 회계/재무 분야로 제한했던 선행연구와는 달리 보다 광범위하게 법, 산업적 전문성을 고려하고, 감사위원회의 회계감사 감독 과정에서 필수적인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 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감사위원회의 전문성과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이 고품질의 감사요구를 통해 감사노력이 증가하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관계가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에 따라 변화되는지 검토하였다. 감사위원회는 기업지배구조 메커니즘으로서 기업 경영 및 재무보고 과정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발생하는 분식회계 및 부실감사로 인해 실효성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이에 2018년 11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시행을 통해 감사위원회의 감독 권한과 책임이 강화되었다. 개정법에는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강화, 감사인 선임 및 사후평가, 기업의 부정행위 보고 책임 강화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는 감사위원회가 내부 감시기구로서 기업 재무정보에 대한 감독을 철저히 하고, 외부감사인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는 조치라 할 수 있다. 특히, 회계감사 과정에 대한 책임 확대는 고품질의 감사요구를 통해 감사인의 노력을 유인하여 감사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위원회가 강화된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건과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감사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감사위원회의 회계감사 과정 감독 수행을 위해서는 재무제표에 대한 이해 능력이 요구되므로 회계/재무전문성은 필수적인 요건이며, 이는 국내 상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회계정보와 관련한 법적 위험과 기업이 속한 산업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회계/재무 분야 이외의 전문성도 요구될 수 있다. 이에 감사위원회의 전문성으로 회계/재무전문가 외에 법, 산업전문가를 고려하여 감사위원회가 전문성을 갖추면 고품질의 감사요구가 확대되어 감사인의 노력이 증가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은 회계감사를 실시하면서 실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정이다. 내부 감시기구인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 간의 의견교환은 회계부정 및 부실감사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감사요구로 인해 감사노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사위원회가 전문성 요건을 충족하고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을 빈번하게 하더라도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이 강하면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이 저해되어 감독 기능이 약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으로 접근한 종합적인 경영자 영향력(CEO power) 점수를 국내 실정에 맞게 산출하여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및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과 감사노력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4년에서 2018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717 기업-연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감사위원회의 회계/재무전문가와 법전문가 비중이 클수록 감사노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상법에서 규정한대로 회계/재무전문가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해석되며, 법전문가의 필요성을 새롭게 제시하는 결과이다. 특히, 감사위원회 내 회계/재무전문가만 존재하는 경우보다 법전문가가 함께 구성되어 있을 때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위원회의 전문가를 회계/재무전문가로 국한하여 선임할 것이 아니라 법전문가를 함께 선임하는 것이 감사노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재무정보 공시에 따른 법적인 위험과 법 개정 대응에 법적인 관점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의 상호소통이 감사노력의 투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 내부 감시기구와 외부감사인 간 상호 작용으로 재무정보에 대한 의견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져 감사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이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및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에 따른 감사노력 증가 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이 강할수록 그 효과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영자 영향력이 강하면 감사위원회가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고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더라도 감사노력 투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완화되는 것이다. 이는 경영자의 영향력(CEO power)이 강하면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저해하여 감독 권한을 약화시키는 결과로 감사위원회의 요건과 역할이 중요하지만 독립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경영자 영향력(CEO power) 점수를 구성하는 구조적/소유권/전문가 영향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구조적/소유권 영향력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 선행연구의 구조적 영향력에 관한 결과는 일치하나 소유권 영향력의 조절효과는 국내 기업에서 흔히 나타나는 소유지배구조 특징이 반영된 차별적인 결과이다. 본 연구는 외부감사법 개정으로 감사위원회의 책임이 강화된 시점에 감사위원회의 요건과 역할을 제시하고 독립성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사위원회 전문성을 국내 상법에서 제시한 회계/재무전문가 외에 보다 광범위하게 법전문가 및 산업전문가의 효과를 아울러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결과와 같이 회계/재무전문가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법전문가의 필요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문가 구성에 따른 효과가 차별화됨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감사위원회 전문가 요건 및 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 정도에 따라 감사인의 노력이 증가하는지 검증하여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감사위원회가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및 외부감사인과의 상호소통이 감사노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의 조절효과에 중점을 두어 감사위원회가 전문성을 갖추고 상호소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무엇보다도 기존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사외이사 비중 및 경영자와의 관계 등으로 측정한 것과는 달리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으로 구조적, 소유권, 전문가 영향력의 3가지 차원으로 점수화한 경영자 영향력(CEO power)을 고려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기존 경영자 특성의 일부만을 대용치(proxy)로 사용하여 분석한 연구와는 차별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mpirically whether the expertise of the Audit Committee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auditors increase audit effort, and examine the impact of CEO power on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This paper considers the effect of legal and industrial expertise unlike prior researches which have limited the expertise of the audit committee to accounting/finance, as well as the impac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t committee and external auditors which is essential during the oversight process of audit committee.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CEO power for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Despite that the audit committee exists to monitor management and financial reporting processes as a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its effectiveness has been debated because accounting fraud cases continue to occur. In order to enhance the monitoring function,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Etc. was enforced in November 2018 to strengthen the supervision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of the audit committee. The amended law included stricter evaluation of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of the audit committee, auditor appointment and ex-post evaluation, strengthened responsibility to report corporate corruption, etc. This can be seen as measures to enforce the audit committee as an internal monitoring mechanism to supervise corporate financial information more thoroughly and to have greater responsibilities for external auditors. In particular, the strengthened authorities to appoint and evaluate external auditors and greater responsibility for reporting accounting fraud mean expanded accountability for the audit process, and effective audit committee can increase audit efforts through high quality audit request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requirements and roles that an audit committee needs to meet its reinforced responsibilities. Expertise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audit committee to monitor the accounting audit process, and requirements for accounting/financial experts are described in the Commercial Act. However, considering the legal risks that may arise during the monitoring process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to which a company belongs, expertise in other fields than accounting/finance may also b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udit effort increases when the audit committee has expertise in various fields (accounting/finance, law, industry) and look into the ideal composition of audit committee.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t committee and auditors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should be implemented during the audit process. The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the audit committee, which is an internal monitoring entity, and external auditor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audit effort as it may lower the risk of accounting frauds and poor-quality audit. Finally, even if the audit committee meets the requirements of expertise and communicates with auditors, strong CEO power may weaken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s the comprehensive CEO Power Index which 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cre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ors affecting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to verify whether the expertise of the audit committee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auditors have any moderating effect on audit effort. For empirical analysis, analyses were conducted on 717 companies among those listed on th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and having December settlement between 2014 and 2018, excluding the financial sect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higher number of accounting/finance experts and legal experts in the audit committee increase audit effort. This result means that accounting/finance experts, a requirement stipulated in Korean Commercial Act, are essential in the audit committee, and also show a renewed need for legal experts. In particular, audit effort was further increased when legal experts were included than when only accounting/financial experts existed in the audit committe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to appoint additional legal experts as audit committee members rather than just having only accounting/financial experts, and that legal perspectives can be helpful since legal experts can address legal risks from disclosure of financial information and respond to revision of the laws. Secondly,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with the audit committee and external auditors and audit effort confirms that frequent communication improves the audit qualit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nal monitoring entity of a company and external auditors allows sufficient exchange of views on financial information, leading to increased audit effort.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 whether CEO power affects the expertise of the audit committee and frequent communication with external audi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audit efforts. The result shows that strong CEO power mitigates positive impact on audit effort even if the audit committee has professional capabilities and communicates with auditor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at strong CEO power weakens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and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its rol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actors making up the CEO Power Index–structure, ownership, expert-shows that structure and ownership are impacted. Whil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regarding the structural influence, the moderating effect on ownership is a differentiated result which reflect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ownership governance commonly seen in Korean companie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uggests the requirements and roles of the audit committee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ecuring its independence follow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esponsibilities of the audit committee due to the revised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t also make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ccounting/financial experts presented in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goes one step further to als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legal and industrial experts in the audit committee. By doing so, the need for accounting/financial experts has been confirmed as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es and the need for legal experts has been newly presented. In addition, it verifie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 committe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keup of the audit committee, suggesting future expert requirement and direction of composition of the audit committee. Next, the role of the audit committee is highlighted by verifying that the quality of the audit of a company is improved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t committee and external auditors, thereby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its interactions with external auditors. Finally,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EO power on the positive impact of the audit committee's expertise and communication with external auditors on audit effort, suggesting that external factors exist which have a negative impact even if the audit committee has expertise and communicates effectively. Above all, it is meaningful in that unlike other studies which measures the audit committee's independence by the proportion of external directors and the relationship with CEO,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i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structure, ownership and expert) to calculate the CEO Power Index.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es which use only a part of the existing management characteristics as proxy for their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